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해수담수화6

[Remake][배터:Reader] 바다의 진리를 넘는 에너지, 해수배터리 읽기 [Remake][배터:Reader] 바다의 진리를 넘는 에너지, 해수배터리 읽기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6기 류호용 17기 백도학 선배님의 "바다가 주는 무한한 에너지 '해수전지'" 기사의 Remake 버전입니다. 기사 작성에 도움을 주시고 배려해 주신 17기 백도학 선배님에게 감사드립니다. 차세대배터리: ESS의 시대에 살고 있다[자료 1. ESS를 주목하는 이유]출처 : 배터리인사이드 우리는 감히 이차전지(Secondary Battery)의 시대에서 살아가고 있다. 기존 리튬이온배터리(LIB)가 지배하는 현실에서 고에너지밀도를 위한 더 좋은 소재, 배터리를 강구하며, 안정성을 보장받기 전고체(All-solid state Battery)로의 전환을 떠드는 등 새로운 시대가 열리길 학수고대(鶴首苦待).. 2025. 6. 25.
[취재][Water Risk:수자원 리스크] 국회물포럼 제28차 토론회 ‘대체수자원 현안과 미래 발전 방안’ [취재][Water Risk:수자원 리스크] 국회물포럼 제28차 토론회 ‘대체수자원 현안과 미래 발전 방안’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3기 김경훈 국회물포럼[자료 1. 국회물포럼 로고]출처: (사)국회물포럼[자료 2. 국회물포럼의 사명]출처: (사)국회물포럼국회물포럼은 국내 물 관련 논의를 선도하는 최고 권위의 포럼으로, 우리나라 모든 물 관련 학회와 기관이 참여하며, 통합물관리 실현을 목표로 활동하고 있다. 또한 제1차 토론회:국민이 바라는 물관리는?(‘19.01)를 시작으로 매년 토론회를 개최해, 물 관련 정책 및 관련법안의 제⋅개정 등 입법활동 지원과 제도, 정책, 기술에 대한 ‘Think tank’ 역할을 주도적으로 하고 있다. 국회물포럼 제28차 토론회 : 대체수자원 현안과 미래 발전 방안[자료.. 2025. 3. 2.
전기 생산하면서 해수 담수화까지, ‘일석이조’ 해수전지 전기 생산하면서 해수 담수화까지, ‘일석이조’ 해수전지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4기 김석언 [리튬이온전지의 한계, 해수전지의 등장] 전기차 시장이 급성장하면서 이차전지에 관한 관심이 어느 때보다 뜨겁다. 현재 이차전지 시장에서 가장 중심에 있는 것은 단연 리튬이온전지다. 리튬이온전지는 기존에 있던 이차전지와 비교할 때 용량과 수명 특성이 훨씬 뛰어나고, 부피가 작아 휴대성이 극대화되면서 수요가 급격히 증가했다. 하지만 리튬이온전지는 화재 위험이라는 안전성 문제가 있고, 사용되는 리튬, 코발트, 희토류 등의 금속 채굴 과정이 친환경적이지 않다는 지적이 꾸준히 제기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희귀금속 사용을 최소화하거나 나트륨같이 지구상에 풍부한 다른 원소로 대체하려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중 참.. 2023. 9. 27.
바닷물에서 전기와 식수가 만들어진다? 염분 차 담수화 융합기술! 바닷물에서 전기와 식수가 만들어진다? 염분 차 담수화 융합기술!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1기 박지원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이 세계 최초로 바닷물에서 전기와 식수를 생산하는 기술을 융합한 기술을 개발하여 단일 플랜트 실증을 마쳤다고 한다. 이 공정의 핵심 소재인 분리막을 기존 최고 수준에 대비하여 2배 이상 향상해 세계적인 선도 기반도 마련하였다. 또한,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은 에너지의 소모량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역삼투 모듈의 앞뒤에 역전기 투석 발전기를 연계하여 융합 공정을 개발하였다. (역전기투석-역삼투-역전기투석) [자료 1. 역전기투석-역삼투-역전기투석 파일럿 전경] 출처 :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공식 블로그 염분 차 담수화 융합기술의 원리 우선 역삼투란 '삼투압보다 높은 압력을 가하여 반투막으로 용매를.. 2022. 8. 29.
바다가 주는 무한한 에너지 '해수전지' 바다가 주는 무한한 에너지 '해수전지'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17기 백도학 단원 해수전지란 무엇인가?국내에서 배터리의 중요성이 계속해서 커지며 에너지 저장 시스템 시장의 규모가 약 4조 원에 가까이 가고 있다. 흔히 ‘건전지’라고 불리는 1차 전지는 수명이 다하면 사용하지 못한다는 단점이 존재했다. 그리고 이러한 단점 극복을 위해 2차 전지, 리튬이온배터리가 등장한다. 이는 방전과 충전을 반복할 수 있어 긴 수명을 가지고 있으며 지구 상에 존재하는 금속 중에서 가장 가벼운 물질로 구성되어 있다. 하지만 이 역시도 폭발과 화재의 위험성을 가지고 있어 이를 보완한 신개념 전지가 바로 ‘해수전지’이다.[자료 1. 해수전지의 원리]출처: UNIST해수전지는 海水(해수), 즉 바다의 물을 사용하는 전지이다. 바닷.. 2020. 3. 23.
재료연구 관점에서의 해수 담수화 기술, wood- Graphene Oxide system 재료연구 관점에서의 해수 담수화 기술, wood- Graphene Oxide system Materials Research Article : 효과적인 솔라스팀 생성과 담수화를 위한 wood- Graphene Oxide system 국제인구행동연구소(PAI;Population Action International)에서 전세계 국가를 대상으로 평가해 물이 부족하다고 분류한 일군의 나라를 말한다. 강우 유출량을 인구수로 나누어 1인당 물 사용 가능량이 1000㎥ 미만은 물 기근국가, 1000㎥ 이상에서 1700㎥ 미만은 물 부족국가, 1700㎥ 이상은 물 풍요국가로 분류한다[1]. [사진 1. 가뭄에 메마른 땅] 출처: 연합뉴스 타는 듯 한 가뭄에 몸서리 치는건 사람만이 아니다. 부족한 농업용수로 인한 농경피.. 2017. 8.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