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력33 대한민국, 그리드 패리티 언제 달성할래? 대한민국, 그리드 패리티 언제 달성할래?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3기 고가현 그리드 패리티 정의 국내 전력 시장은 도매시장과 소매시장으로 엄격하게 분리되어 있다. 한국전력거래소가 운영하는 도매시장에서는 발전 사업자들이 전력을 생산해 판매하고, 소매시장에서는 한국전력공사만이 도매시장에서 구매한 전력을 최종 소비자에게 판매한다. 지금까지 도매시장에서 신재생에너지로부터 생산된 전력은 발전단가에 상관없이 우선 구매됐다. 이는 신재생에너지 발전 단가가 원자력, 화력 발전 등 다른 연료의 발전단가보다 높기 때문이다. 한국전력거래소의 통계자료에 따르면 2021년 기준 태양광의 발전단가는 1kWh 당 93.4원, 풍력의 발전단가는 1kWh 당 99.3원이다. 반면, 원자력의 발전단가는 1kWh 당 56.1원이다. 전.. 2023. 8. 1. 산에서 바다로, 바다에서 하늘로! 산에서 바다로, 바다에서 하늘로!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1기 이태환, 22기 류나연 풍력 발전이라는 단어를 들으면 어떤 이미지가 떠오르는가? 흔히 대관령의 산림이나 제주도 해안가에 설치된 거대한 크기의 기둥과 날개를 가장 먼저 떠올릴 것이다. 그런데 최근 대중들이 쉽게 떠올리는 풍력 발전의 틀을 깬 발전 방식이 관심을 끌고 있다. 산에서 바다로, 이제는 바다에서 하늘로 풍력 발전은 발걸음을 내딛고 있다. [자료 1. ALTAEROS 사의 공중 풍력 발전기] 출처 : ALTAEROS 홈페이지 [육상 풍력 발전과 해상 풍력 발전의 한계] 공중 풍력 발전이 등장한 배경에는 기존 육상 풍력 발전과 해상 풍력 발전이 갖는 한계가 있다. 먼저 육상 풍력 발전이 갖는 한계는 자명하다. 육상 풍력 발전의 제한 요소.. 2023. 1. 30. 한국중부발전을 다녀와서 한국중부발전을 다녀와서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0기 이주선, 21기 오서영, 21기 한세민, 22기 박주은 국내 가장 오래된 발전소는 어디일까? 바로 서울시 마포구에 위치한 한국중부발전 서울발전본부이다. 1930년, 국내 최초의 화력 발전소였던 당인리 발전소부터 시작해 지금까지 100년에 가까운 역사를 자랑한다. 1930년 1호기가 건설되고 1935년 2호기 건설되어 서울에 전기를 공급했다. 1940년 한국 전쟁에 의해 서울 탈환, 중공군의 남하, 그리고 서울 재탈환의 과정에서 당인리 발전소는 파괴 및 응급 수리에 따른 정지와 가동을 반복하였다. 이후 휴전 이후 1954년 미국으로부터 ICA자금 (개발도상국 원조자금)을 지원받아 1956년 3호기가 건설되었다. 이후, 1969년에 5호기가 건설되었고 이.. 2022. 12. 26. 전 세계가 외치는 RE100, 우리나라는 재생 에너지 부족? 전 세계가 외치는 RE100, 우리나라는 재생 에너지 부족?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1기 정형인 [국내 대기업의 RE100 선언] [자료1. 국내 대기업들의 전력 사용량] 출처 : 이코리아 지난 9월 15일, 국내 대기업 중 하나인 삼성전자가 경영 패러다임을 친환경으로 전환하는 ‘신환경경영전략’을 발표했다. 이와 동시에 ‘RE 100’에도 가입하며, 본격적으로 국내 사업장에서 사용하는 전력 100%를 재생 에너지로 전환하겠다는 의지를 보였다. 삼성전자는 국내 대기업 중에서도 전력 사용량의 선두에 있기에 국제사회에서도 이러한 소식을 굉장히 반기고 있다. [우리나라 재생 에너지 현황] 사실 우리나라는 RE100으로의 발걸음이 해외와 비교하면 매우 느린 편이다. 지난 6월 23일 SK 증권의 보고서에 따르면.. 2022. 10. 31. 새바람, 바람 없이 풍력 발전하다 새바람, 바람 없이 풍력 발전하다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0기 서범석 폭우, 폭염, 산불 등 2020년대에 들어 이상 기후와 자연 재해가 유독 자주 발생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이러한 기후 변화의 주요 원인으로 온실가스에 의한 지구 온난화를 꼽는다. 이에 한국의 2050 탄소중립을 위한 노력이 사회적으로 이뤄지고 있다. 탄소중립을 위해서는 화석연료를 사용하지 않는 발전원이 필요하다. 기업 ‘새바람’은 국가의 탄소중립을 조기 달성하고 재생에너지 신수출품으로 부상할 수 있는 기술, 4종복합발전시스템을 개발한다. 화석연료 사용을 억제하여 푸른 지구의 모습을 되찾고 지속가능한 지구를 만드는 것이 근본적인 목표이다. 풍력 발전은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신재생에너지 발전 방식이다. 풍력 발전은 에너지원의 무한성과 높은.. 2022. 9. 28. 3D 프린팅과 풍력 발전이 만났다! 3D 프린팅과 풍력 발전이 만났다!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1기 정형인 [주목받는 3D 프린팅]3D 4차 산업혁명 이후 굉장히 주목받는 산업 분야가 있다. 바로 ‘3D 프린팅’이다. 주목받는 이유에는 여러 가지 이유가 있다. CAD 등과 같은 소프트웨어 접근성이 좋고, 프린팅 장치 가격은 낮다. 또한, 이용되는 소재의 다양성이 높고, 획일화된 같은 제품이 아닌 각자 본인의 환경에 따른 혹은 필요나 취향에 따른 제품을 원하는 소비자들이 많아지며 그에 따른 정부의 관심 역시 높아졌기 때문이다. 현재 의학, 의류 등 이미 여러 분야에서 이용되고 있는데 과연 신재생에너지 분야에는 어떻게 쓰이고 있을까. 높은 유망성을 가진 3D 프린팅은 이제 풍력발전에도 쓰이고 있다. [풍력 발전이란?] [자료 1. 풍력발전].. 2022. 7. 25. 한국의 지리적 한계와 ESS 한국의 지리적 한계와 ESS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18기 오지훈 한국을 이야기할 때 지리적 한계는 빼놓고 이야기할 수 없다. 기업의 가치평가 이루어질 때도 지리적 한계는 국내 기업에게 붙는 꼬리표들 중 하나이다. 그렇다면 한국의 지리적 특징과 한계는 무엇일까? 한국의 경우, 북위 33~43도, 동경 124~132도의 단일 기후대에 위치하며 국토 면적은 100,364㎢으로 상대적으로 좁다. 또한 북쪽을 제외하고는 삼면이 바다로 둘러싸였고 영토의 경우 평지가 30%, 산지가 70%로 구성되었다. 산지의 경우 해발고도 1,000m 이상의 산은 15%, 500m 이하의 산은 65% 이상을 차지하며, 태백산맥을 중심으로 동쪽이 높고 서쪽이 낮은 비대칭적 지형을 가졌다. 이러한 지리적 특징으로 인해 한국은 국토면.. 2021. 12. 27. 지금은 발전설비 자동화 시대! 지금은 발전설비 자동화 시대!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18기 서현영 신재생에너지 발전설비는 지금 자동화 진행 ing! 초연결, 초지능으로 대표되는 4차 산업혁명의 바람이 국내 신재생에너지 분야에도 불고 있다. 지금까지 사람이 직접 해왔던 신재생에너지 발전설비의 청소, 감시, 점검을 인공지능 로봇이 대체해 나가는 중이다. 사람의 힘만으로는 역부족이었던 영역에 4차 산업혁명의 접목으로 앞으로 신재생에너지 발전 분야가 어떻게 바뀔지 함께 알아보자. 1. 태양광 청소로봇 약 15-20년 동안 사용이 가능한 태양광 패널은 수명을 늘리기 위한 관리가 꼭 필요하다. 폭설이나 미세먼지, 모래바람 등은 빛에너지를 차단하고 발전 효율을 20%까지 떨어뜨리기도 한다. 따라서 발전효율을 유지하기 위해 주 1회 물 세척, 월 .. 2021. 5. 31. 이전 1 2 3 4 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