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천연가스12

신재생에너지야 빨리 자라렴 복합화력발전소가 버티고 있을게! 신재생에너지야 빨리 자라렴 복합화력발전소가 버티고 있을게! 17기 오희린 탈원전에 대한 주장은 1956년 영국에서 최초의 상업용 원전을 가동할 당시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꾸준히 제기되어 왔다. 기본적으로 탈원전을 지지하는 '원자력 발전 폐지론자'들은 원자력 발전이 친환경적인 에너지가 아니며, 통제 가능한 근본적 기술을 확보하지 못한 위험한 에너지라는 생각에 동의한다. 요근래 대한민국의 탈원전 정책은 1979년 미국 스리마일 섬 원자력 발전소 사고, 1986년 소련 체르노빌 원자력 발전소 사고, 2011년 일본 후쿠시마 제1 원자력 발전소 사고 등 세 개의 유명한 원전 사고의 영향을 받았다. 문재인 대통령은 18대 대선에서부터 에너지 공급에서 원자력 발전의 비율을 축소하는 탈원전 에너지 정책을 제시하였다... 2020. 6. 29.
에너지 시장의 판도를 바꿀 새로운 에너지원의 등장 에너지 시장의 판도를 바꿀 새로운 에너지원의 등장15기 김혜림 화석연료의 고갈과 에너지 안보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새로운 에너지원 개발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 오늘날, 전 세계가 앞으로 100여 년 이상 충분히 사용할 수 있을 정도로 풍부한 매장량의 에너지원이 주목받고 있다. 바로 ‘셰일’이다. 이 기사에서는 셰일 자원이 주목받게 된 이유와 전 세계 개발 동향 및 셰일 자원 전망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ㅣ셰일 혁명의 주인공 셰일 가스, 셰일 오일 셰일 자원은 셰일(진흙이 쌓여 만들어진 퇴적암층)에서 추출한 천연 가스와 석유로 '셰일 가스'와 '셰일 오일'을 지칭한다. 자원은 분포 지층과 채굴 방식에 따라 전통자원과 비전통자원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셰일 자원은 비전통자원 중 한 종류이다. 전통자.. 2020. 4. 27.
천연가스의 시대가 올까? 천연가스의 시대가 올까? 문재인 정부는 "탈원전과 함께 미래 에너지 시대를 열겠다"며 임기 내에 노후한 석탄화력발전소 10기를 폐지하고 신재생에너지와 LNG를 발전시켜 깨끗하고 안전한 청정에너지 산업을 적극 육성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이렇게 석탄을 이용한 화력 발전과 원자력 중심이던 에너지 시장이 탈원전에 따라 에너지 환경이 급변하였고 청정에너지로의 에너지 패러다임 전환이 이루어질 경우 천연가스인 LNG 발전이 급성장할 것으로 보인다. 즉, LNG는 기존에도 친환경적인 에너지원으로 인식이 되어 왔지만 석탄화력발전이나 원자력 발전에 비해 단가가 높아 사용 비중이 높지 않았다. 하지만 지난 4월에는 유연탄 50.22원, LNG 79.25원으로 차이가 29.03원으로 좁혀져 가장 낮은 차이를 보였고, 문재인 .. 2017. 9. 6.
대한민국, '셰일가스'라는 양날의 검을 들다 6월 28일부터 7월 2일까지 문재인 대통령이 미국을 방문하여 한미 동맹을 굳건히 하고, 대통령으로 취임한 이후로 향후 5년간 미국의 경제 성장 파트너로서 협력할 것을 약속했다. 6월 30일, 한미 정상회담이 개최되어 트럼프와 문재인 대통령이 한미 양국간 경제, 무역, 대북 정책 등에 대해 의견을 조율할 수 있는 자리가 마련되었는데, 그간 트럼프는 한미 FTA에 대해 미국이 불리한 조건의 협정이라고 불편한 기색을 표현하며 재협상에 대한 뜻을 내비쳤었다. 이에 우리 나라는 재협상 문제를 위한 협상카드가 필요했고, 그 카드로 셰일가스 수입 확대를 꺼내들었다. 문재인 대통령과 함께 미국을 방문한 52인의 방미 경제인단이 5년간 40조원을 미국에 투자하겠다는 계획을 약속한 것이다. SK그룹은 미국 에너지 기업인.. 2017. 7.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