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남동발전5

중소기업, 탄소중립의 길을 묻다 중소기업, 탄소중립의 길을 묻다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6기 김대건 탄소중립, 중소기업의 새로운 도전[자료 1. 온실가스 배출 표현]출처 : Sky News Australia전 세계가 탄소중립을 위한 변화를 추진하며 산업 구조가 급격히 재편되고 있다. 한국 중소기업도 이 흐름에서 예외가 아니다. 산업 부문 온실가스 배출량의 30%를 차지하는 중소기업은 국가 탄소중립 목표 달성의 핵심적인 역할을 맡고 있다. 그러나 많은 중소기업이 탄소중립을 어떻게 시작해야 할지조차 몰라 혼란 속에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는 단순히 개별 기업의 생존 문제를 넘어, 한국 경제 전반의 경쟁력과 지속 가능성을 위협하는 주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중소기업의 탄소 배출량 : 무시할 수 없는 현실대기업은 RE100과 같은 글로벌 .. 2025. 1. 25.
[2020 국제그린에너지엑스포 정보] 한국남동발전(주) "Clean & Smart Energy Leader", 한국남동발전(주) 1. 기업이름 한국남동발전 [자료 1 : 한국남동발전 로고] 출처 : 한국남동발전 홈페이지 2. 기업소개 한국남동발전은 지난 2001년 4월 2일 정부의 전력산업구조개편 정책에 따라 새롭게 출범한 에너지 공기업입니다. 영흥발전본부를 비롯하여 삼천포발전본부, 분당발전본부, 그리고 영동에코발전본부와 여수발전본부 등 5개 발전소에서 시설용량 10,324MW의 설비를 가동하여 우리나라 전체 전기 공급량의 13% 이상을 안정적으로 공급하고 있습니다. 3. 주요사업 한국남동발전은 신재생에너지와 발전소운영사업을 진행중입니다. 국내 발전소로는 삼천포발전본부, 영흥발전본부, 분당발전본부, 영동에코발전본부, 여수발전본부가 있습니다. [자료 2 : 삼.. 2020. 7. 3.
배연 탈황설비와 탈황석고 배연 탈황설비와 탈황석고 전 세계적으로 환경오염과 친환경 에너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오염물질 배출이 많은 전력산업 특히 석유*석탄 화력 발전소의 오염물질 배출을 최소화하기 위한 노력이 계속되고 있다. 석유*석탄 화력 발전소의 오염물질인 황산화물은 산성비와 호흡기 및 피부질환의 주요 원인이 되는 만큼 철저한 오염물질 제거를 위해서는 관련 연구와 설비에 많은 투자가 요구되는데 한국은 오염물질 제거를 위해 배연 탈황 설비를 채택하여 투자하고 있다. [그림1. 한국형배연탈황설비] 출처 : 한국전력기술 배연 탈황 장치란 석탄*석유화력 발전으로 인해 발생하는 황산화물의 제거를 위해 사용되는 설비로 배연 탈황설비(FGD : Flue Gas Desulfurizer)가 있는데 크게 습식과 건식으로 나누어지며 탈황제.. 2018. 9. 17.
[2017.09]'에너지 좋은일자리 나눔의장'에 초대합니다. 안녕하세요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단장 김보림입니다.우선 기자단홈페이지를 방문해주신 여러분께 감사의 인사를 올리며, 저희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에서 준비중인 에너지취업 행사에 대한 안내의 말씀을 올립니다. 2017 대한민국 에너지대전 (2017년 9월 19일~22일, 4일간 , 일산 KINTEX 제 1전시장 ) 의 마지막 날! 한국에너지공단과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은 '에너지 좋은일자리 나눔의 장'을 통해 에너지기업과 대학생을 아우르는 새로운 소통의 장을 마련합니다. 1부에서는 에너지공기업(한국에너지공단, 서부발전, 남동발전 등)과 에너지사기업 ( (주)두산 등)의 인사담당자와 함께 '우리 기업의 에너지 실무는 무엇인지'와 '에너지직무관련 채용정보','원하는 인재상'에 대한 이야기를 듣고 대학생신재생에너.. 2017. 9. 13.
화력발전소의 현재 그리고 미래 화력발전소의 현재 그리고 미래 - 화력발전소란? 석탄이나 석유에 의한 증기를 발생시켜 증기 터빈을 돌리고 그것에 의하여 발전기를 운전하는 발전소. [ 사진1 화력발전소 내부 구조 ] (출처 : 한국남동발전) 현재 우라나라는 화력발전소에 대해 미세먼지 문제와 관련하여 많은 관심이 쏠리고 있다. 그렇다면 화력발전소는 대체 불가능한 발전 방식일까. - 전력수요 전망 2016년 기준 전력수요는 15년 대비 2.3% 증가하며 회복세를 보였다. 한국전력의 장기수요관리 전망에 의하면 수요가 점차 증가하는 것으로 예측되었고 그에 맞게 설비 예비율을 관리하고 있다. 이처럼 수요가 늘어갈에 따라 더 많은 에너지 생산이 필요하며 따라서 국내 발전소는 늘어가고 있으며 화력발전소도 그 수 가 늘어가고 있다. - 현재 화력발전소.. 2017. 5.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