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기차충전소5

전기차 배터리도 핸드폰처럼? 탈부착 가능한 전기차 전기차 배터리도 핸드폰처럼? 탈부착 가능한 전기차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6기 김대건 전기차 충전의 대안[자료 1. 전기차 배터리 표현]출처 : 인사이트 코리아 현재 충전소에 가서 전기차를 충전하는 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전기차 충전방식이 불편하다고 생각을 해봤는가? 충전이 수 시간 소요되고 충전소에서 화재가 발생하는 등 많은 문제점이 보인다. 그런데, 전기차 배터리를 탈부착식으로 교체할 수 있다면 어떨까?  중국의 니오(NIO)는 이미 이 방식을 도입해 현재 2,400개의 배터리를 교체할 수 있는 스테이션이 있다고 한다. 현대자동차도 배터리 교체형 전기차 제작을 본격화하고 있으며, 국토교통부는 이를 지원하기 위해 ’모빌리티 혁신위원회‘룰 출범시켰다. 이로 인해 현대자동차는 배터리 교체형.. 2024. 10. 28.
5분 만에 완충되는 전기차가 있다고? 5분 만에 완충되는 전기차가 있다고?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2기 박주은 [놀라운 발표] 전 세계적으로 내연기관차의 배기가스 배출 규제와 친환경 차 도입 지원정책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따라 전기차에 관한 관심과 발전은 점점 커지고 있다. 블룸버그 NEF(New Energy Finance)가 발표한 보고서 ‘2019 전기차 전망(Electric Vehicle Outlook 2019)’에 따르면 2010년 수천 대 판매에 불과했던 전기차가 2018년에는 200만 대 이상 판매됐고, 2025년에는 1,000만 대, 2030년에는 2,800만 대, 2040년에는 5,600만 대를 돌파할 것으로 추정된다. 다시 말해 2040년 판매되는 승용차의 57%, 전 세계 승용차의 30% 이상이 전기차가 될 것이라는 .. 2022. 11. 28.
제주의 전기차, 어디까지 알고 있니? 제주의 전기차, 어디까지 알고 있니?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18기 이다연최근 제주여행을 떠나 본 사람이라면 유난히 눈에 띄게 확인할 수 있는 것이 있을 것이다. 바로 파란색 차량 번호판을 달고 다니는, 전기차이다. 제주도의 도로를 달리다 보면 유난히 서울의 도로에서 보다 많은 양의 전기차를 확인할 수 있는데 그 종류 또한 소형차에서부터 트럭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종류의 전기차가 다닌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중형 전기차만이 가끔씩 보이는 서울에 비하면 가히 압도적이다. 그럼 도대체 왜 제주에는 다른 지역에 비해 유난히 전기차가 많은 것일까? 전기차 충전소, 전기차 보급을 위한 대표적인 필요 인프라우선, 전기차의 보급을 위해 가장 먼저 떠올리는 필요 인프라는 당연히 ‘전기차 충전소’라고 할 수 있다. .. 2020. 12. 28.
[전기차충전기]전기자동차에 불어온 새로운 바람, 충전 방식의 진화 전기자동차에 불어온 새로운 바람, 충전 방식의 진화 [사진1. 테슬라의 충전기 '슈퍼차저 스테이션'의 모습] 출처 - '테슬라' 공식 홈페이지 자동차 시장에 신선한 충격을 가져온, 미국의 전기자동차 회사 테슬라가 충전기 업그레이드를 발표하며 다시 한번 혁명을 일으키려고 한다. 테슬라는 기존 자사의 충전기 ‘슈퍼차저 스테이션’의 업그레이드를 예고했다. 업그레이드 내용은 기존의 충전 속도보다 빠른 충전을 하는 것이다. 현재의 충전기는 1대당 135kW 이상을 지원하며 30분 충전에 약 270km까지 주행할 수 있다. 이번 업그레이드가 된다면 충전 속도는 2배 이상 빨라질 것이라는 게 테슬라의 입장이다. 이럴 경우 15분 만에 배터리 용량의 95%를 충전할 수 있게 된다. 이에 질세라 BMW와 포드, 폭스바겐.. 2017. 5. 5.
EV 2017, 전기차 정책을 통해 알아보는 우리나라 전기차 산업의 현재 EV 2017, 전기차 정책을 통해 알아보는 우리나라 전기차 산업의 현재 해가 거듭될수록 미세먼지 오염도는 악화되고 있다. 황사횟수와 일수(서울 기준)를 찾아보면 2012년 1회/1일에서 2015년 8회/15일로 점점 증가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2015년 오염도를 보면 전국 26, 서울 23㎍/㎥으로 WHO 권고기준(10㎍/㎥)과 선진국 주요 도시(도쿄 16, 런던 15㎍/㎥)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그림1. 오늘날 미세먼지 상황] [그림2. 미세먼지 연도별 발령횟수] (출처: blog.bullsone.com/508), (출처: 서울특별시 대기환경정보 http://cleanair.seoul.go.kr/)] 미세먼지의 원인 중 수송부문은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환경부에서는 이러한 문.. 2017. 2.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