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환경오염11

플라스틱 아닌 종이 빨대, 진정한 친환경 해결책일까? 플라스틱 아닌 종이 빨대, 진정한 친환경적 해결책일까?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5기 맹주현 [종이 빨대의 도입 배경]2018년 8월, 자원재활용법이 개정되면서 매장 내 일회용 컵 사용이 금지됐다. 이에 스타벅스는 환경 보호를 위해 국내 처음으로 종이 빨대를 도입했고, 2018년 11월부터 전 매장으로 확대했다. 당시 스타벅스 관계자는 “한국 스타벅스에서 연간 사용하는 플라스틱 빨대(길이 21cm)는 약 1억 8천만 개”라며 “종이 빨대를 쓰게 되면 126톤의 플라스틱 절감 효과를 불러올 수 있다”고 말했다.2018년 8월부터 시행됐던 매장 내 일회용품 사용 규제는 2020년 코로나19의 확산으로 유예됐다. 그러다 2022년 4월 1일부터 다시 시작됐고, 이어 2022년 11월 24일 플라스틱 빨대 등도.. 2024. 11. 22.
AI와 지속가능성은 공존할 수 있을까? AI와 지속가능성은 공존할 수 있을까?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4기 변지원 AI와 지속가능성?오늘날 빠르게 발전하는 세계에서 인공지능(AI)은 미래 사회의 키(key)이며, 이미 산업을 재편하고 일상생활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와 동시에 탄소중립 목표 달성을 위한 중요한 요소로도 자리 잡고 있다. 대표적으로 재생에너지 확대 과정에서 AI의 활용은 에너지 효율성을 극대화하고 자원 관리를 최적화하는 데에 필수적이다. 신재생에너지의 간헐성을 극복할 수 있도록 AI를 활용해 에너지 수요와 공급을 예측하고 저장 기술을 개선할 수 있기 때문이다. 다만 AI가 지속적으로 확장되면서 다양한 환경 및 윤리적 문제들도 제기되고 있다. 과연 AI와 지속가능성은 공존할 수 있을까? AI가 야기하는 환경 오염AI 수요 증가.. 2024. 10. 28.
플라스틱 크레딧, 지구를 구할 수 있을까 플라스틱 크레딧, 지구를 구할 수 있을까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5기 안수연 플라스틱 크레딧? 그게 대체 뭔데“Credit(크레딧): 신용을 바탕으로 거래함. 또는 그런 신용”. 신용의 사전적 의미까지 살펴보자면, “신용: 거래한 재화의 대가를 앞으로 치를 수 있음을 보이는 능력”이다. 크레딧의 사전적 의미를 보았을 때는, 친숙한 ‘Credit Card(신용카드)’와 같이 돈과 관련된 것들이 먼저 떠오를 것이다. ‘플라스틱 크레딧’이라고 한다면, “플라스틱으로 만든 신용카드인가?” 하는 생각이 들지도 모른다.기후 위기에 관심이 많은 사람이라면, 탄소 크레딧을 떠올렸을 수도 있다. ‘탄소 크레딧’은 기후변화로 인한 영향을 줄이거나, 탄소배출 감축에 기여한 만큼 인증된 탄소 배출량의 단위로, 주로 기업 등이.. 2024. 10.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