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하수3

[취재] 1년 6개월이 지나, 다시 방문한 '굴포천 생태하천 복원사업' 현장 1년 6개월이 지나, 다시 방문한 '굴포천 생태하천 복원사업' 현장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3기 김경훈 작년 '굴포천 생태하천 복원사업'에서 목격한 문제점[자료 1. 작년에 작성한 굴포천 생태하천복원사업 기사]출처: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지난 2023년 5월 29일, ‘생태하천복원의 명(明)과 암(暗)’이라는 제목으로 ‘굴포천 생태하천 복원사업’을 대상으로 취재 기사를 작성했다. 본 사업은 기존에 주차장으로 활용되었던 복개천을 드러내어 다시 하천으로 만드는 사업이다. ‘복개’라는 단어는 일상생활에서 듣기는 어려운데, ‘복개’란 자연적으로 흐르는 하천을 매립 또는 지상 인프라를 이용해 숨기는 것을 말하며, 이렇게 복개한 하천을 복개천(覆蓋川)이라고 한다.취재 당시, 부평구는 해당 사업을 진행하면서 발생할 .. 2024. 10. 24.
산업단지 물 부족의 떠오르는 해결책, 하수 재이용 산업단지 물 부족의 떠오르는 해결책, 하수 재이용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1기 홍서현, 22기 김혜윤, 23기 강민수, 송태현, 24기 유현지 산업단지 물부족에 따른 정부의 규제 완화 2021년 세계기상기구(WMO)는 물에 관한 보고서에서 ‘2018년 36억 명의 사람들이 적어도 1년에 한 달 동안 물을 제대로 이용하지 못했다. 2050년까지, 물 부족에 시달릴 사람은 50억 명 이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라고 밝혔다. 물 부족 현상으로 인한 문제는 물 사용량이 많은 정보기술(IT) 산업단지에서도 속출하고 있으며 특히 반도체 산업에서 받는 영향이 큰 것으로 확인된다. 현대차증권이 지난 5월 발표한 일일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 남부 지역의 경우 긴 건기로 인한 가뭄 현상으로 수력 발전량이 급감하여 .. 2023. 9. 2.
폐수가 우리집에 다시 돌아온다고? 폐수가 우리집에 다시 돌아온다고?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2기 이지원 사람의 활동이 수질오염에 끼치는 영향 우리나라에서 하루에 발생하는 19,724천 톤의 하수 및 폐수가 발생하고 있다. 하수란, 사람의 생활이나 경제활동으로 인해 오염된 물, 건물 및 도로의 부지로부터 하수도로 유입되는 빗물과 지하수를 말한다. 폐수는 산업단지에서 발생한 오염물질을 말하며, 그대로 사용할 수 없다. 이러한 하수와 폐수의 80%는 그대로 자연에 방류되고 있다. 보통 물을 오염시키는 것은 산업폐수라 생각한다. 하지만 실제 가정에서 버리는 생활하수가 하루 폐수 발생량 중 78%로,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생활하수란, 가정이나 건물 등 사람이 살아가면서 생기는 하수, 유기물, 합성세제를 말한다. 설거지할 때 사용하는.. 2023. 6.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