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13 [Energy Nexus]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의 전력 공급 해법은?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의 전력 공급 해법은?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3기 김경훈, 25기 구윤서, 맹주현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에서 전기의 필요성[자료 1. 용인시 반도체 클러스터 조감도]출처 : 용인특례시용인시에는 원삼면 일대 415만㎡ 규모로 조성되는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 일반산업단지와 이동·남사읍 일대 728만㎡ 규모의 용인 첨단시스템반도체 국가산업단지가 계획돼 있다. 현재 두 클러스터를 중심으로 기업들의 투자가 이어지고 있다. [자료 2. 반도체 업체 연간 전력 사용량]출처 : 한국일보반도체 산업은 상당한 전력을 소비한다. 2023년 삼성전자가 전 세계 반도체(DS) 사업에 사용한 전력량은 32.384TWh에 달하고, SK하이닉스는 12.011TWh를 기록했다. 한국경제인협회의 '국가첨단전략산업 특화.. 2025. 4. 28. CFE 이니셔티브, 채택까지의 여정 쉽지만은 않을 것 CFE 이니셔티브, 채택까지의 여정 쉽지만은 않을 것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5기 남궁성 AI 생태계 조성 생각보다 어렵다2025를 견인할 섹터가 확실시됐다. 그리고 그 중심에는 AI가 굳건하게 있을 전망이다.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은 AI 생태계 구축을 위한 대규모 프로젝트인 스타게이트를 발표하며 AI 시대를 미국이 주도할 것임을 알렸다. 사실 올해는 AI가 개화하는 시기라기보다는 피지컬 AI처럼 AI가 본격적으로 일상에 활용되는 시기가 될 것이다. 즉, AI를 곳곳에 이용하기 위한 생태계 조성부터 차근차근 해나가야 한다.그러나 그것은 생각보다 쉽지 않을 전망이다. 특히 '전력' 부분에서 발생하는 문제가 꽤 크다. 미국의 정보 기술 연구 회사인 가트너에 따르면 향후 2년간 AI 관련 데이터센터의 전력.. 2025. 3. 3. 전기를 생산할 수 없는 발전소 전기를 생산할 수 없는 발전소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4기 배장민 [전력의 특성, 수요에 맞춘 공급]전력의 가장 큰 특징은 ‘수요에 맞춘 공급’이다. 전기를 생산한 만큼 사용자가 써야 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가 필요한 만큼 전기를 생산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전력의 특성 때문에 특정 시간대에 사용자가 얼마만큼의 전기를 사용할지 예측하는 것은 중요하다. 이는 주파수(frequency)가 동일하게 유지돼 전력계통이 안정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60Hz의 주파수를 사용하며, 이는 발전기가 1초에 60번 회전하면서 전기를 만들어냄을 의미한다. 발전소에서 생산된 전기는 송전선을 타고 사용자에게 공급된다. 사용자 측에서 주파수가 높아지거나 떨어지게 되면 발전단 측에서도 이에 맞.. 2024. 4. 24. 또 너냐 배터리 화재, 이번엔 전기자전거다! 또 너냐 배터리 화재, 이번엔 전기자전거다!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3기 김태현 [자주 발생하는 전기자전거 화재] [자료 1. 자주 발생하는 전기자전거 화재] 출처 : 세이프타임즈 최근 전기자전거 화재가 자주 발생하고 있다. 잦은 화재 발생으로 인해 일부 구는 전기자전거의 올바른 사용을 교육하기까지 하고 있다. 전기자전거 화재는 주로 배터리가 발화하거나 폭발하면서 일어나며, 심지어는 사람의 목숨을 앗아가는 인명 피해를 입힐 수도 있다. 배터리 발화 및 폭발로 인한 화재는 전기자전거뿐 아니라 다른 개인형 이동 장치에도 빈번하게 발생하며, 최근 이들의 사용량이 늘어나며 화재 문제가 화두에 오르고 있다. 사실, 배터리가 필요한 장치의 잦은 화재 문제는 이번 전기자전거가 처음이 아니다. 과거 잦은 ESS 화재.. 2023. 11. 30. 에너지 전환의 핵심, ESG! 에너지 전환의 핵심, ESG!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2기 한예림 에너지 전환의 물결 에너지 시장의 흐름이 석유에서 전기로 이동하면서 세계는 발 빠르게 전략을 세우고 있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모든 국가가 친환경을 목표로 한다는 것이다. 석유를 사용하는 지난 세월 동안 환경 오염에 대한 문제가 많이 야기되었고, 그 결과 에너지원의 전환이 해결 방안으로 떠오른 것이다. 이를 위해 세계는 지금 탄소 중립 달성을 위한 에너지 전환을 준비하고 있다. [자료 1. 2050 탄소중립] 출처: BBS NEWS 일본은 2017년 수소 전략을 발표 후 6년 만에 새로운 수소 전략을 발표했다. 2050년에 탈탄소화 구축을 목표로 발표한 것은 수소 에너지 안정성 중심의 ‘수소 안전 전략’이다. 일본의 수소 전략에는 4가지.. 2023. 8. 1. 모래, 이제는 에너지에 양보하세요! 모래, 이제는 에너지에 양보하세요!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0기 이주선, 21기 길민석 세계 최초 모래배터리의 등장 [자료 1. 물과 모래의 비열 차이] 출처 : http://www.dailye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6628 뜨거운 여름 해변을 걷을 때 모래는 뜨거운 반면 바다는 시원했던 경험은 누구나 가지고 있을 것이다. 이는 모래가 열에너지를 저장할 수 있고, 열 손실률이 낮기 때문에 일어나는 일이다. 즉 열저장과 비열 차이에서 비롯된 것이다. 물은 온도를 올리는 데 필요한 열량이 큰 반면 모래는 비교적 작은 열량으로도 온도를 올릴 수 있다. 물과 비교했을 때, 약 4배가량의 에너지를 저장할 수 있다. 실제로 모래는 수 백도에 이르는 열에너지를 저장할.. 2022. 8. 29. 탄소중립을 향한 보폭, 국제전력기술엑스포 BIXPO 2021! 탄소중립을 향한 보폭, 국제전력기술엑스포 BIXPO 2021!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16기 김미림, 18기 한동근 빛가람 국제전력기술 엑스포의 서막 [자료1. 주관사 한국전력의 부스 전경] 출처: ⓒ18기 한동근 지난 11월 10일 - 12일 광주 광역시에서 한국전력이 주최, 국제전력기술 엑스포 BIXPO 2021이 온・오프라인 동시에 개최되었다. 올해 BIXPO는 “탄소중립”을 주제로 총 251개의 기업이 참가하였으며 국제컨퍼런스, 국제발명특허대전, 비즈니스상담, 신기술전시회 등 여러 업체와 콘텐츠로 장식하였다. 251개의 기업과 B2B뿐 아닌 B2C 비즈니스 상담 기회를 제공하며 전력 산업에 열을 가하는 기업과 개인들을 모두 이어주었다. 또한 10일부터 12일까지 모두 총 72개의 “탄소중립” 주제.. 2021. 12. 5. 태양전지의 블루칩,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의 블루칩, 페로브스카이트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18기 서현영, 19기 김아현, 서명근 [자료 1. 네이처 표지를 장식한 서장원 박사팀의 페로브스카이트 연구] 출처 : nature 지난 25일, 대한민국을 깜짝 놀라게 한 사건이 발생했다. 국내 연구진의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논문이 세계 최고의 학술지인 네이처(nature) 표지에 실린 것이다. 이 논문의 저자인 한국화학연구원 서장원 박사팀은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의 효율을 25.2%(0.1㎠ 기준)까지 향상했다고 발표했다. [자료 2. 태양전지의 세대별 분류] 출처 : 에너지움 그렇다면 세계가 주목하는 차세대 태양전지 페로브스카이트는 무엇일까? 이를 알아보기에 앞서 태양전지에 대해 먼저 말하고자 한다. 태양전지는 태양광 발전의 핵심 부품으로,.. 2021. 3. 29.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