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News/태양광-태양열

태양광, 불편한 보도의 사실과 배경에 대하여

by 알 수 없는 사용자 2018. 12. 10.

태양광, 불편한 보도의 사실과 배경에 대하여

신재생에너지 사업 중 대표적으로 언급되는 태양광 사업 분야의 부정적인 시선에 관한 내용을 정리하고자 한다.

태양광 모듈의 중금속으로 인한 환경오염, 폐 패널의 처리 문제, 태양광 발전 설비를 통한 주변 환경 피해, 태양광설비의 전파는 인체에 유해하다는 내용, 패널에 의한 빛 반사를 통한 눈부심을 유발한다는 내용 등 짧은 검색에도 많은 부정적 내용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렇다면, 대표적으로 꼽히는 문제점에 대한 간략한 사실 확인을 먼저 확인해보겠다.

1. 태양광 패널의 중금속으로 인한 환경오염

 일부 언론은 태양광 발전이 납과 카드뮴 같은 중금속을 유출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해당 주장은 사실이 아니다. 국내에서 사용되는 태양광 패널에는 중금속이 없다. 태양광 패널은 결정질 실리콘 모듈과 박막태양전지 모듈 2가지 종류가 있다. 이 중 미국에서 대부분 제조하는 박막태양전지 모듈에는 카드뮴이 포함돼 있으나 국내에선 수입을 금지한다. 국내에서 생산하는 결정질 실리콘 모듈에는 카드뮴이 들어있지 않으며, 전선에 납이 소량(0.1%) 들어있다.

2. 폐 패널의 처리 문제

 태양광 패널의 수명은 20년 정도다. 하지만 20년이 지나면 패널을 폐기 처분해야 한다는 뜻은 아니다. 20년이 지나더라도 정격출력(규정된 조건에서 운전이 보장된 최대출력) 대비 80%의 전기를 생산할 수 있다. 정부는 2021년 6월 준공을 목표로 충북 진천에 태양광 재활용센터를 구축하고 있다. 태양광 패널은 재활용이 가능한 유리나 알루미늄이 90%를 차지한다. 독일의 경우 폐 패널 발생량의 71%를 수출용 등으로 재사용한다.

3. 아파트 베란다 설치 태양광, 빛 반사로 인한 주민 갈등 유발?

 다루기에 조금은 허탈한 부분이다. 에너지기술연구원 조사에 따르면 태양광 모듈의 가시광선 반사율은 5.03%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강화유리(7.48%)보다 낮은 수치이다. 일본 혹은 미국에서는 빛 반사에 더욱 예민한 공황 인근에도 태양광 발전소를 설치한 사례도 존재한다. 이를 미루어 보았을 때 해당 주장은 신뢰하기 조금 어렵다.

 물론, 태양광 사업의 단점은 분명 존재한다. 시, 공간적인 제약이 따르는 설치 사업이며, 설치 면적이 넓고, 임야형 태양광 발전소의 무분별한 설치로 인한 산사태 유발, 가장 중요한 초기 투자비용이 줄어들었다 하더라도 비싼 수준에 속한다는 것은 단점이자 보완해야하는 부분이다.

 하지만 이러한 부분을 쟁점으로 삼지 않고, 어려운 용어를 함께 쓰는 몇몇 언론의 진짜 속마음은 무엇인지 알아보았다. 자극적인 제목을 생략하고 내용으로 넘어가겠다.

 

대표 언론사의 보도 제목(17년 기준)

▲'원전건설중단, 심사숙고해야 한다'(7월10일 중앙일보)

▲'또 위원회 공화국 되나…계획 잡힌 것만 20개'(7월 27일 중앙일보)

▲'프-일"에너지정책은 전문가중심 백년대계...속도전 안돼"'(7월29일 동아일보)

▲'정부"5년내 전기료 안올린다"눈가리고 아웅'(8월1일 조선일보)

▲'탈원전 고집, 이제 숫자 조작까지 한다는건가'(8월1일 조선일보)

▲'신고리 5·6호기 모델, 세계최고 안전기준 넘었다'(8월5일 조선일보)

출처: 미디어스

 

한국수력원자력 언론사별 광고홍보 수주현황(2017년 6월까지)

언론사 매체명

횟수

금액(천원)

조선일보 (디지털/스포츠/월간조선 포함)

10

75360

중앙일보 (월간/선데이/코리아중앙데일리 포함)

6

380844

동아일보 (신동아/스포츠 포함)

5

34680

한국경제

3

33500

매일경제 (매경이코노미/럭스맨 포함)

6

31550

뉴시스

4

30000

세계일보

4

24894

에너지경제

5

23700

서울경제 (서울경제파퓰러 포함)

4

25615

[표1. 한국수력원자력 언론사별 광고홍보 수주현황표]

출처: 녹색당 홈페이지

 

 

 2017년은 꾸준히 ‘찬핵’의 입장을 교묘하게 대변하는 내용이 많았고, 18년에는 신재생에너지 분야 중 태양광에 대한 비판적인 언론이 지배적이기 시작했다.

 18년에도 비슷한 추세를 타고 있는 것은 김어준의 다스뵈이다 41화를 참고하는 것을 추천한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태양광이 무분별한 화살에 쏘이고 있다!”라고 말을 하긴 어렵다. 다만 위에 처음 언급한 내용을 뒷받침하기에 너무 적절하지 않는가? 여러분도 한 번쯤은 생각해봤으면 좋겠다.

마무리

 생각을 글과 영상으로 표현하는 것은 불법이 아니다. 표현의 자유가 있는 대한민국에서 그것을 불법이라고 삿대질을 할 수 있는 사람은 없다.

 하지만 적어도 대표 언론지로 구분되는 신문사에서, 원색적이고 치우친 보도로 인해 국민에게 큰 혼란과 씻을 수 없는 편견을 심어준다면, 그 언론사에서 생각하는 저널리즘이 이런 것인지, 도의적으로 느끼는 바가 없는지 한 번쯤 물어보고 싶다.

 그들에게 또다시 묻고 싶다. 어린 시절, 체르노빌 원전사태를 자세히는 모르지만 끔찍한 사고라고 기억하고 있는지? 그리고 현재를 살아가는 지금, 후쿠시마의 원전사고의 심각한 피해를 유튜브와 기타 언론을 통해 간접적으로 체험한 지금. 이 시대에 위험성은 무시한 체 원전이 효율적이기 때문에, 신재생에너지사업의 태양광에 대한 악의적인 보도와 교묘한 ‘찬핵’보도를 진행하는 것인지.

 사실로 이루어진 건강한 비판, 합리적인 추론을 바탕으로 올바른 방향성에 도움을 주는 배경 지식을 전달해주는 언론을 신뢰하는 사회. 우리도 이제 건강해져야 할 때이다.

 

참고 문헌

1. http://biz.khan.co.kr/khan_art_view.html?artid=201812022113015&code=920501#csidx3660c8ac0b409e0a1d23d49b572e409

2. http://www.mediaus.co.kr/news/articleView.html?idxno=98388

3. http://www.ccdm.or.kr/xe/watch/269845

4. 산업통산자원부

5. 조선일보

6. 녹색당 홈페이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