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멘트6 [취재] 쓰레기 시멘트? ‘자원순환형’ 시멘트! ②유해성 쓰레기 시멘트? ‘자원순환형’ 시멘트! ②유해성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1기 한세민 인터뷰 및 기사 작성에 도움을 주신 한국시멘트협회에 감사드립니다. ‘쓰레기 시멘트’? 시멘트의 순환자원 활용을 둘러싼 갈등[자료 1. 시멘트 공장사진]출처 : 한국시멘트협회 제공해당 시리즈 기사의 지난 편에 따르면 석회석을 주원료로 하는 시멘트 제조시 부원료 및 보조연료의 일부를 순환자원(재활용 가능한 폐기물)을 대체하는 친환경 공정은 효율적으로 폐기물을 처리하는 획기적인 방법으로 여겨진다. 나아가 서서히 우리를 위협해 오고 있는 ‘쓰레기 대란’이라는 환경문제에도 중요한 해결책이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이러한 시멘트를 둘러싼 상반된 두 시각이 존재한다. 순환자원을 재활용해 환경문제를 해결하는 ‘자원순환형 시멘.. 2025. 1. 25. 쓰레기 시멘트? 자원순환형 시멘트! ①시멘트 공정 쓰레기 시멘트? 자원순환형 시멘트! ①시멘트 공정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1기 한세민 자원순환과 시멘트 산업하루 평균 발생하는 생활∙사업장 폐기물 40만 톤, 수도권 매립지에 버려진 쓰레기 약 1억 5천만 톤(‘92년~). 이 방대한 양의 쓰레기는 모두 어디로 갈까? 지금까지의 폐기물 처리방식은 쓰레기 처리 비용과 시설에 대한 문제가 꾸준히 제기되고 있다. 또한, ‘폐기물 해양투기 전면 금지’와 같은 노력에도 재활용 가능한 폐기물을 불법으로 처리하는 등의 문제가 남아 있어 환경오염은 물론이고 국가적 자원 낭비가 계속되고 있다. 배출되는 쓰레기를 더 이상 처리할 수 없어지는 ‘쓰레기 대란’을 마주하기까지 시간은 지금 이 순간에도 흐르고 있다. 그렇기에 지금이 바로 폐기물 발생을 억제하면서 천연원료 및 연료.. 2024. 11. 28. 건설폐기물 재활용률 늘리는 순환골재 건설폐기물 재활용률 늘리는 순환골재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2기 오상은 건설폐기물 발생량과 재활용률"건설폐기물"이란 건설공사로 인한 건설현장에서 발생하는 5톤 이상의 폐기물(공사를 시작할 때부터 완료할 때까지 발생하는 것만 해당함)로서 다음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것을 말한다. 환경부의 [전국 폐기물 발생 및 처리현황], [지정폐기물 발생 및 처리현황] 자료에 따르면, 2020년도 폐기물 종류별 일 평균 발생량에서 건설폐기물이 236,183t으로 가장 많은 양을 차지하고 있다. 또한 2011년부터 2020년도까지 지속해서 폐기물 종류별 일 평균 발생량에서 건설폐기물이 가장 많은 양을 차지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폐기물 중 가장 많은 양을 차지하는 건설폐기물이 재활용된다면 탄소 절감에 엄청난 도움이.. 2023. 1. 30. 폐기물 시멘트의 두 얼굴 폐기물 시멘트의 두 얼굴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1기 안연빈 폐기물로 시멘트를 만든다? 시멘트 산업에서 배출되는 이산화탄소는 엄청난 양이다. 시멘트 산업은 전 세계 온실가스 배출량의 약 8%를 배출한다. 시멘트 1t을 만들려면 약 1t에 가까운 이산화탄소가 배출된다. 시멘트 생산에 배출되는 온실가스 중 석회석 화학반응이 50%, 연료 연소 과정이 40%, 채석 및 운송 등 기타 공정이 10%를 차지하게 된다. 따라서 시멘트 산업의 온실가스 배출을 줄이기 위해 굴뚝에서 나오는 이산화탄소를 포집 및 저장하는 CCS 기술을 확보하는 데 기대를 걸고 있다. [자료 1. 시멘트 생산 과정 별 온실가스 배출량(%)] 출처 : 경향신문 지금 당장 활용할 수 있는 방안으로는 폐기물 재활용 방법이 있다. 시멘트 산업의.. 2022. 12. 26. 폐기물로 우리의 보금자리를 만들어주길 폐기물로 우리의 보금자리를 만들어주길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1기 정재혁 감당할 수 없을 만큼 증가하는 폐기물 지난 2019년, 전 세계를 덮치며 아직까지도 피해를 주고 있는 신종 바이러스 코로나19로 인해 일회용 마스크, 의료 제품과 같은 플라스틱 제품 사용이 전 세계적으로 급증하며 원래도 많았던 폐기물의 양이 더 급증하였다. 게다가 배달음식과 택배 등 일상생활에서 했던 것들의 대부분이 비대면으로 전환되면서 일회용 포장 용기나 박스의 사용량도 급증하였고, 이를 모두 소각하는 것도 한계가 있어 현재 처리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이에 따라 폐기물 처리와 재활용에 대한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여러 국가와 기업에서 폐기물 처리에 관한 기술 개발에 힘쓰고 있는데, 건설 업계에서도 이를 해결하기 위해 많은 노력과.. 2022. 5. 30. 시멘트에서 이산화탄소가?! 시멘트에서 이산화탄소가?! 13기 양찬미 수많은 빌딩, 두 지역을 연결해주는 다리, 도로, 항만, 댐 등 우리 주변에서 가장 쉽게 볼 수 있는 것 중 하나가 바로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이다. 우리 일상에 없어서는 안되는 콘크리트. 그러나 콘크리트가 온실가스 중 하나인 이산화탄소 발생의 요인 중 하나라는 사실은 알고 있는가? 이번 기사에선 콘크리트와 이산화탄소와의 관계, 그리고 앞으로의 지속가능한 콘크리트 산업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한다. [사진 1. 빌딩사진] 앞서 말한 콘크리트의 이산화탄소 발생을 명확히 말하자면, 시멘트의 이산화탄소 발생이다. 시멘트는 콘크리트의 주 재료로, 그 역사는 아주 오래전부터 시작됐다. 시멘트의 주 원료는 석회석으로, 광산에서 채굴해온 석회석을 잘게 부순 뒤 부원료(점토, 규석.. 2019. 6. 15.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