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News/기타158

멸종위기종: 우리를 잊지 말아 주세요. 멸종위기종: 우리를 잊지 말아 주세요.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2기 최정우 오늘날, 우리는 인간이 초래한 기후변화와 더불어 생물 다양성 손실에 직면했다. 전 세계 곳곳에 서식하는 수많은 동식물의 서식지가 파괴되고 있으며, 생물이 대량 폐사하거나 멸종되는 일도 빈번하다. [자료 1. 한국의 토착 멸종위기 동물, 반달가슴곰] 출처: 서울대공원 바다거북이 사라진다고? 바다거북은 애니메이션 속 캐릭터로도 등장하며 사람들로부터 오랜 세월 많은 사랑을 받았다. 전 세계 바다 곳곳을 누비며 여행하던 바다거북을 더는 보기 힘들어질 수도 있다는 사실을 아는가. [자료 2. 비닐봉지를 해파리로 착각한 바다거북] 출처: 그린피스 바다거북은 1억 5천만 년 전부터 존재해 왔으며, 매우 긴 수명을 자랑한다. 그중 장수거북은 .. 2023. 5. 29.
스마트폰, 얼마나 자주 바꾸세요? 스마트폰, 얼마나 자주 바꾸세요?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2기 정이진 [얼마나 자주 바꾸시나요] [자료1. 다양한 전자기기] 출처: Apple 스마트폰, 노트북에 이어 태블릿, 블루투스 이어폰, 스마트 워치까지 현대인들은 수없이 많은 전자기기를 구매하고 사용한다. 그렇다면 전자기기를 얼마나 오래 쓰는가? 얼마나 자주 바꾸는가? 가장 많이 사용하는 스마트폰의 교체 주기에 대해 알아보자. 최근 전 세계 스마트폰 교체 주기는 43개월로 약 3년 7개월이다. 각국의 제조사 및 통신사 역시 3~4년이 평균 스마트폰 교체 주기로 자리 잡았다고 밝혔다. 과거 2년 간격으로 스마트폰을 교체하던 것에 비해 교체 주기가 2배가량 길어진 것을 알 수 있다. 스마트폰의 교체를 촉구하던 기업에는 절망적일지라도 환경 측면에서는.. 2023. 5. 29.
좀비 화학물질, PFAS에 대해 아시나요? 좀비 화학물질, PFAS에 대해 아시나요?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1기 곽서영 [‘반도체 공정용 냉각수 점유율 1위 기업’ 3M의 PFAS 생산 중단] [자료 1. 기업 3M의 모습] 출처: THEELEC 반도체 공정용 냉각수인 쿨런트 시장에서 점유율 1위를 차지하는 글로벌 화학기업 3M은 이미 지난해 12월 “2025년 말까지 PFAS(퍼플루오로알킬 및 폴리플루오로알킬) 제조를 종료할 것”이라며 제조 중단을 예고했다. 3M은 작년 3~4월에도 벨기에 정부가 PFAS 배출 관련 환경기준을 강화하자 생산을 멈췄다가 재개했는데, 이번에 제품 포트폴리오에서 PFAS를 완전히 제거할 것이라고 발표하며 공식적으로 PFAS의 생산 종료를 선언했다. PFAS는 반도체 냉각수의 주요 성분으로, 3M의 이번 결정은 글.. 2023. 5. 29.
종이책vs전자책, 종이책의 미래는 종이책vs전자책, 종이책의 미래는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1기 김채윤 서론 2021년 기준 대한민국 국민의 독서량은 166위다. 한국의 독서량이 많지 않다는 것은 잘 알려져 있는 사실이다. 문화체육관광부에서 실시한 ‘2021년 국민 독서 실태조사’에 따르면, 1년에 최소 한 권 이상의 책을 읽은 성인의 비율은 2년 전 대비 8.2% 감소하였다. 하지만 재밌는 점은, 2년 전 대비 종이책의 수요는 11.4% 감소한 반면 전자책과 오디오북의 수요는 3%가량 증가했다는 것이다. 다양한 콘텐츠와 미디어의 발달로 종이책의 수요는 감소하고 있고, 보관 및 휴대의 편리성과 시공간의 구애를 받지 않는다는 점에서 전자책의 이용이 늘어난 것으로 예상된다. 종이책은 벌목으로 인한 환경 파괴와 탄소 배출로 인해 친환경적이지.. 2023. 5. 1.
아낌없이 주는 나무, 탄소도 준다면 아낌없이 주는 나무, 탄소도 준다면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1기 장세희 우리 곁에 있는 가로수 도심을 걷다 보면 항상 옆에서 볼 수 있는 가로수는 도로나 인도에 맑은 공기와 그늘을 제공해준다. 가로수는 보통 인도에서 볼 수 있는데 차량으로부터 인도를 보호해주는 역할도 한다.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가로수는 기원전 10세기에 히말라야 산록에 조성된 ‘그랜드 도란그’ 도로의 나무로 전해진다. 유럽에서는 1552년에 프랑스 앙리 2세가 국내 주요 도로에 유럽 느릅나무를 심도록 법률을 제정한 이후 가로수가 제도적으로 시작됐다. 우리나라는 조선왕조실록 단종 1년(1453년)에 가로수가 처음 등장한다. 2020년 말 기준 우리나라는 전국 도로 108,129km 중 44,034km(40.7%)에 약 9백 40만 본이.. 2023. 5. 1.
햇반의 배반 햇반의 배반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2기 류나연, 박주은 햇반의 배반 특정 브랜드의 제품이 그 제품군 전체를 아우르는 보통명사처럼 쓰이는 사례들이 있다. 접착용 셀로판테이프인 스카치테이프, 스테이플러인 호치키스가 그 예이다.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예시는, CJ제일제당의 즉석밥 브랜드 ‘햇반’이다. 오뚜기나 동원, 하림 등도 즉석밥을 내놓고 있지만 모두가 햇반이라고 불리는 것은 햇반이 즉석밥의 원조이자 압도적 시장 1위 브랜드인 덕이다. 하지만 이 효자 상품 햇반이 재활용이 안된다는 사실, 알고 있었는가? 햇반은 1년에 5억 5000만 개가 팔린다. 이때, 햇반 용기 1개가 약 10g이다. 이것을 곱하면 총 5000톤이 넘는 무게로, 적지 않은 무게이다. [자료1. 플라스틱 OTHER] 출처: CJ제일제당.. 2023. 4. 30.
폐장난감, 이제는 재활용 할 수 있다! 폐장난감, 이제는 재활용 할 수 있다!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3기 김예진 폐장난감의 심각성 폐장난감은 매해 240만 톤 이상 발생하고 있다. 2022년에 폐플라스틱을 출입증으로 만드는 정책의 시범 운영 도시였던 인천에서 6개월간 폐장난감만 142톤이 발생한 것만 봐도 폐장난감 배출량의 심각성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폐장난감은 혼합 소재로, 플라스틱, 쇠, 고무 등으로 혼합되어 있어 분리, 분해가 어렵다. 따라서, 수천 톤의 폐장난감은 소각되거나 매립되면서 심각한 대기오염과 토양오염을 유발하고 있다. 하지만, 아이가 있는 가정에서 새로운 장난감을 꾸준히 구매하기 때문에, 많은 기업이 새 장난감을 찍어 내고 있어 장난감 생산량의 감소는 사실상 어렵다. 그렇다면, 폐장난감 재활용의 가능 여부를 알아보고.. 2023. 4. 20.
AI와 에너지, 미래로 향하는 시너지! AI와 에너지, 미래로 향하는 시너지!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2기 홍세은, 23기 강민수 [인간 vs AI] [자료 1. AI의 형상화] 출처: KOSPO 2016년 3월, 전 세계의 이목이 쏠린 세기의 대결이 펼쳐졌다. 당시 최고의 바둑기사인 이세돌 9단이 구글 딥마인드(Google DeepMind)가 개발한 바둑 인공지능(AI) ‘알파고’와 겨룬 바둑 경기이다. 1997년에도 이미 IBM의 AI 슈퍼컴퓨터 ‘왓슨’은 세계 체스 챔피언을 눌렀고, 이후 내로라하는 전 세계 바둑기사들이 몇몇 AI 프로그램에 연거푸 패배를 당했다. 결과는 4대 1로 알파고의 완승이었다. 이후 이 9단은 은퇴 경기에서 바둑 AI ‘한돌’을 꺾었으나, 인간의 영역이라 자신했던 바둑마저 AI에 덜미를 잡혔다는 사실은 우리에게.. 2023. 3.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