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청정수소11

수소법과 알록달록 수소 이야기 수소법과 알록달록 수소 이야기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2기 김혜윤, 박주은 [차세대 에너지원, 수소] 온실가스 배출로 인한 환경오염은 현대 사회의 가장 큰 이슈 중 하나다. 석탄, 석유, 원자력 등의 에너지원은 경제 규모의 성장을 촉진시켰으나 막대한 양의 온실가스를 배출해왔다. 유엔기후협약을 시작으로 교토의정서, 파리협정 등의 협약을 통해 세계는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2018년 “2030 온실가스 감축 목표달성을 위한 기본 로드맵 수정안”에서 2030년까지 BAU 대비 온실가스 37%를 감축을 목표로 발표했다. 2020년에는 “2050 장기 저탄소 발전전략”을 추가로 발표했다. 이렇듯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흐름 속에서 세계를 비롯해 우리나라에서도 수소가 차세대 에.. 2023. 3. 18.
음식물 쓰레기로 수소차를 충전한다고? 음식물 쓰레기로 수소차를 충전한다고?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1기 김보연 2022년 4월 1일, 충북 충주에 지어진 바이오수소융복합 충전소가 문을 열었다. 이 충전소는 인근의 음식물 바이오에너지센터에서 생산된 바이오가스를 이용해 수소를 생산하고 충전하는 시설이다. 화석 에너지가 아닌 재생에너지의 한 종류인 바이오가스를 이용하기 때문에 청정 수소를 생산하는 시설로 분류된다. 또한 이번 바이오수소융복합 충전소는 수소 충전뿐만 아니라 수소를 생산해 인근 수소충전소에 수소를 공급하는 역할을 하는 한국 최초의 ‘수소 마더 스테이션’이라는 점에서 더욱 의미가 있다. 본 기사에서는 충주 바이오수소융복합 충전소의 원리와 특징, 앞으로의 기대효과와 타지역으로의 확대 가능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음식물 쓰레기로 만드.. 2022. 6. 27.
수소를 사오면 해결된다?! 수소를 사오면 해결된다?!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17기 이지윤 수소연료전지의 붐 수소 연료의 붐은 어디서부터 시작되었을까? 조지 부시 미국 전 대통령이 2003년 신년사에서 수소자동차를 언급하면서부터이다. 너도나도 수소를 새로운 대체 에너지로 주목을 하면서부터 그야말로 연료전지 열풍이 불기 시작하였다. 연료전지는 수소와 산소를 전기화학적으로 결합하여 전기와 물을 생산하는 기기이며 원래 잠수함이나 우주선 같은 곳에 사용되었던 전지이다. 우주선에 수소와 산소를 싣고 가 우주에서 물과 동력을 얻는데 사용되었다. 그 후로 연료전지는 지금까지도 계속 활발히 진행되고 있고 우리가 기대하고 있는 신재생에너지의 한 분야이다. 한국도 지금 한창 수소연료전지의 붐이 일고 있다. 수소연료전지의 부산물! 한국에서는 수소 연.. 2020. 12.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