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CNF2

나노셀룰로스(CNF)의 차세대 배터리 분리막 혁신 나노셀룰로스(CNF)의 차세대 배터리 분리막 혁신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1기 한세민 산림에서 찾은 소재의 해답 전기차와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성장은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핵심 과제이다. 현재 여러 기업에서 배터리 성능 향상과 동시에 환경친화적인 소재 개발을 해가고 있는 흐름 속 주목을 받는 소재가 있다. 바로 나노셀룰로스이다. 나무와 같은 천연자원에서 얻을 수 있는 나노셀룰로스는 경량, 고강도, 친환경성을 겸비한 혁신적인 소재로, 기존 화학 기반 배터리 분리막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주고 있다. 여러 연구에서는 나노셀룰로스를 활용해 고열 안정성과 전해질 친화성을 강화한 리튬이온 배터리 분리막이 개발되었으며, 상업적 적용 가능성이 점차 확대되고 있다고 한다.이번 기사에서 나노셀룰로스의 .. 2024. 12. 31.
멍게, 이제는 센서에 양보하세요 멍게, 이제는 센서에 양보하세요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1기 길민석 고분자에 전기 전도성이 있다고? [자료 1. 전도성 고분자(Conductive Polymers)의 활용 분야] 출처 : RCS 전기 전도성이 있는 플라스틱 및 고분자가 있다고 한다면 믿을 수 있는가? 우리가 아는 플라스틱은 단순히 포장재, PET 등을 생각할 것이고, 이러한 물품들과 전기 전도성은 크게 관련이 없어 보이기만 한다. 하지만, 실제로 전기 전도성을 지닌 고분자에 대한 연구는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고, 이러한 고분자를 '전도성 고분자(Conductive Polymer)'라고 한다. 고분자를 구성하는 원자들 간에 단일 결합과 이중 결합이 번갈아 반복되는 사슬 구조를 갖고 있어서 파이(π)-전자밀도의 비편재화가 일어날 수 있다. .. 2024. 1.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