본문 바로가기

슈퍼그리드5

힘을 내요 슈퍼그리드 파~월~ : 동북아 그리드의 미래는? 힘을 내요 슈퍼그리드 파~월~ : 동북아 그리드의 미래는?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18기 서현영 작년 말 발표된 제9차 전력수급기본계획 송변전 확충 전망에 의하면, 우리나라는 2022년까지 동북아 슈퍼그리드 구축의 일환으로 한국과 중국을 잇는 전력망 사업화에 착수할 예정이다. 나라 간의 전력망을 연결해 에너지를 주고받는다는 슈퍼그리드의 개념은 예전부터 있어왔으나, 다양한 이유로 뒷전이 되었다. 그렇다면 정부가 최근 동북아 슈퍼그리드를 다시 시도하려고 하는 이유는 무엇인지 함께 알아보자. [슈퍼그리드의 개념 및 현황] [자료1. 한-중-일, 한-러 계통연계 계획] 출처 : 티엠솔루션스 슈퍼그리드란 무엇일까? 거대한 규모의 전력망(그리드)이란 의미로, 대륙 간 혹은 국가 간에 생산된 전력을 연결하여 서로 융.. 2021. 11. 29.
끊임없이 주는 복학생 재생에너지, 부담스러운 새내기 전력계통 끊임없이 주는 복학생 재생에너지, 부담스러운 새내기 전력계통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16기 김미림, 18기 김민주, 18기 한동근, 19기 권승호 전기의 품질은 우리의 삶은 물론 그 나라 산업의 품질에도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한국은 주파수 유지율 99.9%, 전압 유지율 99.9%, 호당 정전 시간 8.59분으로 세계 최고 수준의 전기 품질을 제공하고 있다. 여기에는 높은 수준의 송배전 인프라와 석탄, 원자력 등등 제어 가능한 발전소의 역할이 크다. 하지만 전 세계는 지구 온난화에 의한 기후 변화의 피해를 우려하고 있고, 탄소 중립과 기후변화 대응을 목표로 에너지 전환을 이루려 하고 있다. 그에 따라 전 세계적으로 화석연료를 기반으로 전기를 생산하는 화력 발전 방식에서 자연을 활용하는 친환경적인 재생에.. 2021. 4. 26.
슈퍼 그리드(Super Grid)를 통해 다가가는, 한·중·일의 에너지전환은? 슈퍼 그리드(Super Grid)를 통해 다가가는, 한·중·일의 에너지전환은? 14기 변홍균, 15기 나혜인 다가오는 10월 23일부터 사흘간 서울 코엑스에서 세계재생에너지총회가 개최된다. 올해로 8회를 맞이하는 세계 재생에너지총회는 재생에너지 분야 국제 비영리 단체인 REN21과 개최국 정부가 주최하는 국제 재생에너지 컨퍼런스로, 이번 KIREC의 주요 목적은 한국의 경험을 반영한 재생에너지 확산 모델을 전파하여 아시아를 넘어 글로벌 에너지전환을 선도하는 국가로의 위상을 알리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한국은 에너지전환은 2017년 ‘재생에너지 3020’을 바탕으로 원자력, 석탄 화력의 비율을 줄이고 2030년까지 전체 발전량의 20%를 재생에너지로 대체하며 신규 설비용량의 95% 이상을 태양광, 풍력과 .. 2019. 10. 11.
차세대 전력망의 핵심, HVDC를 알아보자 ! 차세대 전력망의 핵심, HVDC를 알아보자 ! 전류 전쟁(영어: War of Currents)은 1880년대 후반에 미국의 니콜라 테슬라가 주장한 AC송배전 방식(교류 송배전)과 토머스 에디슨이 주장한 DC송배전 방식(직류 송배전)을 두고 벌인 경쟁을 이르는 말이다. [그림 1. 토마스 에디슨과 니콜라 테슬라] 출처: 전력경제신문 직류와 교류의 차이를 살펴보자. 직류에 비해 교류는 코일에 전류를 방해하는 흐름이 추가로 생긴다. 따라서 실제로 일을 하지 않는 ‘무효 전력’이 있다. 흐르는 강을 수직으로 건너려면 강을 거스르는 추가 힘을 줘야 하는 것처럼 교류는 직류보다 무효 전력에 해당하는 에너지를 더 보내주어야 한다. [그림 2. 직류와 교류 비교] 출처: Google.com 언뜻 보기에는 당연히 직류가.. 2017. 12. 18.
에너지 공동체의 밑그림 '동북아 슈퍼그리드' 에너지 공동체의 밑그림 '동북아 슈퍼그리드' 문재인 정부의 탈원전 정책으로 인하여 많은 사람들이 원전에서 얻었던 전력을 어디서 얻어야 하는지에 대하여 걱정과 우려의 목소리가 많아지고 있다. 단순히 전력 생산량을 증가시키는 것도 중요하지만 더욱이 안정적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것 또한 반드시 해결해야 할 문제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점으로 보아 신재생 에너지는 효율과 안정적인면에서도 아직 완전하지 않은 에너지 공급책이라는 평가가 많고 발전소를 늘리는데 막대한 비용이 들기 때문에 신재생 에너지를 더 효율적인 에너지 공급책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전력 공급량을 어떻게 생산하고 관리할 것인가에 대해 초점을 맞춰서 기술을 개발하고 보전해야 할 것이다. [그림 1. 슈퍼그리드의 필수 구성] 출처: 한국.. 2017. 10.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