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양극재7

[배터:Reader] 떠나간 우리 자존심은 어디에, 하이니켈 읽기 [배터:Reader] 떠나간 우리 자존심은 어디에, 하이니켈 읽기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6기 김대건, 류호용, 27기 박지은, 조희선본 기사는 "[취재][인터배터리 2025 견학] Intro: 한국 배터리의 가능성을 훑다"에서, 양극재에 대해 취재한 내용을 바탕으로 탐구하는 데 목적이 있습니다. 기사에 참여하신 단원분들, 취재에 참여해 주신 23기 김용대, 김태현, 26기 강민석, 이동주 단원에게 감사의 말씀 드립니다. 점점 더 멀어져 간다[자료 1. 리튬이온 배터리 4대 핵심 소재 시장 전망치]출처 : 파이낸셜뉴스 이차전지는 최초 등장한 이래, 전기자동차, ESS와 같은 에너지산업과 결합함에 따라 기술의 중요성은 지속적으로 커지고 있으며 미래 시장의 규모 또한 분명히 증가할 것으로 예측된다. 이제는 .. 2025. 4. 28.
[취재][인터배터리 2025 견학기] Intro: 한국 배터리의 가능성을 훑다 [취재][인터배터리 2025 견학기] Intro: 한국 배터리의 가능성을 훑다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3기 김용대, 김태현, 26기 강민석, 김대건, 류호용, 이동주, 27기 박지은, 조희선 여전히 뜨거운 코엑스[자료 1. 인터배터리2025 전시회 로비사진]출처 : ⓒ26기 류호용서울특별시 강남구, 영동대로에 위치한 코엑스(COEX)는 한국을 대표하는 큰 규모의 전시회장이다. 이곳에서는 365일 쉴 틈 없이, 다양한 전시회들이 개최된다. 다양한 공연부터 엑스포와 박람회 등 많은 행사들이 개최되고, 개최자와 방문객을 위한 편의시설이 갖춰져 있다.이러한 장소적 특징 덕분에 전국각지를 비롯해 외국인사들 또한 코엑스를 방문하기에 큰 어려움이 없다. 전시회에 안성맞춤인 이곳에서는 매년 3월마다 배터리와 관련해, .. 2025. 3. 31.
수계 아연 이차전지, 대용량 ESS의 차세대 주자로! 수계 아연 이차전지, 대용량 ESS의 차세대 주자로!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3기 신지연 차세대 ESS 후보로 떠오르는 수계 아연 이차전지 지속 가능한 에너지원에 대한 관심이 커지며, 에너지 저장 장치(ESS) 관련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리튬 이온 이차전지(LIB)는 높은 에너지 밀도와 우수한 수명 특성을 갖지만, 제한된 매장량, 폭발에 대한 안전성과 가격 불안정에 따른 자원의 무기화 등의 문제가 있다. 소형화 중심의 LIB과 달리 ESS는 부피나 무게의 제약이 덜해 낮은 생산 단가와 유지 보수 비용이 중요하게 여겨지며, 높은 에너지밀도와 안정성, 빠른 충/방전 속도를 요구한다. [자료 1. 수계 아연 이차전지의 충전과 방전] 출처 : NICE 이를 만족하며 LI.. 2024. 1. 31.
우리나라는 왜 하이니켈일까? 우리나라는 왜 하이니켈일까?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1기 곽서영, 21기 한세민, 22기 정의희 하이니켈이란? [자료1. 이차전지 시장과 니켈] 출처: 인더스트리뉴스 , 네이버 지식백과 탄소 중립과 지속 가능성을 목표로 하는 미래 방향에 따라 전기차가 흥행하고, 이차전지 산업이 함께 성장하고 있다. 현재 이차전지 시장은 주로 리튬이온배터리를 사용한다. 가벼우면서 높은 용량으로 구현할 수 있는 매력적인 장점을 가진 리튬이온배터리는 전기차는 물론이고, 전동 공구부터 가전, 발전소 등에 두루 쓰이고 있다. 이 가운데 최근 LG화학에서 올해 처음으로 양극재인 '하이니켈' 양산을 시작하였다. 니켈이 배터리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 것인지, 하이니켈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자. 먼저, 리튬이온배터리는 양극재, 음극재, .. 2023. 8. 1.
[인터배터리 2023 견학기] 우리나라에서도 LFP 배터리를? [인터배터리 2023 견학기] 우리나라에서도 LFP 배터리를?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1기 곽서영 [인터배터리 2023 속 LFP 배터리] 전기차 시장의 확대로 배터리에도 많은 관심이 쏠리고 있다.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단원들도 배터리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관련된 기사들을 작성하고 있는 만큼, 국내 최대 규모의 배터리 전시회인 인터배터리 2023에 참가하였다. 인터배터리 전시회는 인터배터리 전시회는 산업통상자원부가 주최하는 국내 최대 규모 배터리 전시회이자 세계 3대 2차 전지 전문 전시회로 2013년 국내에서 처음으로 열린 후 지난 10년간 국내외 2차 전지 산업의 성장과 함께 배터리 산업의 현재와 미래를 조망하는 비즈니스 플랫폼이다. [자료 1. 인터배터리 2023] 출처: ⓒ 21기 곽서영 최근.. 2023. 5. 1.
배터리의 핵심! 소재 제조 공정에 대하여 배터리의 핵심! 소재 제조 공정에 대하여 15기 김민서, 15기 김혜림, 16기 임상현 세계의 많은 전문가들이 배터리 산업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9월 22일 테슬라의 발표에 따라 국내 기업들의 주가가 출렁일 것이라는 예측이 나오고 4차 산업 혁명과 더불어 BoT(Battery of Things)라는 용어가 등장하는 등, 전 세계 사람들이 배터리에 열광하고 있다. 특히나 최근 환경 정책에 따른 전기차, ESS 시장의 폭발적인 성장으로 연구자들이 용량이 크고 안전하며 수명도 긴 배터리 기술 연구에 몰두하고 있다. 배터리(2차전지)는 양극, 음극, 전해질, 분리막에 의해 구성되며 각 소재의 구성, 구조에 따라 특성이 크게 변한다. 소재의 특성이 배터리 성능을 좌우하는 만큼, 다양한 소재들이 연구되고 생산되.. 2020. 9. 16.
충전이 필요해요! 한국 이차전지 산업의 경고등 충전이 필요해요! 한국 이차전시 산업의 경고등 15기 김민서 과거의 이차전지 전지는 화학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전환시켜주는 장치이다. 전지는 사용가능 횟수에 따라 일차전지와 이차전지로 나뉘는데 이 중 이차전지는 반영구적 충/방전 사용이 가능한 화학전지이다. 1회 충전 후 폐기해야 하는 일차전지의 한계를 극복한 이차전지는 1900년대 자동차에 들어가는 납축전지를 시작으로 20세기 중반 전자기기에 이동성을 부여한 니켈-카드뮴 배터리로 발전했다. 그리고 1991년 일본 SONY사는 고용량, 경량화, 소형화 수요에 부합하는 원통형 리튬이온전지를 상업화시켰다. 최근에는 전기자동차용 리튬이온전지를 LG화학이 세계 최초로 양산하였다. 2015년 세계 시장규모가 약 17조원에 달한 것으로 파악되는 리튬이온전지 산업은 지.. 2019. 5.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