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석탄화력4

전력 인프라의 미래는? 전력 인프라의 미래는?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4기 박선혜 [발전원부터 전력 거래 시장까지]현재 우리는 에너지 전환이라는 중요한 전환점을 맞이하고 있다. 전 세계적으로 화석연료 의존도를 줄이고 신재생에너지 비율을 확대하는 추세가 강하게 나타나며, 이는 국내 전력 시장에도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특히, 신재생에너지의 확산과 함께 기존 발전원에 대한 의존도를 점차 줄여나가는 과정에서, 전력망의 효율적 운용과 안정적인 공급을 위한 새로운 기술과 전략들이 요구된다. 이와 함께 발전원 간의 균형을 맞추고, 거래 방식의 개편에 대한 필요성도 커지고 있다. 발전에서부터 거래까지 전력 인프라의 주요 이슈를 다룬다. [차세대 에너지 전환, SMR과 수소]우리나라 주요 전력지표를 살펴보자. 전력통계정보시스템에 따르면 2.. 2025. 1. 25.
[제 10차 전력수급기본계획(전기본)] 지난 정부와 정책 기조가 완전히 뒤집히다! [제 10차 전력수급기본계획(전기본)] 지난 정부와 정책 기조가 완전히 뒤집히다!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0기 윤진수 [전력수급기본계획이란] 전력수급기본계획이란 향후 15년간의 전력수급의 기본방향, 전력수급의 장기전망 등 전력정책의 기본적인 방향과 내용을 담는 계획을 말한다. 또한. 전력수급의 안정을 위해 전력수요를 예측하고, 이에 따른 전력설비와 전원구성을 설계하기 위한 것으로 2년 단위로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수립한다. [제 10차 전력수급기본계획 요약정리] 제 10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이하 전기본)은 작년 8월 이미 실무안에서 공개된 것처럼 전원믹스 중 신재생에너지의 비중을 줄이고 원자력발전의 비중을 늘리는 것을 골자로 한다. [자료 1. 10차 전기본의 기본방향] 출처 : 산업통상자원부 2036년.. 2023. 2. 20.
불안한 전력수급, ‘석탄으로 일단 살고 보자’ 그것이 최선입니까? 불안한 전력수급, '석탄으로 일단 살고 보자' 그것이 최선입니까?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0기 윤진수, 21기 조선근 ● 2022년 7월, 벌써 전력 수급이 불안하다 우리나라는 통상적으로 겨울철 전력수요가 여름철보다 높다. 그러나 올해는 상반기부터 전력 수급이 불안정하다. 이런 경향을 보이는 이유와 대책으로는 어떤 조치가 있을까? 러시아가 우크라이나에 전쟁을 선포하기 전, 세계 에너지 정책 흐름은 재생에너지 사용을 늘리며 원자력 및 석탄 에너지원은 지양하는 추세였지만, 현재는 예전 정책들을 번복하는, 중단되었던 원자력발전소를 재가동하고 석탄발전소가 활발하게 운영되고 있다. 그리고 올해는 전 세계적으로 이른 더위와 폭염이 이례적으로 관측되고 있다. 미래 지구를 지키기 위해 언급되었던 신재생에너지 정책들은.. 2022. 8. 29.
온실가스 감축 목표(NDC)는 목표가 아니야! 온실가스 감축 목표(NDC)는 목표가 아니야!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17기 정예진 신기후체제 출발! [자료1. 파리협정 채택 순간] 출처: UN NEW 인간이 기후변화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주장된 건 1938년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주장은 정부차원에서 논의되지 않고 주로 과학자들이나 시민단체 등 비정부 부문에서 논의되었다. 그러나 1988년 기후변화의 심각성이 널리 인식되게 되고, 유엔환경계획(UNEP,United National Environment Programme)과 세계기상기구(WMO, 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의 지원을 받아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IPCC,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가 창설된.. 2021. 6.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