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로3 탈탄소화의 흐름 속에서 철강산업의 미래는? 탈탄소화의 흐름 속에서 철강산업의 미래는?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4기 변지원 철강산업은 석탄을 주요 연료로 하기에 전체 온실가스 배출량 중 철강산업이 차지하는 비중이 매우 높을뿐더러 이산화탄소 감축이 매우 어려운 산업이다. 그렇기 때문에 더더욱 업계에서는 철강업의 탈탄소 동향에 대해 주목하고 있고, 다양한 글로벌 무역 규제 등으로 관리를 강화하고 있다. 이와 같은 흐름이 철강업계에는 어떤 파장을 일으키고 있는지, 전망은 어떠한지 알아보도록 하자. [철강업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 배출]철강산업은 한국 제조업의 핵심 기반 산업으로, 철광석과 철스크랩(고철) 등을 원료로 철강재를 생산하며, 자동차, 건설, 조선 등 다양한 전방 산업에 공급한다. 이처럼 철강산업은 한국 경제 전반에 큰 영향을 미치는 기초 산업.. 2024. 9. 30. [Remake] 탄소중립으로 이뤄낼 탄탄한 철강 [Remake] 탄소중립으로 이뤄낼 탄탄한 철강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5기 안수연 국내외 환경규제와 철강산업에서의 탄소배출지난 23년 5월 17일, EU 탄소국경조정제도(EU CBAM) 법안이 최종 승인되었다. EU CBAM은 EU 탄소배출권 거래제(EU ETS)에 따라 탄소 누출이 일어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탄소 배출 비용이 반영되지 않은 수입품에 대해 탄소 비용을 EU에서 생산된 제품과 동일한 수준으로 부과하는 제도이다. EU CBAM은 2026년 1월 시행 이전 23년 10월부터 전환 기간을 시작하며 기업들의 부담이 증가했다. EU CBAM이 철강, 시멘트, 철강∙알루미늄 2차 가공품 등에 적용되면서, 철강과 시멘트를 수출하는 국내 기업들이 체감하는 부담은 더 크다.[자료 1. 탄소 저감 철.. 2024. 5. 27. 대량의 온실가스를 배출하는 ‘철강산업’의 ‘탈탄소화’ 대량의 온실가스를 배출하는 ‘철강산업’의 ‘탈탄소화’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3기 김예진 [철강산업의 탈탄소화 필요성] 철을 생산하는 공정에서는 석탄을 연료로 만든 코크스(coke)를 환원제로써 산화철 상태인 철광석(Fe2CO3)에서 철을 생산하고, 이 과정에서 탄소가 다량으로 배출된다.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자료에 따르면, 2020년에 세계 철강산업의 온실가스 배출량은 전체에서 7%, 산업 부문에서 25%이고, 국내 철강산업의 온실가스 배출량은 전체에서 16.7%, 산업 부문에선 30%를 차지하고 있다. [자료 1. 국가 온실가스 배출량 비중, 2020년 기준] 출처 : 내외신문 세계 각국이 탄소중립을 잇달아 선언하고, 유럽의 탄소국경조정제도(CBAM)가 도입돼 엄격한 탄소 배출 규제가 생긴 가운데, .. 2024. 1. 1.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