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해조류3

삼면이 바다인 대한민국, 해양에서 미래를 보다 삼면이 바다인 대한민국, 해양에서 미래를 보다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5기 김승현 [해양 바이오에너지의 부상]지금 세계는 바다에서 가능성을 보고 있다. 매년 지구상에서 생산되는 2,000억 톤의 광합성량의 90%가 해양에서 이뤄지며, 지구상의 이산화탄소의 30% 이상을 직접 흡수하는 거대한 탄소 저장고의 역할을 바다가 한다. 바다의 중요성은 매우 크다. 우리나라는 삼면이 바다로 이루어진 환경을 최대로 이용해야 하며 해양 신재생에너지, 블루카본, 해양관광과 함께 떠오르는 이슈는 바로 해양 바이오에너지이다. 육상자원의 한계가 드러나기 시작하면서, 세계는 시각을 해양으로 돌려 해양자원으로부터 에너지를 얻고자 하는 정책과 연구들에 전 세계적으로 주목하고 있다.  [새로운 가능성: 미세조류]바이오 에너지는 생물유.. 2024. 7. 30.
해조류? 해초류? 환경을 지키는 '바다숲' 해조류? 해초류? 환경을 지키는 '바다숲'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21기 이태환 [나사가 주목한 남해] 작년 4월, 미국항공우주국(NASA)에서 전남 완도군과 해남군 지역 일대를 지구관측 위성으로 촬영한 사진을 공개하면서 한국의 해조류 양식과 섭취 문화에 주목했다. NASA는 “한국은 돌김(Pyropia)을 양식하는 세계 최대 수출국”이라고 소개하며 “전통적으로 산모가 출산 후 한 달 동안 미역국을 먹으며, 흔한 생일 음식으로도 소비된다”고 언급했다. NASA에서 한국의 남해안에 주목한 이유는 무엇이었을까? 크게 두 측면에서 설명해볼 수 있는데, 해조류 양식이 다른 식량 생산에 비해 담수나 비료가 적게 소모되어 환경에 미치는 영향이 적다는 것이 첫 번째 이유였으며, 다른 이유는 ‘블루카본’의 관점에서 이산.. 2022. 12. 26.
해조류로 수소를 생산한다고 ? 해조류로 수소를 생산한다고 ?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0기 김지원 산업혁명이 일어났던 18세기 후반 이후 지금까지 우리는 화석연료를 이용해 비약적인 발전을 이뤄왔고, 이는 인류 문명의 밑바탕이 되었다. 그러나 그 과정에서 우리는 지구의 자정능력을 넘어선 해를 끼쳤고 전 세계적으로 기후변화, 지구 온도와 해수면 상승 등이 이어졌다. 이제 우리는 에너지 패러다임을 바꿔야 할 때를 마주했다. 그리고 이에 맞춰 화석연료를 대체할 만한 에너지를 찾아 전 세계 수많은 사람들의 연구와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그중에서도 화석연료를 대체하기에 가장 적합한 에너지원은 바로 수소 에너지이다. 지역적 편중이 존재하지 않는 보편성, 이산화탄소를 배출하지 않는 친환경성, 그리고 공급의 안정성이 다른 대체 에너지와 비교되는 수소.. 2022. 2.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