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리스크3 [Water Risk:수자원 리스크] 기후대응댐이 아니라 환경파괴댐이 될 수 있다 [Water Risk:수자원 리스크] 기후대응댐이 아니라 환경파괴댐이 될 수 있다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3기 김경훈 14개의 기후대응댐 건설과 그 배경[자료 1. 기후대응댐 후보지 14곳]출처 : 환경부 블로그환경부는 2024년 7월 30일 정부서울청사에서 기후대응댐 후보지 14곳을 발표하면서 “기후위기가 현실화한 가운데 홍수⋅가뭄으로 인한 피해를 줄이고 미래 물 수요를 충족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물그릇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일부 지방자치단체에서도 홍수 방어 능력을 키우고 지역 주민을 위한 생⋅공용수 공급을 늘리기 위해 댐 신설을 요구해 왔다.환경부가 발표한 기후위기댐 후보지 14곳 중 경기 연천(아미천), 강원 삼척(산기천), 경북 김천(감천), 경북 예천(용두천), 경남 거제(고현천), 경남 의령.. 2024. 12. 27. [Water Risk:수자원 리스크] 일본의 수자원 리스크 대응 방법은? 일본의 수자원 리스크 대응 방법은?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3기 김경훈, 진희윤, 25기 김승현 태풍 '산산' 일본을 강타하다 강풍과 호우를 동반한 ‘역대급’ 태풍 산산이 8월 29일 오전 일본 규슈 남부에 상륙했다. 일본 남부를 오가는 수백 편의 항공편은 결항했고, 113만 가구 225만여 명에게 대피 지시가 내려졌다. 태풍 산산은 이후 열도를 따라 시속 15km의 느린 속도로 이동하며, 수백 킬로미터 떨어진 도쿄까지 큰 피해를 입혔다. 이틀 동안 600mm의 폭우가 쏟아진 오이타현의 논밭은 물에 잠기고, 도쿄의 도로가 침수돼 차량 통행은 금지됐다. 도쿠시마현의 80대 남성이 지붕에 깔려 숨지는 등 사망자가 6명으로 늘어났고, 100명 넘게 부상을 입은 것으로 집계됐다. 사상 최강 위력의 제10호 태풍.. 2024. 9. 30. 기후위기, 보험업도 피해갈 수 없다 기후위기, 보험업도 피해갈 수 없다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4기 변지원 예상하지 못한 기상이변이 발생하면서 기후변화에 대한 위기감이 전 세계에 엄습하고 있다. 폭우나 폭염, 산불 등 자연재해로 피해를 보는 국가가 속출하고 심지어 같은 나라인데도 다른 지역에서 다른 현상으로 고통받는 일이 빈번하다. 한국도 2022년에 이어 2023년에도 쏟아진 집중호우로 인적, 물적 피해가 발생했다. 이러한 기후 위기는 보험산업에도 큰 파장을 불러일으킨다. 기후 위기와 보험산업, 이 둘은 어떤 연관 관계를 맺고 있을까. [기후변화의 위험은 보험업계의 위험으로 이어진다.] 스위스리 분석에 따르면 전 세계 자연재해로 인한 보험 손실은 지난 30년간 크게 증가했다. 2022년 1,252억 달러(약 166조 2,700억 원)로.. 2023. 11. 1.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