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환경교육2

[녹색 나들이 시리즈] [취재] 환경교육과 전시, 전시관의 입장은? [녹색 나들이 시리즈] [취재] 환경교육과 전시, 전시관의 입장은?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2기 정이진, 23기 김태현, 24기 유현지, 25기 구윤서, 26기 김승진, 김예은, 류호용 친환경 인식은 있으나 실천으로 옮기기 어려운 현실“친환경”이라는 말에 사람들은 어떻게 반응할까? 젊은 세대는 기성세대보다 지속가능성과 친환경 트렌드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다. 독일의 친환경 정수기 브랜드인 브리타가 20대 친환경 인식 조사를 진행한 결과, 전체 응답자의 90% 이상이 일상에서 환경 보호의 중요성을 느낀다고 평가했다. 그러나 지속가능성을 고려한 소비를 실천하는 비율은 11%에 그쳤다. 환경 보호의 필요성은 인식하고 있지만 이것이 실질적인 실천 행위로는 이어지지 않는 것이다. “친환경”에 가장 민감하게 반응하.. 2024. 9. 30.
[취재]세 살 적 환경 교육, 여든까지 간다 세 살 적 환경 교육, 여든까지 간다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3기 김경훈, 김용대, 24기 이지혜 세대별 동상이몽(同床異夢)[자료 1. 세대에 따른 사회⋅환경문제 1순위 응답 비율]출처: "기후변화 인식과 대응 행동의 세대 간 비교: 수도권 주민을 대상으로" 재구성(베이비붐 세대: 1956~1964년 출생, X세대: 1965~1976년 출생, 전기 Y세대: 1977~1986년 출생, 후기 Y세대: 1987~1996년 출생, Z세대 1997~2006년 출생)세대 별로 심각하게 여기는 사회⋅환경문제가 다르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연령이 낮은 세대에서 일자리 부족과 남녀갈등을 심각하게 여기고 있었다. 젊은 세대가 기후위기에서 보다 오래, 심각한 상황에 노출될 가능성이 더 높음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경향을 보.. 2024. 5.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