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에너지 정책2

[Remake] 에너지 전환 정책의 이면: 정말로 '지구'를 위한 정책일까? [Remake] 에너지 전환 정책의 이면: 정말로 '지구'를 위한 정책일까?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7기 권준혁, 홍민서21기 정재혁 선배님의 "광물 공급망 전쟁" 기사의 Remake 버전입니다. 기사 작성에 도움을 주시고 배려해 주신 21기 정재혁 선배님에게 감사드립니다. 최근 에너지 정책 현황은?바이든 정부 시기의 미국은 파리협정 복귀, 2050년 탄소배출 넷제로 달성, 2035년 전력 부문 탄소배출 제로 달성 등의 목표 하에  그린 에너지 정책을 시도하며 청정 에너지 확대에 주력했다. 그 결과 2024년까지 무려 24개 주에서 풍력과 태양광이 석탄을 대체하는 주요 전력원이 됐으며, 풍력과 태양광이 전체 전력 생산의 17%로 확인되며, 15%에 그친 석탄을 앞지르기도 했다. 그러나 최근 트럼프 정부는.. 2025. 3. 31.
전 세계가 외치는 RE100, 우리나라는 재생 에너지 부족? 전 세계가 외치는 RE100, 우리나라는 재생 에너지 부족?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1기 정형인 [국내 대기업의 RE100 선언] [자료1. 국내 대기업들의 전력 사용량] 출처 : 이코리아 지난 9월 15일, 국내 대기업 중 하나인 삼성전자가 경영 패러다임을 친환경으로 전환하는 ‘신환경경영전략’을 발표했다. 이와 동시에 ‘RE 100’에도 가입하며, 본격적으로 국내 사업장에서 사용하는 전력 100%를 재생 에너지로 전환하겠다는 의지를 보였다. 삼성전자는 국내 대기업 중에서도 전력 사용량의 선두에 있기에 국제사회에서도 이러한 소식을 굉장히 반기고 있다. [우리나라 재생 에너지 현황] 사실 우리나라는 RE100으로의 발걸음이 해외와 비교하면 매우 느린 편이다. 지난 6월 23일 SK 증권의 보고서에 따르면.. 2022. 10.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