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새활용5

[취재][녹색 나들이 시리즈] 카페, 자연스럽고 거부감 없는 친환경 필요해 [취재][녹색 나들이 시리즈] 카페, 자연스럽고 거부감 없는 친환경 필요해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3기 김태현, 26기 류호용, 27기 권준혁, 홍민서 사람들이 많이 찾는 나들이, 관광 명소 주변 카페가끔은 집에 틀어박힌 일상에서 벗어나 환기가 필요하다. 집은 나만의 공간이지만, 반복적이고 따분한 집을 떠나, 주변의 거리를 산책하고, 정서에 맞는 새로운 장소를 탐색하며 현대인들은 흔히 힐링(Healing)을 즐긴다. 이전부터 시리즈를 연재하면서 반복적으로 언급했듯, 우리는 힐링을 고유어, ‘나들이’로 표현할 수 있다. ‘나들이’라는 말을 들으면 과거에는 마치 가족 혹은 친구와 함께 가야만 하는 인식이 두드러졌으나, 현대에 들어 이제는 나 혼자 나들이 또한 가능하다. 반가운 추세가 다가오고 있다.대한민국은.. 2025. 3. 3.
[취재][녹색 나들이 시리즈] 친환경 카페, 어떻게 되고 있을까? [취재][녹색 나들이 시리즈] 친환경 카페, 어떻게 되고 있을까?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3기 김태현, 26기 강민석, 류호용, 27기 김계환, 박지은, 정환교, 조재경, 조희선, 함예림  나들이의 의미 환기 및 카페의 보편성우리는 바쁜 일상 속에서의 휴식을 위해 종종 나들이를 떠나곤 한다. 그중 우리가 흔히 가는 나들이 장소 중 하나인 카페의 보편성에 대해서 생각해 보자. 카페는 이제 거의 모든 도시나 동네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는 공간이 됐다. 이제 카페는 단순히 커피를 제공하는 장소를 넘어서 사람들의 일상 속에서 개인적인 여유를 찾을 수 있는 안식처로 자리 잡은 것이다.이렇게 일상 속에 깊숙이 자리 잡은 카페에서 친환경을 실천할 수 있다면, 나들이의 의미는 더욱 풍부해지지 않을까? 최근 몇 년간 .. 2025. 3. 3.
[녹색 나들이 시리즈] [취재] 새활용으로 이루는 제로웨이스트 [녹색 나들이 시리즈] [취재] 새활용으로 이루는 제로웨이스트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3기 김태현, 24기 서채연, 26기 류호용 재활용의 현주소2022년 환경부 발표 자료에 따르면 2021년 플라스틱 폐기물 발생량은 팬데믹 이전인 2019년에 비해 17.7%가 증가했다. 국내 플라스틱 폐기물 발생량이 기존 추세로 지속되었을 때 2030년 생활계 폐기물 중 플라스틱 폐기물 발생량은 약 6,475천 톤/년으로 예측된다. 이는 2010년 생활계 폐기물 발생량에 비해 3.6배, 2020년 발생량에 비해 1.5배 많은 양에 해당한다. 일회용품 금지, 폐기물 재활용을 권장하는 사회적 여론에도 불구하고, 낮은 재활용률과 이를 집계하는 기준의 차이가 지적된다. 2019년 그린피스가 발간한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의 플.. 2024. 10. 28.
[ENTECH 후기] 한국환경산업협회, '새활용'에 '새가치'를 담다. [ENTECH 후기] 한국환경산업협회, '새활용'에 '새가치'를 담다.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1기 조선근, 22기 김혜윤, 정의희 [자료 1. 한국환경산업협회 부스 전경] 출처 : ⓒ21기 조선근 [한국환경산업협회 소개]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이하 대신기)에서 부산에서 개최하는 ENTECH 행사에 8월 31일부터 9월 2일까지, 총 3일간 부스운영을 하며 우리의 활동을 소개함과 동시에 참여한 많은 기업들의 부스를 방문하며 인터뷰했다. 많은 소통과 관심으로 기자단에 대한 열정과 애정이 더욱 커지는 것을 느낄 수 있었다. 환경에너지 관련 다양한 기업들을 직간접적으로 체험할 수 있는 기회여서 뜻깊었던 것 같다. 또 관심이 있거나 호기심이 생기는 기업의 임직원들이 직접 기업에 대해 설명해주시고 소개해주셨던.. 2022. 9. 8.
[취재] 지구의 내일을 위한 대학생들의 선택, 배너스 지구의 내일을 위한 대학생들의 선택, 배너스 16기 배영은 16기 이서준 16기 전예지 지난 2016년 10월 유럽 플라스틱 및 고무 기계 협회(이하 EUROMAP)는 ‘세계 63개국의 포장용 플라스틱 생산량 및 소비량 조사 보고서’를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2015년 한국의 1인당 연간 포장용 플라스틱 소비량은 61.97kg으로 2위를 차지했다. 이어서 미국과 중국이 각각 48.78kg, 24.09kg으로 순위에 올랐다. EUROMAP은 2015년까지의 기록을 토대로 2020년까지의 예상 소비량도 발표했는데, 2020년 한국의 1인당 연간 포장용 플라스틱 소비량 역시 67.41kg로 높은 순위를 차지했다. 환경부의 ‘5차 전국폐기물 통계조사’ 결과에 따르면, 국민 한 사람이 하루에 버리는 생활폐기물의 .. 2019. 11.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