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News/기후변화-환경

아름다운 카리브해, 지금은 쓰레기 바다?!

by R.E.F. 20기 김원경 2021. 10. 25.

아름다운 카리브해,  지금은 쓰레기 바다?!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0기 윤지민, 20기 김원경

 

거대 쓰레기장 카리브해

 카리브해는 해양 쓰레기로 골머리를 앓고 있다. 자체적으로 생산되는 쓰레기 외에도 주변국들로부터 오는 쓰레기로 인해 많은 피해를 보고 있다. 게다가 사람들에게 환경문제의 심각성이나 분리수거에 대한 인식이 잡혀있지 않아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에 관해 해결방안을 생각해보고, 그 사례도 알아보고자 한다.

 

[자료 1. 카리브해 플라스틱 쓰레기 사진]

출처 : 해양환경보호단체 Parley for the Oceans

 위 사진은 카리브해(海)에 면한 도미니카공화국의 수도 산토도밍고의 해안에서 촬영된 것이다. 아름다웠던 바다는 쓰레기장을 방불케 하며, 심지어 쓰레기는 파도가 되어 해변으로 밀려온다.

팔리포더오션 측은 "플라스틱으로 인한 해양오염이 얼마나 심각한 지 보여주는 영상"이라면서 "지난 3일 간 군인과 시민, 자원봉사자 500여 명이 나서 총 30톤에 달하는 플라스틱을 수거했다"라고 밝혔다. 이어 "많은 사람들의 노력으로 해변은 과거보다 깨끗해졌으나 여전히 우리가 해야 할 일은 많이 남아있다"라고 덧붙였다.  

실제 플라스틱으로 인한 지구촌의 환경오염은 심각한 수준이다. 우리가 흔하게 사용하는 생수병부터 옷가지, 각종 일회용 일상용품들이 이렇게 바다로 흘러 들어가 거대한 쓰레기장을 만들고 있는 것이다.

세계경제포럼(WEF)의 2016년 보고서에 따르면 매년 800억(약 96조 원)∼1200억 달러(약 144조 원) 144조 원)에 달하는 플라스틱이 바다에 버려지고 있으며 오는 2050년이 되면 무게로 따지면 플라스틱이 물고기보다 많을 것으로 전망됐다.

특히 문제가 되는 것은 플라스틱 쓰레기가 분해되면서 생기는 미세입자로 이는 생태계를 교란시키는 주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거북과 바다 새 등 수많은 생물이 이렇게 파편화된 각종 플라스틱 찌꺼기를 먹이로 착각해 먹고 있다. 물론 이는 먹이사슬을 통해 결국 다시 인간에게 돌아와 궁극적으로 인류 건강과 식량 안보에도 악영향을 미친다

 

해양 쓰레기의 원인

[자료 2. 순환하는 해양 쓰레기]

출처 : The Encyclopedia of Greater Philadelphia

 폐기물국가간이동법인 바젤협약이 제정될 만큼 필라델피아 소각재 투기 사건은 이슈가 되었었다. 미국 북부에서 발생한 유해 폐기물인 소각재를 미국 밖에서 처리하기 위해 키안해(Khian Sea)호에 12,000톤에 달하는 쓰레기를 싣고, 카리브해 연안 국가에게 처리하고자 하는 사건이었다. 받아주지 않자, 카리브해 연안 국가인 아이티에게 비료 원료라고 속이고 4,000톤의 쓰레기를 버렸고, 나머지 8,000톤은 대서양 바다에 투기했다고 한다.

2000년 4월에 미국이 소각재와 오염된 토양을 다시 싣고 돌아오긴 했지만, 대서양 바다에 투기한 쓰레기들은 돌이킬 수 없었다. 이렇게 선진국이 자국의 환경규제 강화를 통해서 자국에서 처리해야 하는 유해 폐기물을 규제가 약한 저개발국가로 수출하는 문제가 과거에는 심각했었지만, 현재는 법에 의해 보호받고 있다.

그러나 쓰레기를 자국의 해안에 버리는 것은 아직 고쳐나가야 할 문제다. 카리브해 연안 국가들이 카리브해에 버린 쓰레기는 해안에 밀려와 쌓이고 있고, 매년 32만 톤 이상의 플라스틱 폐기물이 수거되지 않고 있다. 이처럼 폐기물 수거 및 관리 시스템이 제대로 갖추어져 있지 않아 그 피해는 더 할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시스템뿐만 아니라 환경문제 심각성에 대한 인식이 부족해 수로에 쓰레기를 바로 처리하여 더 큰 피해를 낳고 있다.

 

해양 플라스틱의 문제점

[자료 3. 바다쓰레기 사진]

출처 : 해양수산부

 해양 플라스틱은 자연적으로 분해되지 않아 사용 후 신경 써서 분리수거를 해야 한다. 그런데 미세 플라스틱의 같은 경우는 너무 작아서 분리수거 자체를 할 수 없고, 물에 바로 흘려 버려지는 경우가 많아서 강이나 바다로 배출된다. 그렇게 강이나 바다로 흘러 들어간 미세 플라스틱은 물고기 등의 먹이가 되고 그 물고기는 우리의 식탁으로 올라온다. 결국, 먹이사슬의 최상위에 있는 인간에게 고스란히 돌아오고 있다.

국내에서 발생되는 폐플라스틱의 5%는 매립되고, 34%는 소각되고 있으며 수거 및 재활용되는 폐플라스틱은 61% 정도이다. 하지만 포장지, 완구, 식기 등의 소비재와 산업 부품, 수산업, 양식업 관련된 제품은 사용 후 제대로 수거되지 않고 무분별하게 바다에 버려지고 있다. 해양으로 유입되는 전체 쓰레기의 대부분을 차지하며 전 세계의 해양쓰레기 중 약 75%가 플라스틱 류일 정도로 바다는 플라스틱에 의한 위협이 심각하다.

특히나 미세 플라스틱이 인간에게 미치는 영향은 막대하다. 미세 플라스틱이 우리의 몸에 유입되면 혈관을 막고, 인체 내에서 세균을 번식할 수 있다. 또한 각종 피부 염증이나 불임, 암과 같은 질병 유발에 밀접한 연관성을 가지고 있다.

 

해결방안

1) 해양 폐기물을 체계적으로 관리합니다! : 해양폐기물 및 해양오염 퇴적물 관리법 시행

[자료 4. 플라스틱은 줄이 GO!GO! 해양환경은 살리 GO! 정책 포스터]

출처 : 해양수산부

 해양수산부가 최근 플라스틱 없는 바다를 만들기 위한 <해양 플라스틱 줄이기 종합대책>을 발표했다.

▲부표·어구 회수보증금제도 도입, ▲스티로폼 부표의 50%를 친환경 부표로 교체, ▲하천관리청에 플라스틱 쓰레기 해양유입 차단 의무 부과, ▲주변국과 해양쓰레기 공동조사 및 공동대응방안 마련을 통해 발생과 유입을 획기적으로 줄여 나갈 것을 약속했다.

▲섬 지역 집하장 설치 및 정화 운반선 보급 확대, ▲드론 등 ICT 기반 모니터링 및 고효율 수거장비 개발, ▲어업인의 자발적 폐어구 수거 시행으로 더욱 체계적이고, 효과적으로 수거할 수 있도록 개선하고 있다.

▲플라스틱 재활용을 위한 권역별 전처리시설 구축, ▲양식용 부표 등 재활용 의무율 단계적 상향, ▲플라스틱 재활용 제품 홍보 확대 및 구매 촉진으로 처리시설을 확충하고 재활용을 활성화하기로 하였다.

▲해양폐기물 법 제정 및 연안 미세 플라스틱 분포조사, ▲기업의 해변입양 운동 및 바다환경지킴이 확대, ▲대상별 맞춤형 교육 및 해양환경 이동교실 확대로 관리기반을 강화하고 국민참여를 확대하도록 유도할 것으로 예상된다.

 

2) 플라스틱 뱅크

[자료 5. 플라스틱 뱅크]

출처 : Plastic Bank 

 해양쓰레기를 재활용해 의미 있는 제품을 만들어 사용하는 방안이 적극적으로 마련되어야 한다. 플라스틱 뱅크는 해양쓰레기가 될 플라스틱 폐기물을 재활용해 전 세계 순환 공급망을 혁신하는 사회적 기업이다. 플라스틱 뱅크는 카리브해 연안 국가들에 많은 플라스틱 은행 지점을 보유하고 있으며, 아이티에는 2000명 이상의 수집가가 활동하고 있다고 한다. 이렇게 수집가들이 플라스틱 쓰레기를 수거해 플라스틱 뱅크에 가져다주면, 수집된 플라스틱에 대한 크레디트를 받는다. 플라스틱 뱅크는 이런 플라스틱들에 처리를 거쳐 다른 기업과 협업을 해 새로운 상품과 포장재로써 활용하고 있다.

 

[자료 6. TerraCycle 샴푸 사진]

출처 : TerraCycle

 협업의 예로는 미국의 ‘TerraCycle’이 있다. 해안 쓰레기를 청소하고 제거하는 활동을 하고 있는 단체들과 관계를 맺고, 이를 리사이클링 하여 순환적 처리를 돕고 있다. 수거한 폐기물들은 Terracycle 사의 보관시설로 보내지고, 부적합한 폐기물을 제외하여 선별된 폐플라스틱은 분쇄, 세척, 건조 과정을 거쳐 새로운 형태로 만들어진다.

플라스틱 뱅크를 설립한 데이비트 카츠(David Kat)sms “해양에 유입되는 플라스틱 폐기물은 세계적 지상 과제”라며 “해양쓰레기가 되었을 플라스틱병 10억 개를 수거한 것은 플라스틱 폐기물을 감축하는 동시에 순환 경제를 통해 사회적 발전을 유도할 수 있음을 재확인하는 것”이라고 했다. 플라스틱 뱅크의 활동들은 해안 플라스틱을 직접적으로 수거하고, 사람들에게 환경에 대한 중요성을 심어주는 것뿐만 아니라, 폐플라스틱의 가치를 수거자에게 제공함으로써 빈곤층 감소에도 기여한다. 해양쓰레기의 양에 비해서는 그 규모가 작은 것으로 보일 수도 있지만, 해양쓰레기라는 거대한 문제를 해결하는 여러 가지 해결책 중의 하나가 될 것이다. 현재 리사이클링 된 제품들을 비롯해 여러 제품군에서 다양한 시도가 일어나길 기대한다.

 

해양 환경문제 인식개선의 필요성

 전 세계적으로 해양 환경 문제를 비롯한 다양한 환경 문제들이 생겨나고 있다. 이는 위에서 제시한 해결방안 외에도 사람들의 인식개선이 필요함을 말하고 있다. 카리브해 연안 국가들의 경우에 분리수거 시스템이 잘 갖추어 있지 않아, 비가 오는 날에 집 밖으로 쓰레기를 처리해 길에 큰 쓰레기 수로가 생겨나고 있다. 이처럼 이런 시스템을 갖추고 있는 나라들에서는 분리수거와 환경교육을 진행해 어떻게 쓰레기를 처리하는 것이 올바른 방법인지를 가르쳐주어야 한다. 선진국은 해양쓰레기 문제에 의해 직접적인 피해를 겪고 있지 않더라도, 대부분의 해양쓰레기는 선진국에서 발생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저개발국가를 위해 해결방안을 함께 모색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해양 환경문제는 한 사람에서 한 도시, 한 국가, 전 세계 사람들이 협력하여 해결해나가야 하는 큰 문제다. ‘나 하나면 괜찮겠지.’라는 생각을 버리고, 직접 동참하여 더 나은 방향으로 나아가는 우리가 되길 바란다.

 

 

 

 

참고문헌

거대 쓰레기장 카리브해

박종익, “거대 쓰레기장이 된 카리브해…플라스틱 오염 충격적”, 서울신문, 2018.07.20., https://nownews.seoul.co.kr/news/newsView.php?id=20180720601009

해양 쓰레기의 원인

1) 이동민, “카리브해 섬, 플라스틱 쓰레기로 몸살”, OBS 뉴스, 2021.08.06., http://www.obs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321598

2) JTBC, “[해외 이모저모] 아이티 해변 모래사장 삼킨 '플라스틱 쓰레기'”, 2018.10.12., https://news.jtbc.joins.com/article/article.aspx?news_id=NB11709243

3) 고현준, “국제적 망신 불법쓰레기 수출, 국제 합동조사 나서..,”, 제주환경일보, 2019.03.25., http://www.newsje.com/news/articleView.html?idxno=121753

해양 플라스틱의 문제점

3621_rmsedn, 3621_rmsdn님의블로그, “해양 미세플라스틱 문제점과 해결방안”, 2021.06.13., https://blog.naver.com/3621_rmsdn/222396873502, (2021.10.02.)

해결방안

1) 해양수산부, 2022년까지 해양 플라스틱 30% 줄인다, 2019.06.03., https://www.korea.kr/news/policyNewsView.do?newsId=148861331

2) 해양수산부, 해양수산부 공식 블로그, “해양폐기물을 체계적으로 관리합니다! -해양폐기물 및 해양오염퇴적물 관리법시행-”, 2020.12.04., https://blog.naver.com/koreamof/222162895476, (2021.10.02.)

3) 플라스틱코리아, 플라스틱코리아, “해양 쓰레기를 가치 있는 제품으로”, 2018.09.04., http://plasticskorea.co.kr/sub.asp?maincode=521&sub_sequence=522&sub_sub_sequence=&exec=view&strBoardID=kui_522&intPage=1&intCategory=0&strSearchCategory=%7Cs_name%7Cs_subject%7C&strSearchWord=&intSeq=18237, (2021.10.02.)

4) Plastic bank, “Plastic Bank® Changes the World by Stopping One Billion Bottles of Ocean Plastic”, businesswire, 2021.04.06., https://www.businesswire.com/news/home/20210406005190/en/

5) IBM KOREA, IBM KOREA 블로그, “해양오염을 해결하는 착한 블록체인!”, 2018.02.14., https://blog.naver.com/ibm_korea/221208844134, (2021.10.02.)

해양 환경문제 인식개선의 필요성

UNFCCC, United Nations Climate Change, “Cleaning our Oceans of Plastic | Haiti”, https://cop23.unfccc.int/climate-action/momentum-for-change/planetary-health/cleaning-our-oceans-of-plastic-haiti, (2021.10.02.)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