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수산부9 해양플라스틱 파헤치기(1): 해양플라스틱 개념 정립과 현황 파악 해양플라스틱 파헤치기(1): 해양플라스틱 개념 정립과 현황 파악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15기 민정윤 1. 해양쓰레기란? 해양쓰레기는 바다로 들어가 못쓰게 된 사람이 활동하며 생긴 모든 부산물을 말한다. 근본적으로 육지의 쓰레기와 다르지 않다. 육지에서 바다로 유입되었던, 바다에서 직접 버려졌건 사람이 활동하며 쓰인 모든 물건, 도구, 구조물 등이 해양쓰레기가 된다. 해양쓰레기는 해양폐기물, 바다쓰레기라고도 불린다. 그러나 해양폐기물에는 축산분뇨, 하수오니 등 해양으로 배출되는 액상의 물질이 포함되지만, 해양쓰레기라고 할 때는 일반적으로 고형의 폐기물만을 의미한다. 해양쓰레기가 어디에 분포하고 있느냐에 따라 해변 또는 해안쓰레기, 부유쓰레기(해수표면 가까이에 떠다니는 쓰레기), 해저 또는 침적쓰레기(바다.. 2020. 1. 27.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