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해양에너지3

삼면이 바다인 대한민국, 해양에서 미래를 보다 삼면이 바다인 대한민국, 해양에서 미래를 보다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5기 김승현 [해양 바이오에너지의 부상]지금 세계는 바다에서 가능성을 보고 있다. 매년 지구상에서 생산되는 2,000억 톤의 광합성량의 90%가 해양에서 이뤄지며, 지구상의 이산화탄소의 30% 이상을 직접 흡수하는 거대한 탄소 저장고의 역할을 바다가 한다. 바다의 중요성은 매우 크다. 우리나라는 삼면이 바다로 이루어진 환경을 최대로 이용해야 하며 해양 신재생에너지, 블루카본, 해양관광과 함께 떠오르는 이슈는 바로 해양 바이오에너지이다. 육상자원의 한계가 드러나기 시작하면서, 세계는 시각을 해양으로 돌려 해양자원으로부터 에너지를 얻고자 하는 정책과 연구들에 전 세계적으로 주목하고 있다.  [새로운 가능성: 미세조류]바이오 에너지는 생물유.. 2024. 7. 30.
수상 태양광의 뜨거운 감자 FRP, 이대로 괜찮은가? 수상 태양광의 뜨거운 감자 FRP, 이대로 괜찮은가?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14기 김준호, 17기 서유경, 18기 한동근, 19기 김아현 재생에너지 3020 정책에 이어 최근 발표된 그린 뉴딜 정책을 통해 정부는 에너지 전환의 핵심인 재생에너지 생태계 육성에 집중하고 있다. 정부는 재생에너지의 전력 생산 비중을 20% 끌어올리기로 하면서 재생에너지 인프라 확충에 나서고 있다. 특히 정부가 지원에 적극적인 분야가 대표적인 재생에너지인 태양광 발전이다. 정부는 태양광 발전에 대한 재정 지원 정책을 확대하는 것은 물론 국가적인 대형 태양광 발전 단지 조성에도 힘을 쏟고 있다. [ 자료 1. 새만금에 설치된 수상 태양광 발전소 ] 출처 : 지앤이타임즈 수상 태양광 발전은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태양광 발전 단지.. 2021. 3. 1.
바다와 강이 만나면 전기가 생긴다! 바다와 강이 만나면 전기가 생긴다! 2015년 파리기후협약이 체결됨에 따라 온실가스 배출량을 감축시키기 위한 노력과 관심이 커진 데다가, 문재인 정부가 탈원전 탈석탄 정책을 시행하면서, 자연스럽게 신재생에너지원의 개발 및 보급이 중요한 관심사가 되었다. 이런 상황 속에서, 해수와 담수의 염분농도 차를 이용한 염분 차 발전이 새롭게 떠오르고 있다. 기존의 태양광, 풍력 등의 신재생에너지원들은 육지에 지어지기에 발전시설을 늘리는 데 한계가 있는 데 비해 지구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바다를 활용한 염분 차 발전은 이런 한계가 없고, 삼면이 바다로 둘러싸인 우리나라에서 활용하기 좋은 기술이다. 또한, 잠재적인 발전량도 전 세계 전력소비량과 유사한, 원자력 발전소 2,600여 개의 연간 전력 생산량에 해당하는 2.4.. 2017. 9.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