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전4 [대신기와 맞춰보는 전력퍼즐] ④배전편 [대신기와 맞춰보는 전력퍼즐] ④배전편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3기 김용대, 25기 구윤서, 김승현 해당 시리즈의 마지막 기사는 '배전'이다. 전력계통에서 소비자에게 전력을 전달하는 배전 부문에 대하여 배전 방식과 법령, 전기요금 종류, 장기 배전계획 소개 등으로 구성하였다. 국내 배전망 개요이 시리즈에서 소개한 발전, 송전, 변전, 그리고 배전까지 연결된 망을 전력계통이라고 한다. 특히 배전은 전기를 전달한다는 역할이 같아 송전과 헷갈리기 쉽다. 이전에 언급했듯이 송전은 발전소에서 생산한 고압 전기를 먼 거리인 변전소까지 보내는 과정이고, 배전은 변전 후 전기를 최종 소비자에게 보내는 마지막 과정이다. 배전설비들은 우리가 전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직접 연결하는 역할이다. 현재 우리나라의 배전망은 한국전.. 2025. 7. 20. [대신기와 맞춰보는 전력퍼즐] ③송변전편 [대신기와 맞춰보는 전력퍼즐] ③송변전편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3기 김용대, 25기 구윤서 본 '대신기와 맞춰보는 전력 퍼즐' 시리즈는 전력 분야와 관련된 기초적인 개념에 대해 다룬다.해당 시리즈의 세번째 기사는 '송변전'이다. 전력계통에서 전력을 전달하는 송변전 부문에서 대하여 송변전 개념 정의, 송변전망 부족 문제 소개, 제10차 장기 송변전설비계획 분석 등으로 구성했다. 국내 송변전망 개요 지난 발전편에서 전기가 어떻게 생산되는지 살펴봤다면, 이번에는 ‘전기가 어떻게 전송되는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전력계통을 설명할 때는 종종 물에 자주 비유되곤 한다. 지하수의 물을 다른 지역으로 보내고 싶은 상황이라고 가정하자. 우선 지하수의 물을 펌프를 통해 지상으로 끌어올려야 할 것이다. 그리고 지상의.. 2025. 5. 26. 전력 인프라의 미래는? 전력 인프라의 미래는?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4기 박선혜 발전원부터 전력 거래 시장까지현재 우리는 에너지 전환이라는 중요한 전환점을 맞이하고 있다. 전 세계적으로 화석연료 의존도를 줄이고 신재생에너지 비율을 확대하는 추세가 강하게 나타나며, 이는 국내 전력 시장에도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특히, 신재생에너지의 확산과 함께 기존 발전원에 대한 의존도를 점차 줄여나가는 과정에서, 전력망의 효율적 운용과 안정적인 공급을 위한 새로운 기술과 전략들이 요구된다. 이와 함께 발전원 간의 균형을 맞추고, 거래 방식의 개편에 대한 필요성도 커지고 있다. 발전에서부터 거래까지 전력 인프라의 주요 이슈를 다룬다. 차세대 에너지 전환, SMR과 수소우리나라 주요 전력지표를 살펴보자. 전력통계정보시스템에 따르면 2023년.. 2025. 1. 25. 전기공학, 미학(美學)을 품다 전기공학, 미학(美學)을 품다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4기 배장민 흉물로 여겨지는 전력설비바쁜 현대 사회에서 전기의 역할은 그 위상이 대단하다. 전기 없는 삶을 생각해 본 적이 있는가? 물론, '옛날에는 전기 없이도 다 잘 살았어'라고 말씀하시는 어른들이 계실지도 모른다. 하지만 실제 정전이 2~3시간만 발생해도 많은 불편함이 발생한다. 실제로 2011년 순환성 정전사태를 돌이켜 보았을 때 단순히 불편한 수준을 넘어서 공장의 납품계약 파기, 식당에서 식료품이 녹아 입은 피해, 대학 수시 원서접수 마감일자의 변경 등 많은 경제·사회적 피해가 발생했다. 이제 누구도 우리의 삶에 전기가 꼭 필요한 존재임을 부인할 수 없을 것이다.꼭 필요한 전기이지만, 관련된 설비들이 우리집 근처로 오면 입장이 달라진다. 상쾌.. 2024. 11. 25.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