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배양육4

푸드테크, 식품 산업에 최첨단 기술과 친환경을 담다. 푸드테크, 식품 산업에 최첨단 기술과 친환경을 담다.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6기 강민석푸드테크의 등장 전 세계의 인구수가 급증하면서 먹거리에 대한 수요가 늘어나고 있다. 먹거리에 대한 수요가 늘어남에 따라, 이를 충족시키기 위해 배출되는 탄소의 양도 같이 늘어나고 있다. 실제로 농업, 축산, 수산, 가공, 조리, 유통, 배달 등 전 과정에서 발생하는 탄소 배출량이 지구 전체 탄소 배출량의 35%가 넘는 비율을 차지한다. 이로 인해 사람들의 친환경 대체 식품에 대한 관심이 커지기 시작했다. 위와 같이 식량 안보의 문제를 해결하고, 친환경 대체식품 기술을 발전시키기 위해 푸드테크 시장이 점차 확대되기 시작했다. 푸드테크란 음식(Food)과 기술(Technology)의 합성어로, 식품산업에 바이오, AI, .. 2024. 10. 28.
[Remake]드라마 '지배종' 속 배양육, 지구를 구할 미래 식량이 될까? [Remake]드라마 '지배종' 속 배양육, 지구를 구할 미래 식량이 될까?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5기 맹주현 20기 조현욱 님의 "기후변화의 대안으로 떠오른 배양육, 그 실체는?" 기사의 Remake 버전입니다.기사 작성에 도움을 주시고 배려해주신 조현욱 님에게 감사드립니다. [배양육, 이제는 낯설지 않은 단어]배양육을 주제로 한 드라마 ‘지배종’이 5월 8일, 9, 10회 공개를 끝으로 막을 내렸다. ‘지배종’은 2025년 새로운 인공 배양육의 시대를 연 생명공학기업 BF의 대표 윤자유(한효주)와 그에게 의도적으로 접근한 퇴역 장교 출신의 경호원 우채운(주지훈)이 의문의 죽음과 사건들에 휘말리며 배후의 실체를 쫓는 서스펜스 스릴러 드라마이다. 드라마의 시작부터 "피 흘리는 고기를 거부한다"고 말하며.. 2024. 7. 26.
온실가스의 주범, 해산물! 대체 해산물은? 온실가스의 주범, 해산물! 대체 해산물은?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1기 홍서현 해산물, 얼마나 많이 소비될까? [자료 1. 주요국 1인당 해산물 소비량 TOP 5] 출처 : 컨슈머포스트 2021년 유럽위원회 공동연구센터(JRC)에서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국민 1인당 연간 소비량은 한국이 58.4kg으로 가장 많았고 노르웨이 53.3kg, 일본 50.2kg, 중국 39.5kg 순으로 나타났다. 해산물 총소비량이 가장 많은 국가는 중국이었다. 중국은 경제 성장으로 중산층의 수가 증가하면서 수산물 시장이 크게 확대되었다. 최근 세계 수산물의 1/3이 중국으로 수입되었으며 무분별한 조업으로 인해 해상 생태계에도 영향을 주고 있다. 전문가들은 “원래 민물고기를 선호하던 중국인들에게 해산물이 새로운 먹거리로 인기.. 2023. 1. 30.
기후변화의 대안으로 떠오른 배양육, 그 실체는? 기후변화의 대안으로 떠오른 배양육, 그 실체는?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0기 조현욱 서론 우리 몸은 에너지를 얻기 위해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 3가지 영양소가 필요하다. 그중 단백질은 효소나 항체 등의 생체 기능을 원활하게 돕는 윤활제 역할을 하므로 건강한 몸에 필수적이다. 그중에서도 으뜸은 동물성 단백질을 함유하는 육류다. 육류는 단백질 함량이 높으며, 특유의 맛과 질감 때문에 남녀노소 누구에게나 사랑받는 음식이다. 하지만 그 육류를 환경적인 측면에서 바라본다면 어떠할까? 일반적으로 육류 위주의 식단은 지구온난화 가속화에 수많은 방면으로 관여한다. 가령, 육류를 얻기 위해 사육되는 가축은 상당한 양의 방귀와 트림을 배출한다. 방귀와 트림의 주요 구성성분은 메탄가스로, 이산화탄소보다 지구온난화 효과가.. 2022. 1.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