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지역난방공사2

식기 전에 다시 보자, 미활용열 식기 전에 다시 보자, 미활용열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2기 류나연 [미활용열]이호현 산업통상자원부 에너지정책실장이 지난 4월 19일 “전기에너지에 비해 열에너지 관련 정책은 뒤처진 측면이 있다”며 “특히, 미활용열에 대한 정책을 많이 준비 중이고, 데이터베이스화를 통한 재활용 방안을 고민 중”이라고 밝혔다.그렇다면 ‘미활용열’은 무엇일까? 열에너지는 보통, 생활에서 사용하는 난방으로 인식된다. 하지만 실제로는 많은 산업 부문의 공정열로 활용되고 있다. 미활용 에너지(Unused Energy)란 인간의 생활 또는 생산 활동을 위해 사용하는 에너지 중 경제적 가치나 기술적 이용 방법의 한계로 회수되지 못하고 자연계로 돌아가는 ‘도시폐열’과 자연 상태의 태양열 에너지를 저장하고 있는 해수, 하천수, 지열 등.. 2024. 5. 25.
우리나라 난방시장, 지역난방이 답일까? 우리나라 난방시장, 지역난방이 답일까?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19기 임하영 우리나라는 제3차 에너지기본계획, 제9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을 통해 정부 차원의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제도적 기반을 구축하고 기후변화 대응력을 제고하고 있다. 특히 발전 부문이 온실가스 배출의 35%를 차지하고 있으므로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 적절한 난방방식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한 과제로 여겨지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의 주요 난방방식 중 개별난방과 지역난방은 서로의 시장을 확보하기 위한 경쟁이 치열하다. 지역난방이 개별난방에 비하여 실제로 효율성이 높은 난방방식인지에 대한 의문을 제기하며 경제·사회의 녹색전환을 위해 어떠한 난방방식을 채택할 것인가에 대한 논의가 계속해서 벌어지고 있는 것이다. 본 기사에서는 우리나라의 주요 난방방식을.. 2021. 4. 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