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리파이너리2 삼면이 바다인 대한민국, 해양에서 미래를 보다 삼면이 바다인 대한민국, 해양에서 미래를 보다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5기 김승현 [해양 바이오에너지의 부상]지금 세계는 바다에서 가능성을 보고 있다. 매년 지구상에서 생산되는 2,000억 톤의 광합성량의 90%가 해양에서 이뤄지며, 지구상의 이산화탄소의 30% 이상을 직접 흡수하는 거대한 탄소 저장고의 역할을 바다가 한다. 바다의 중요성은 매우 크다. 우리나라는 삼면이 바다로 이루어진 환경을 최대로 이용해야 하며 해양 신재생에너지, 블루카본, 해양관광과 함께 떠오르는 이슈는 바로 해양 바이오에너지이다. 육상자원의 한계가 드러나기 시작하면서, 세계는 시각을 해양으로 돌려 해양자원으로부터 에너지를 얻고자 하는 정책과 연구들에 전 세계적으로 주목하고 있다. [새로운 가능성: 미세조류]바이오 에너지는 생물유.. 2024. 7. 30. 온실가스를 바이오 연료로, 미생물 전기합성 공정의 첫걸음! 온실가스를 바이오 연료로, 미생물 전기합성 공정의 첫걸음! 17기 서유경 1. e-바이오리파이너리 기술 정부 차원에서 203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량을 5억 3600억t으로 줄이기 위한 제2차 ‘기후변화대응 기본계획’이 결정되었다. 이에 이산화탄소를 자원화 하는 기술에 주목하고 있으며 활발히 연구 중이다. 이산화탄소 감축을 위한 다양한 기술 중 바이오리파이어리(Bio-refinery) 기술에 대해 알아보려한다. 지난 5월 27일 국내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광주바이오에너지연구개발센터 이진석 박사 연구진은 전해전지(Electrolytic cell)시스템과 미생물 대사과정을 결합한 ‘e-바이오리파이너리 기술’을 개발했다. 이진석 센터장은 “e-바이오리파이너리 기술은 기존 바이오매스 기반 바이오연료, 화학소재 생산.. 2020. 6. 29.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