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리튬공기전지2

장수명 배터리를 위한 배터리 전용 항산화제 장수명 배터리를 위한 배터리 전용 항산화제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5기 송현승 고용량 양극재의 용량 저하의 원인 활성산소배터리의 고용량을 달성하기 위해 끊임없이 연구가 진행됐다. 특히 전기자동차 및 대용량 에너지저장 장치의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높은 용량을 구현하기 위한 연구가 더욱 활발해졌다. 기존의 고용량 양극재는 높은 용량을 낼 수 있지만 수명이 짧다는 단점이 있다. 배터리의 잔존수명은 SoH(state of health)를 이용해 정의한다. SoH는 생산 초기 상태의 용량을 100%를 기준으로 충·방전을 반복하며 성능이 서서히 줄어든다. 즉 SoH는 배터리의 최초 성능 대비 현재 성능을 보여주는 지표이다. 일반적으로 배터리 용량이 정격 용량의 80% 이하로 줄어들면 배터리 수명이 다한 것으로 간주.. 2024. 5. 27.
배터리가 걸어온 길, 배터리가 걸어갈 길 배터리가 걸어온 길, 배터리가 걸어갈 길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15기 김민서 16기 임상현 19기 김성민 서명근 전지가 바꿔 놓은 현대인의 삶 현대인인 우리는 휴대전화가 없는 일상, 블루투스 이어폰과 노트북이 가져온 편리함을 포기하기 어렵다. 무선기기가 가진 효율성과 편리성은 삶을 윤택하게 만들었을 뿐만 아니라, 로봇이나 전기차 등 에너지를 활용하는 방법에 있어 혁신을 가져왔다고 할 수 있다. 이 모든 변화는 무선기기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의 성능이 발전해 왔기 때문에 가능했다. 배터리를 교체해가며 사용했던 휴대전화의 초기 모델을 생각하면 짧은 시간 안에 무게와 용량, 디자인 측면에서 급격한 발전이 이루어졌다. 이렇듯 전지는 전기에너지를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편리하게 공급할 수 있다는 점을 강.. 2021. 6.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