뚝섬2 [취재][녹색나들이 시리즈] 한강 다회용기, 친환경을 위해서는 어떻게? [취재][녹색나들이 시리즈] 한강 다회용기, 친환경을 위해서는 어떻게?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3기 김경훈, 김태현, 26기 강민석, 27기 문준호, 이대현 여가 공간인 한강 공원의 이면[자료 1. 한강공원 배달음식 일회용품 금지]출처: 뉴스투데이/MBC서울의 대표적인 여가 공간인 한강공원은 시민들의 야외 활동 중심지로, 특히 따뜻한 계절이 되면 여가를 즐기기 위해 많은 사람들이 모이게 된다. 돗자리를 펴고 도시락이나 배달 음식을 즐기는 모습은 이제 한강의 대표적인 풍경이다. 동시에, 이와 함께 증가하는 일회용 플라스틱 쓰레기 문제는 해마다 반복되고 있는 고질적인 환경 문제이기도 하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서울시는 2023년 가을 뚝섬한강공원에 '다회용기 배달 시스템'을 도입했고, 2024년 봄부터는 .. 2025. 6. 25. [디자인과 태양광] 생활 속에 녹아든 태양광 시설 [디자인과 태양광] 생활 속에 녹아든 태양광 시설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0기 서범석 태양광을 싫어하는 사람들 태양광 에너지는 신재생에너지 발전 비율을 2030년까지 20%로 증가시키겠다는 정부의 3020 정책에 꼭 필요한 에너지이다. 때문에 이곳저곳에서 태양광 시설을 만들기 위한 시도가 이뤄지고 있지만, 정작 태양광 패널을 설치하는 곳의 주민은 태양광 시설 설치에 반대하고 있다. 태양광 에너지의 가장 치명적인 단점은 넓은 부지를 필요로 한다는 것이다. 인구밀도가 높고 산지가 많은 우리나라의 특성상 태양광 패널을 넓게 설치할 수 있는 곳이 농지 등으로 한정된다. 농지에 태양광 패널이 설치되면 농민들은 마을을 떠나야 할 위기에 처한다. 전남 영안군에서는 SK E&S가 간척지 16.5㎢ 전체를 태양광 발전.. 2021. 11. 29.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