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EP2 [취재] 허무하게 실패한 국제 플라스틱 협약 마련 [취재] 허무하게 실패한 국제 플라스틱 협약 마련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5기 남궁성 공식적인 마지막 국제 플라스틱 협약 회의 개최유엔 플라스틱 협약 마련을 위한 제5차 정부간협상위원회 회의가 11/25~12/2 동안 부산 벡스코에서 개최됐다. 4차까지 회의가 진행되었지만, 각국의 합의가 이뤄지지 않은 채 협약문에는 수천 개의 괄호만이 남아 5차 회의까지 개최한 것이다. 5차 회의는 공식적으로 플라스틱 협약을 마련하기 위한 최종 회의였던 만큼 구속력 있는 협약이 완성될 것이라는 기대감이 전 세계적으로 매우 높았다. 이번 5차 회의 시작 직전 날에는 에코나우와 유엔환경계획의 주도하에 각국 청년대표단을 동서대학교에 모아 플라스틱 협약에 대한 의견을 여러 이해관계자와 공유했다. 해당 행사에는 유엔환경계획 공식.. 2024. 12. 29. 해양플라스틱 파헤치기(2) : 해양플라스틱에 대한 전 세계의 움직임 해양플라스틱 파헤치기(2) : 해양플라스틱에 대한 전 세계의 움직임 15기 민정윤, 17기 백도학 전 세계적 이슈, 해양 플라스틱 문제 인간의 삶을 윤택하게 만들어준 발명품들은 너무나도 많다. 그 중 플라스틱은 현재 우리 삶에 없어서는 안 될 만큼 여러 곳에 사용되고 있다. 허나 동시에 플라스틱은 우리에게 윤택한 삶을 제공함과 동시에 지구에게 막대한 피해를 주었다. 연간 전 세계에서 제조되는 플라스틱의 양은 약 4억 톤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비닐봉지는 약 5천억~1조 개가 매년 생산되고, 페트병은 약 5천억 개가 생산된다. [자료 1. 스티로폼에 덮혀 있는 물고기] 출처 : 환경운동연합 그 중 전 세계 바다로 유입되는 플라스틱의 수는 연간 800만 톤에 달하는 것으로 보인다. 해양 쓰레기 중에서 플.. 2020. 6. 29.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