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2 모듈러 주택, 탄소중립 시대의 유망한 주거 모델인가 모듈러 주택, 탄소중립 시대의 유망한 주거 모델인가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7기 함예림 모듈러 주택, 주거와 기후 위기의 해법서울 성북구와 인천 서구에서 공공임대주택 건설이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이는 국토교통부가 2023년부터 추진 중인 모듈러 공법 기반 공공임대주택 시범사업의 결실이다. 이 사업은 2022년 발표된 ‘주택 250만호 공급 확대 방안’의 일환으로, 연간 3,000호 규모의 모듈러 주택을 공급하며 2030년까지 공공·민간 부문에서 누적 3만호 공급 기반을 마련하려는 목표를 세웠다. 모듈러 주택은 공장에서 구조체를 제작해 현장에서 조립하는 방식으로, 주거 부족과 기후 위기라는 이중 과제를 해결할 유망한 대안으로 주목받는다. 그러나 탄소중립 주거 모델로 도약하려면 운송 과정의 탄소배출, 공장.. 2025. 6. 20. [취재] 사라진 혁신, 흔들리는 지속가능성 – 서울혁신파크 철거의 의미를 다시 묻다 [취재] 사라진 혁신, 흔들리는 지속가능성 – 서울혁신파크 철거의 의미를 다시 묻다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3기 김경훈, 27기 함예림 서울혁신파크를 둘러 싼 논란들 서울혁신파크는 단순한 건물이 아닌, 사회혁신과 도시재생을 실험하는 거대한 실험실이었다. 서울시 은평구 녹번동에 위치한 이곳은 2015년 개관해 2023년까지 운영됐으며, 약 10만㎡ 부지에 사회적 기업, 협동조합, 시민단체 등 600여 개 단체가 입주해 공공성과 환경을 고려한 혁신적 활동을 펼쳤다. 또한, 도심 속 개방형 녹지로서 시민들에게 개방된 공유지 역할도 해왔다.[자료 1. 서울혁신파크의 구성]출처 : ©23기 김경훈그러나 2022년 12월, 서울시는 이 부지를 60층 규모의 주상복합단지와 서울시립대 캠퍼스를 포함한 복합단지로 개발하.. 2025. 3. 31.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