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환경위성2

우주에서 본 기후위기: 위성으로 본 지구의 상처 우주에서 본 기후위기: 위성으로 본 지구의 상처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6기 김예은 우주에서 본 기후위기산업혁명 이후, 인류는 엄청난 발전을 이루며 동시에 지구를 개발해왔다. 다만 현재는 그 개발의 여파로써 기후위기를 맞이했고, 그러한 결과는 피부로 느낄 수 있을 정도로 가까워졌다. 잦은 가뭄이나 홍수, 폭염, 달라진 계절의 길이 등 피부로 느낄 수 있는 지표들도 있지만, 아직까지도 기후변화가 추상적이라고 느끼는 사람들도 있을 수 있다. 이를 위해 지구의 온도나 빙하, 산림, 사막화, 바다의 변화 등 백마디 말보다 한장의 위성사진으로 본다면 보다 더 직관적으로 기후위기를 관측할 수 있다.[자료 1. 구글 어스 타임랩스]출처 : 한겨레위 사진은 구글이 미국항공우주국(NASA), 미국 지질조사국, 카네기멜.. 2025. 7. 21.
세계 최초 정지궤도 환경위성 “천리안 2B”호, 미세먼지 해결방안 찾을까? 세계 최초 정지궤도 환경위성 “천리안 2B”호, 미세먼지 해결방안 찾을까?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17기 심유진단원 국내 기술로 개발한 “천리안 2B호”가 지난 2월 19일 오전 7시 18분, 남미 프랑스령 기아나의 기아나우주센터에서 발사되었다. 천리안 2B호는 세계 최초의 정지궤도 환경위성으로, 앞으로 국내의 대기환경을 실시간으로 관측하여 분석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따라서 천리안 2B호 발사의 토대가 된 대기환경보전법에 대해 알아보고, 천리안 2B호가 미세먼지문제의 해결에 어떻게 기여할 수 있는지 살펴보려 한다. [천리안 2B호의 발사장면] 출처: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천리안 2B호는 세계 최초로 환경관측센서를 탑재한 환경위성이다. 천리안 2B호에 탑재된 환경관측센서 '젬스(GEMS)'는 미세먼지와.. 2020. 3.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