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바이오항공유2

[Remake] 항공도 저탄소, 하늘에 지속가능항공유(SAF)의 바람이 분다 [Remake] 항공도 저탄소, 하늘에 지속가능항공유(SAF)의 바람이 분다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5기 김승현 24기 박선혜 님의 “항공 산업의 유망한 연료, SAF” 기사의 Remake 버전입니다. 기사 작성에 도움을 주시고 배려해 주신 박선혜 님에게 감사드립니다. [국내 지속 가능 항공유의 동참 바람]국내에서 지속 가능한 항공유(SAF)를 이용한 국제선 여객기가 운항을 시작했다. 이로써 한국은 세계에서 20번째로 국제항공 탄소 중립 레이스에 참여하게 되었다. 2022년까지만 해도 지속 가능 항공연료 생산량은 생산시설 및 공급망 부족 등을 이유로 전 세계 항공유의 0.1% 수준에 불과했다. 하지만 2024년 9월 기준 국내 6개의 항공사가 SAF의 도입을 시작하며 하늘에 SAF의 바람이 불기 시작했다.. 2024. 9. 25.
리그닌의 변신 - 산업 폐기물에서 차세대 에너지원으로! 리그닌의 변신 – 산업폐기물에서 차세대 에너지원으로!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19기 유홍주 [자료 1. 목질바이오매스의 구성성분] 출처 : researchgate 화석연료의 고갈, 과도한 화석연료의 사용으로 인한 기후변화 등으로 인해 전 세계적으로 신재생에너지는 중요한 에너지원으로 위치하고 있다. 특히 바이오매스는 인류의 오랜 역사 동안 이용되어 왔다. IEA의 통계에 따르면, 바이오매스는 전세계 에너지원의 4% 이상을 담당하고 있으며 IEA의 blue map 시나리오는 2050년 바이오매스의 사용량이 석탄, 오일, 천연가스 각각의 사용량을 넘어설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우리가 사용하는 바이오매스의 90%는 식물이 차지하고 있다. 그 중에서도 목질계 바이오매스가 대부분인데, 목본은 2차 세포벽으로 이루어.. 2021. 4. 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