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시멘트협회2

[취재] 쓰레기 시멘트? ‘자원순환형’ 시멘트! ②유해성 쓰레기 시멘트? ‘자원순환형’ 시멘트! ②유해성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1기 한세민 인터뷰 및 기사 작성에 도움을 주신 한국시멘트협회에 감사드립니다. ‘쓰레기 시멘트’? 시멘트의 순환자원 활용을 둘러싼 갈등[자료 1. 시멘트 공장사진]출처 : 한국시멘트협회 제공해당 시리즈 기사의 지난 편에 따르면 석회석을 주원료로 하는 시멘트 제조시 부원료 및 보조연료의 일부를 순환자원(재활용 가능한 폐기물)을 대체하는 친환경 공정은 효율적으로 폐기물을 처리하는 획기적인 방법으로 여겨진다. 나아가 서서히 우리를 위협해 오고 있는 ‘쓰레기 대란’이라는 환경문제에도 중요한 해결책이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이러한 시멘트를 둘러싼 상반된 두 시각이 존재한다. 순환자원을 재활용해 환경문제를 해결하는 ‘자원순환형 시멘.. 2025. 1. 25.
쓰레기 시멘트? 자원순환형 시멘트! ①시멘트 공정 쓰레기 시멘트? 자원순환형 시멘트! ①시멘트 공정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1기 한세민 자원순환과 시멘트 산업하루 평균 발생하는 생활∙사업장 폐기물 40만 톤, 수도권 매립지에 버려진 쓰레기 약 1억 5천만 톤(‘92년~). 이 방대한 양의 쓰레기는 모두 어디로 갈까? 지금까지의 폐기물 처리방식은 쓰레기 처리 비용과 시설에 대한 문제가 꾸준히 제기되고 있다. 또한, ‘폐기물 해양투기 전면 금지’와 같은 노력에도 재활용 가능한 폐기물을 불법으로 처리하는 등의 문제가 남아 있어 환경오염은 물론이고 국가적 자원 낭비가 계속되고 있다. 배출되는 쓰레기를 더 이상 처리할 수 없어지는 ‘쓰레기 대란’을 마주하기까지 시간은 지금 이 순간에도 흐르고 있다. 그렇기에 지금이 바로 폐기물 발생을 억제하면서 천연원료 및 연료.. 2024. 11.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