촉매10 신재생 에너지 효율성 극대화 전략! - 촉매편 신재생 에너지 효율성 극대화 전략! - 촉매편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16기 전예지 전 세계적으로 주요 에너지 소비 원을 화석연료에서 신재생에너지로 전환하려는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아래 IEA에서 제공하는 자료를 봐도 알 수 있듯이 2017년 기준 수력, 바이오 에너지, 태양열, 풍력 등을 전부 합쳐도 신재생 에너지의 비율은 25% 정도밖에 되지 않는다. 1990년 기준 15% 정도에서부터 분명 신재생 에너지의 비율은 증가하고 있긴 하지만, 증가 속도가 왜 이렇게도 더딘 것일까. [공급원 별 일차 에너지 공급량 (생산량)] 출처 : IEA 이는 바로 신재생 에너지로 생산되는 에너지의 효율성이 기존의 다른 에너지원들보다 낮기 때문이다. 이러한 효율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 중 하나로 대두되는.. 2020. 1. 27. 수소 발생 100% 광전극, 멀지 않은 미래! 수소 발생 100% 광전극, 멀지않은 미래! 최근 급증하는 에너지 수요를 만족하기 위해 화석연료를 주 에너지원으로 사용하고 있으며 이산화탄소와 같은 온실가스를 배출하여 지구온난화 현상이 일어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친환경적인 신재생에너지가 주목받고 있는데 그 중 하나가 연료전지이다. 연료전지는 수소와 산소를 전기화학적으로 반응시켜 전기를 발생시키는 장치로서 열과 물이 생산되어 환경 오염을 일으키지 않고, 화학에너지를 직접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키기 때문에 에너지 변환 과정에서 손실을 줄일 수 있어 5~60%의 높은 효율을 갖는다. 하지만 전자 전달 효율이 우수한 귀금속을 촉매로 사용하기 때문에 높은 가격으로 인해 실제 활용에 한계가 있어 상용화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연료전.. 2017. 8. 11.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