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23 [Energy Nexus]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의 전력 공급 해법은?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의 전력 공급 해법은?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3기 김경훈, 25기 구윤서, 맹주현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에서 전기의 필요성[자료 1. 용인시 반도체 클러스터 조감도]출처 : 용인특례시용인시에는 원삼면 일대 415만㎡ 규모로 조성되는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 일반산업단지와 이동·남사읍 일대 728만㎡ 규모의 용인 첨단시스템반도체 국가산업단지가 계획돼 있다. 현재 두 클러스터를 중심으로 기업들의 투자가 이어지고 있다. [자료 2. 반도체 업체 연간 전력 사용량]출처 : 한국일보반도체 산업은 상당한 전력을 소비한다. 2023년 삼성전자가 전 세계 반도체(DS) 사업에 사용한 전력량은 32.384TWh에 달하고, SK하이닉스는 12.011TWh를 기록했다. 한국경제인협회의 '국가첨단전략산업 특화.. 2025. 4. 28. [ENERGY NEXUS] 미국으로의 반도체 공장 대이동, 물 공급 체계 흔들릴까? [ENERGY NEXUS] 미국으로의 반도체 공장 대이동, 물 공급 체계 흔들릴까?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3기 김경훈, 25기 구윤서, 맹주현 글로벌 반도체 기업들의 미국 투자미국은 반도체 생산 역량 강화를 위해 대규모 투자와 보조금 지원을 추진했으며, 글로벌 반도체 기업들의 미국 내 공장 건설을 가속화했다. 2022년 바이든 행정부는 'CHIPS and Science Act(반도체 및 과학법)'을 통해 반도체 기업에 보조금 390억달러와 연구개발(R&D) 지원에 132억달러를 배정했다. 이에 따라 TSMC, 삼성전자, 인텔을 비롯한 주요 기업들은 미국 내 공장 건설과 투자를 확대하며 반도체 공급망 재편을 주도하고 있다.[자료 1. 주요 반도체 기업 투자 현황]출처: 미라클아이TSMC는 애리조나주 피닉.. 2025. 3. 31. [ENERGY NEXUS]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의 물 공급 해법은? [ENERGY NEXUS]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의 물 공급 해법은?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3기 김경훈, 25기 맹주현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에서 물의 필요성[자료 1. 용인시 반도체 클러스터 조감도] 출처 : 용인특례시용인시에는 원삼면 일대 415만㎡ 규모로 조성되는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 일반산업단지와 이동·남사읍 일대 728만㎡ 규모의 용인 첨단시스템반도체 국가산업단지 조성이 계획돼 있다. 그리고 현재 앞의 두 클러스터를 중심으로 기업들의 투자가 이어지고 있다. SK하이닉스는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 일반산업단지에 122조원을 투자했으며, 삼성전자는 첨단시스템반도체 국가산단에 360조원을 투자했다. SK하이닉스가 투자한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의 전체 면적 중 48%는 SK하이닉스 팹 부지, 21%는 소재·부.. 2025. 3. 31. 차세대 반도체 물질, AgBiS2 차세대 반도체 물질, AgBiS2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5기 배현지 [양자점 태양전지의 새로운 방향]반도체를 아주 작게 만든 물질인 양자점은 입자의 크기가 매우 작아서 크기에 따라 광학적 성질이 달라진다. 이와 같은 특이한 현상은 전지가 흡수하는 태양광 영역을 자유자재로 바꿀 수 있게 만든다. 따라서 양자점은 반도체에 의한 광 흡수를 이용해 광전자 및 태양광 응용 분야에 적용되고 있다. 반도체의 최적 두께는 광 흡수에서 가장 중요한 요인인 흡수 계수에 따라 결정한다. 이때 흡수 계수는 재료의 특성에 따라 달라지며 일반적으로 황화납 (PbS), 셀렌화카드뮴 (CdSe)와 같은 재료가 광범위하게 연구 중이다. 하지만 PbS와 CdSe는 중독 및 환경오염을 유발할 수 있는 독성 물질이다. 이에 따라 기존 독.. 2024. 7. 24. 반도체의 핵심은 전력 반도체의 핵심은 전력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4기 유현지 [전기 먹는 하마, 반도체]24시간 365일 가동되는 반도체 공장은 그야말로 전기 먹는 하마다. 우리나라에서 산업용 전력을 가장 많이 사용하는 기업으로는 글로벌 반도체 산업에서 두각을 나타내는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있다. 반도체 산업은 우리나라의 가장 대표적인 핵심 산업임과 동시에 환경 분야에서 상당한 문제점을 드러내는 산업이기도 하다.[자료 1. 산업용 전력 많이 쓰는 기업]출처 : 국민일보이러한 막대한 전력 소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반도체 업계는 2050년까지 기업에서 사용하는 전력의 100%를 재생에너지로 전환하겠다는 'RE100' 이니셔티브에 가입해 탄소 배출량 감축을 목표로 하고 있다. 하지만 한국의 반도체 기업은 RE100 목표 .. 2024. 7. 1. 반도체, 너 이것도 해결할 수 있어? 반도체, 너 이것도 해결할 수 있어?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2기 박재욱 [반도체 산업의 미래] [자료 1. 테크인사이츠가 예측한 반도체 산업의 전망] 출처 : 디지털타임스 2023년은 반도체 산업에 있어서 그야말로 악몽과 같은 해였다. 우리나라를 이끌어가는 기업이라 할 수 있는 삼성전자와 SK 하이닉스의 영업 이익이 매 분기 감소한 것은 물론, 삼성전자의 경우 15년 만에 적자를 기록하며 국민들의 우려를 한 몸에 받았다. 세계 최고의 반도체 대장간이라는 별명을 가진 TSMC 역시 영업 이익 그래프가 아래로 꺾이며 반도체 불황기를 몸소 증명했다. 21세기 산업을 주도하던 반도체가 휘청거린 것이다. 글로벌 경기 침체와 설비 투자의 증가, 반도체 수요 감소 등의 상황이 한 번에 겹친 것이 그 이유이다. 하.. 2024. 1. 31. 맥신은 과연 '꿈의 신소재'인가 맥신은 과연 '꿈의 신소재'인가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4기 김석언 [세계를 뒤흔든 초전도체, 그 다음 주자는 맥신?] [자료 1. 맥신의 층상 구조] 출처 : Advanced Mateirals 최근 과학계를 가장 크게 뒤흔든 키워드는 단연 ‘초전도체’일 것이다. 국내 연구진이 세계 최초로 물질의 저항이 0이 되는 초전도 현상을 상온 상압에서 구현하는 데 성공했다고 보고해 학계뿐 아니라 전 세계가 떠들썩했다. 관련 회사들의 주식 가격이 급등했고, 세계적으로 많은 연구팀들이 이 현상을 재현하기 위해서 달려들었다. 상온 상압 초전도체 검증을 둘러싸고 과학계가 아직 뜨거운 논쟁을 벌이고 있을 때, 주식 시장에서는 초전도체의 열기가 가시기 전 또 다른 ‘꿈의 신소재’ 맥신(MXene) 열풍이 불기 시작했다. .. 2023. 10. 31. 산업단지 물 부족의 떠오르는 해결책, 하수 재이용 산업단지 물 부족의 떠오르는 해결책, 하수 재이용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1기 홍서현, 22기 김혜윤, 23기 강민수, 송태현, 24기 유현지 산업단지 물부족에 따른 정부의 규제 완화 2021년 세계기상기구(WMO)는 물에 관한 보고서에서 ‘2018년 36억 명의 사람들이 적어도 1년에 한 달 동안 물을 제대로 이용하지 못했다. 2050년까지, 물 부족에 시달릴 사람은 50억 명 이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라고 밝혔다. 물 부족 현상으로 인한 문제는 물 사용량이 많은 정보기술(IT) 산업단지에서도 속출하고 있으며 특히 반도체 산업에서 받는 영향이 큰 것으로 확인된다. 현대차증권이 지난 5월 발표한 일일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 남부 지역의 경우 긴 건기로 인한 가뭄 현상으로 수력 발전량이 급감하여 .. 2023. 9. 2. 이전 1 2 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