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Activity/국제그린에너지엑스포

[2025 국제그린에너지엑스포 정보] 대성에너지

by R.E.F 27기 권준혁 2025. 3. 22.

[2025 국제그린에너지엑스포 정보] 대성에너지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7기 권준혁

 

1. 기업소개

[자료1. 대성에너지 로고]

출처:  대성에너지

대성에너지는 대성그룹 산하의 기업 중 하나로, 대구광역시, 경북 경산시, 고령시, 칠곡군 등 지역의 120만 고객에게 도시가스를 공급하는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이뿐만 아니라, 신재생에너지와 청정에너지 개발&보급에도 앞장서며 기후변화에 대비하기 위한 에너지 전환 노력에 적극 동참하고 있다. 대성에너지는 ‘안전시스템 강화를 통해 더욱 신뢰받는 회사’, ‘기본에 충실한 자세로 더욱 혁신하는 회사’, ‘사내외 소통을 중시하고 고객과 지역민에게 감사할 줄 아는 회사’를 표방하며 국내외 에너지 분야를 선도하는 글로벌 종합에너지 기술기업으로의 도약을 꿈꾸고 있다.

 

2. 주요 사업 영역

1) 도시 가스 공급

1983년 회사를 설립, 1984년 10월 내당 삼익APT를 시작으로 도시가스 공급을 시작한 이후 대구광역시 및 경산시 전역과 고령군, 칠곡군 동명면까지 공급권역을 넓혀가며 도시가스 보급을 확대해 가고 있다. 현재 대성에너지는 주택용, 업무용, 일반용, 산업용 등 용도로 120만여 가구에 도시가스를 공급하고 있다. 초창기에는 주택용과 산업용 등으로 도시가스의 용도가 국한돼 있었지만, 현재는 업무난방용, 일반용, 열병합용, 냉난방공조용, 수송용 등으로 공급범위를 확대하고 있다.

2) CNG 및 수소 충전사업

압축천연가스(CNG)는 가정 및 공장 등에서 사용하는 일반 천연가스(도시가스)를 약 200~250 기압으로 압축한 고압의 기체이다. 압축천연가스는 공기보다 가볍고 누출되어도 축적되지 않고 대기중으로 쉽게 확산되기 때문에 휘발유, 경유, LPG에 비하여 안전한 연료로 평가받고 있다. 대성에너지는 CNG충전소를 운영하고 있는데, CNG 충전소는 도시가스배관을 압축기에 연결하여 고압의 가스를 제조하고 자동차에 충전하는 설비로서, 도시가스배관에서 직접 연결하므로 대형 저장탱크가 필요 없다는 특징이 있다. 최근에는 차세대 연료로 주목받는 수소를 충전할 수 있는 설비를 대구&경북 지역에 운영하는 등 탄소 중립을 위한 청정에너지 전환에도 앞장서고 있다.

[자료2. CNG 충전소 주요 설비]

출처: 대성에너지 

3) CES 사업

CES는 구역형 집단 에너지(Community Energy System)의 준말로, 신도시 등 일정 규모의 지역 내에 열병합발전소, 열전용보일러, 자원회수시설 등 종합 에너지 생산시설을 가동해 그 지역 내 주거, 상업시설 등에 전기/난방을 일괄 공급하는 방식을 말한다. 난방위주의 기존 지역난방 사업과 달리 열병합발전시설을 이용해 전기, 냉난방을 일괄 공급하는 방식으로, 기존 방식에 비해 에너지 사용효율을 높일 수 있어 에너지 절감 효과가 크다. 대성에너지는 현재 죽곡 구역형 집단에너지시설을 운영 중이다. 이는 대구광역시 죽곡지구 내의 열병합발전소에서 천연가스를 연료로 전기와 난방열을 생산하고, 11,436여세대의 주택(아파트), 학교, 상업시설의 에너지를 자급자족하는 시스템이다. 이는 국내최초로 완공된 신도시형 CES시설이며 분산형 에너지시설의 표준 모델로 여겨지는 만큼 대성에너지의 CES 사업부문의 경쟁력을 확인할 수 있는 부분이다.

4) 환경 에너지 사업

대성에너지의 환경 에너지 사업 부문은 크게 매립가스자원화사업(LFG)과 폐기물에너지화(SRF)시설 민간투자사업이 있다. 먼저 대성그룹은 대구 방천리 위생매립장에서 발생하는 매립가스를 포집, 중질가스로 정제한 후 한국지역난방공사에 보일러 연료로 판매하는 매립가스 자원화사업을 실행하고 있다. 지구온난화의 주범인 메탄가스를 에너지로 활용하는 이 사업은 공익성과 수익성의 양 측면에서 높은 평가를 받아 국내 폐기물 에너지화 사업의 모범 사례로 인정받고 있다. 폐기물에너지화(SRF)시설 민간투자사업은 대구 방천리 위생매립장에서 매립·소각되던 생활폐기물을 연료로 재활용함으로써 에너지원을 개발하고 매립가스와 침출수 등 환경유해물질 발생량을 감소시키는 친환경 에너지 사업이다. 버려지던 쓰레기를 고효율 에너지 자원으로 활용해 열과 전기를 생산함으로부터 연간 251억 원 상당의 원유수입 대체 효과가 기대된다,

[자료3. LFG 사업 공정계통도]

출처: 대성에너지

5) 신재생에너지사업

대성에너지의 신재생에너지사업인 SolaWin 사업은 대성그룹이 독자적으로 개발한 태양광·풍력 복합 발전 시스템을 활용해 전기를 공급하고 이것을 에너지원으로 지하수를 끌어올려 땅에 수분을 공급함으로서 사막화 방지에 기여하는 대표적 신재생에너지 사업이다. 현재 몽골, 에티오피아, 방글라데시 등 해외 국가에도 다수 진출해 있다.

[자료4. 태양광-풍력 복합발전 시스템 개념도]

출처: 대성에너지

3. 대성에너지 홈페이지

https://www.daesungenergy.com/business/s11/

 

대성에너지

안전을 생명처럼, 고객을 가족처럼 대성에너지(주) 홈페이지 방문을 환영합니다.

www.daesungenergy.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