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News/태양광-태양열152

태양광, 무작정 늘릴 수만은 없다 태양광, 무작정 늘릴 수만은 없다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4기 이우진 [증가하는 태양광] RE100 이슈로 글로벌 공급망에서 요구하는 재생에너지의 수요는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다. 우리나라도 ‘재생에너지 3020’ 정책을 통해 2030년까지 재생에너지 발전량 비중을 20%까지 달성하고자 하는 목표를 설정했다. 특히 우리나라는 재생에너지 발전원 중, ‘태양광 발전’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며 크게 성장해 왔다. [자료 1. 연도별 누적 태양광 설비용량 현황] 출처 : 재생에너지 클라우드플랫폼 태양광 설비용량이 2014년 1,339MW에서 2023년 22,503MW로 약 19배가량 증가할 정도로 태양광 발전의 성장세는 매우 높다. 또한, 에너지경제연구원에 따르면 2030년에는 태양광 발전단가가 현재.. 2023. 11. 29.
고분자로부터 전기를, 유기 태양전지 고분자로부터 전기를, 유기 태양전지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4기 도영현 [유기 태양전지란 무엇인가] [자료 1. 실리콘 태양전지] 출처 : 세계일보 눈을 감고 태양전지를 떠올려 보라. 어떤 모습이 그려지는가? 아마 대부분은 어두운 색깔의 실리콘(Si) 태양전지를 상상할 것이다. 그러나 태양전지에는 실리콘 기반 무기 태양전지만이 있는 것이 아니다. 현재의 태양전지는 크게 실리콘 등의 무기물을 기반으로 하는 무기 태양전지와 탄소 화합물 기반의 유기 태양전지로 구분할 수 있다. 실리콘 태양전지는 오랜 기간 활발히 연구된 분야로 높은 광 변환 효율을 가지지만, 높은 공정 단가와 고온 공정이 요구된다. 반면, 유기 태양전지는 유연하고 저온 공정이 가능하며, 저렴한 공정 단가 등 여러 장점이 있다. 본 기사에서는.. 2023. 11. 1.
양자점, 태양전지에도 이용된다고? 양자점, 태양전지에도 이용된다고?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1기 김채윤 노벨화학상 수상자 유출 사건? 2023년 10월 5일, 올해의 노벨 화학상 수상자로 양자점을 발견한 3명의 과학자가 선정됐다. 이날 화학상 수상자는 기존 공식 발표 시간보다 2시간 40분 전에 명단이 유출되는 해프닝이 있어 이목을 끌었다. 123년의 노벨상 역사상 수상자가 유출된 것은 처음이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유출에도 불구하고 수상자는 이변 없이 양자점 연구진에게 돌아갔다. 양자점을 이용하면 반도체를 나노 크기의 입자로 만들어 같은 재료로도 여러 색의 빛을 낼 수 있다. 기존 디스플레이로 사용되던 발광다이오드(LED)보다 다양한 색을 낼 수 있어 디스플레이 산업에서의 영향력이 클 것으로 예상된다. 양자점(Quantum dot, Q.. 2023. 10. 26.
태양광 패널의 그림자: 폐패널의 재활용 태양광 패널의 그림자: 폐패널의 재활용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1기 김채윤, 23기 김예진 [그 많던 태양광 패널은 어디로 갔을까] 탄소 배출량 감소와 신재생 에너지 보급에 대해 전 세계적으로 주목하는 가운데, 재생 에너지원 중 보급, 경제성 등의 조건을 고려했을 때 가장 현실적으로 떠오르는 것은 단연 태양광일 것이다. 국내의 경우 2000년대 이후 태양광 산업이 본격화되면서 신재생 에너지원 중 가장 큰 성장률을 보이고 있으며 앞으로의 태양광 설비 역시 크게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최근 미국에서는 바이든 정부의 인플레이션감축법(IRA)을 통해 2021년 대비 풍력 및 태양광 발전량이 16% 증가하기도 했다. [자료1. 미국의 태양광 패널 설치량] 출처: 한국환경연구원 하지만 이처럼 태양광 산업이 성장.. 2023. 5. 27.
철도 위에 태양광 패널을? 철도 위에 태양광 패널을?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1기 박도현, 김수현 태양광을 비롯한 신재생에너지 사용 증가와 다양화 신재생에너지는 기존의 화석연료를 변환시켜 이용하거나 햇빛, 물, 지열, 강수, 생물유기체 등을 포함해 재생 가능한 에너지를 변환시켜 이용하는 에너지이다. 지난 10년간 세계 각국의 에너지원이 다양화되면서 신재생에너지의 비중이 높아지고 있다. 화석연료의 고갈로 인한 자원 확보 경쟁 및 고유가의 지속 등으로 에너지 공급 방식의 다양화와 함께 기후변화협약 등 환경규제에 대응하기 위한 청정에너지 비중 확대의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신재생에너지산업은 IT, BT, NT 산업과 더불어 차세대 산업으로 시장규모가 급격히 팽창하고 있는 미래산업으로 많은 주목을 받으며 사용량이 증가하고 더 다양한 .. 2023. 5. 26.
태양광 발전 효율 50%가 머지않았다: 탠덤 태양전지 태양광 발전 효율 50%가 머지않았다: 탠덤 태양전지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3기 김태현 [쉽게 올라가지 않는 태양전지의 효율] 태양광은 2050 탄소중립을 위한 핵심 요소로, 우리나라에서 신재생에너지 발전량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2050 탄소중립을 이루기 위해서는 신재생에너지 비중을 확대해야 하는데, 최근 태양전지의 효율 향상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유기 박막 태양전지, 양자점 태양전지 등 다양한 태양전지를 연구하며 효율을 높이기 위한 큰 노력을 하고 있지만, 다양한 제약 조건으로 인해 태양전지의 효율의 향상 속도는 매우 더딘 실상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효율이 거의 50%에 달하는 태양전지가 등장했는데, 이것이 바로 탠덤 태양전지(다중 접합 태양전지)이다. [자료 1. 한국의 에너지원.. 2023. 3. 15.
점점 더 얇아지는 태양전지 점점 더 얇아지는 태양전지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1기 마승준 태양전지의 원리 태양전지란 태양의 빛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바꾸는 장치이다. 우리가 주변에서 흔히 사용하는 건전지와 비슷한 역할을 하는데, 그 구조가 달라서 건전지는 화학전지로 분류하고 태양전지는 물리전지로 분류한다. 태양전지의 기본 구조는 p형 반도체와 n형 반도체를 접합한 p-n 접합 구조로, 이는 전기에너지 변환에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태양전지가 전기를 만드는 과정을 조금 더 자세하게 이해하려면 태양전지에 태양광을 비추는 상황을 가정해야 한다. 태양전지에 빛에너지가 전달되면 내부에서 -전하를 띠는 전자와 +전하를 띠는 정공이 생성된다. 발생된 전하들은 각각 P극과 N극으로 이동하며, 따라서 P극과 N극 사이에 전위차가 발생하게 된다. .. 2023. 1. 30.
[디자인과 태양광] 도로를 밝히는 심야 속 태양의 불빛 [디자인과 태양광] 도로를 밝히는 심야 속 태양의 불빛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0기 서범석, 22기 최정우 [활주로형 횡단보도] 최근, 횡단보도 근처 도로에 LED를 매립해 운전자에게 횡단보도임을 인식시키고 보행자를 보호하는 활주로형 횡단보도가 늘어나고 있다. ‘활주로형’이라는 수식어가 붙은 이유는 LED가 비행기 활주로처럼 횡단보도를 따라 배치되어 있기 때문이다. 바닥에서 밝은 빛을 내는 LED는 운전자가 어두운 밤에도 쉽게 인식할 수 있어 교통사고의 위험을 줄일 수 있다. 실제로, 활주로형 횡단보도를 도입한 서초구에서는 2020년 교통사고 재발률이 1%로 줄었다. 이처럼 활주로형 횡단보도는 보행자와 운전자 안전 도모에 큰 도움이 된다며 긍정적인 반응을 얻었다. [자료 1. 활주로형 횡단보도] 출처:.. 2023. 1.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