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기4

[대신기와 맞춰보는 전력퍼즐] ④배전편 [대신기와 맞춰보는 전력퍼즐] ④배전편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3기 김용대, 25기 구윤서, 김승현 해당 시리즈의 마지막 기사는 '배전'이다. 전력계통에서 소비자에게 전력을 전달하는 배전 부문에 대하여 배전 방식과 법령, 전기요금 종류, 장기 배전계획 소개 등으로 구성하였다. 국내 배전망 개요이 시리즈에서 소개한 발전, 송전, 변전, 그리고 배전까지 연결된 망을 전력계통이라고 한다. 특히 배전은 전기를 전달한다는 역할이 같아 송전과 헷갈리기 쉽다. 이전에 언급했듯이 송전은 발전소에서 생산한 고압 전기를 먼 거리인 변전소까지 보내는 과정이고, 배전은 변전 후 전기를 최종 소비자에게 보내는 마지막 과정이다. 배전설비들은 우리가 전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직접 연결하는 역할이다. 현재 우리나라의 배전망은 한국전.. 2025. 7. 20.
볏짚과 해조류로 만든 전기, 지속가능한 미래의 열쇠 볏짚과 해조류로 만든 전기, 지속가능한 미래의 열쇠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7기 김계환 바이오매스 발전이 필요한 대한민국우리나라는 좁은 대지 면적과 더불어 자원이 적은 나라로 에너지 수입의존도가 매우 높다. 특히 석유와 가스는 전량을 해외 수입에 의존하고 있어 전쟁이나 재해, 공급망 갈등으로 수입이 불가능할 경우 에너지 고갈 문제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 안정적인 에너지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 에너지 자급을 이루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이를 위해 우리나라는 원자력과 신재생에너지의 비중을 점차 늘려가고 있다. 하지만 각각의 에너지원은 한계를 가지고 있다. 국내의 주력 신재생에너지원인 태양에너지와 풍력에너지를 사용한 발전은 날씨의 영향을 받아 발전량이 불안정한 간헐성의 문제를 가지고.. 2025. 6. 25.
[Energy Nexus]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의 전력 공급 해법은?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의 전력 공급 해법은?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3기 김경훈, 25기 구윤서, 맹주현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에서 전기의 필요성용인시에는 원삼면 일대 415만㎡ 규모로 조성되는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 일반산업단지와 이동·남사읍 일대 728만㎡ 규모의 용인 첨단시스템반도체 국가산업단지가 계획돼 있다. 현재 두 클러스터를 중심으로 기업들의 투자가 이어지고 있다. 반도체 산업은 상당한 전력을 소비한다. 2023년 삼성전자가 전 세계 반도체(DS) 사업에 사용한 전력량은 32.384TWh에 달하고, SK하이닉스는 12.011TWh를 기록했다. 한국경제인협회의 '국가첨단전략산업 특화단지 전력 수급 애로 개선 방안'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반도체 산업의 전력 의존도는 83%에 이른다. 게다가 반도체 미.. 2025. 4. 28.
CFE 이니셔티브, 채택까지의 여정 쉽지만은 않을 것 CFE 이니셔티브, 채택까지의 여정 쉽지만은 않을 것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5기 남궁성 AI 생태계 조성 생각보다 어렵다2025를 견인할 섹터가 확실시됐다. 그리고 그 중심에는 AI가 굳건하게 있을 전망이다.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은 AI 생태계 구축을 위한 대규모 프로젝트인 스타게이트를 발표하며 AI 시대를 미국이 주도할 것임을 알렸다. 사실 올해는 AI가 개화하는 시기라기보다는 피지컬 AI처럼 AI가 본격적으로 일상에 활용되는 시기가 될 것이다. 즉, AI를 곳곳에 이용하기 위한 생태계 조성부터 차근차근 해나가야 한다.그러나 그것은 생각보다 쉽지 않을 전망이다. 특히 '전력' 부분에서 발생하는 문제가 꽤 크다. 미국의 정보 기술 연구 회사인 가트너에 따르면 향후 2년간 AI 관련 데이터센터의 전력.. 2025. 3.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