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mr3 CFE 이니셔티브, 채택까지의 여정 쉽지만은 않을 것 CFE 이니셔티브, 채택까지의 여정 쉽지만은 않을 것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5기 남궁성 AI 생태계 조성 생각보다 어렵다2025를 견인할 섹터가 확실시됐다. 그리고 그 중심에는 AI가 굳건하게 있을 전망이다.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은 AI 생태계 구축을 위한 대규모 프로젝트인 스타게이트를 발표하며 AI 시대를 미국이 주도할 것임을 알렸다. 사실 올해는 AI가 개화하는 시기라기보다는 피지컬 AI처럼 AI가 본격적으로 일상에 활용되는 시기가 될 것이다. 즉, AI를 곳곳에 이용하기 위한 생태계 조성부터 차근차근 해나가야 한다.그러나 그것은 생각보다 쉽지 않을 전망이다. 특히 '전력' 부분에서 발생하는 문제가 꽤 크다. 미국의 정보 기술 연구 회사인 가트너에 따르면 향후 2년간 AI 관련 데이터센터의 전력.. 2025. 3. 3. 전력 인프라의 미래는? 전력 인프라의 미래는?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4기 박선혜 발전원부터 전력 거래 시장까지현재 우리는 에너지 전환이라는 중요한 전환점을 맞이하고 있다. 전 세계적으로 화석연료 의존도를 줄이고 신재생에너지 비율을 확대하는 추세가 강하게 나타나며, 이는 국내 전력 시장에도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특히, 신재생에너지의 확산과 함께 기존 발전원에 대한 의존도를 점차 줄여나가는 과정에서, 전력망의 효율적 운용과 안정적인 공급을 위한 새로운 기술과 전략들이 요구된다. 이와 함께 발전원 간의 균형을 맞추고, 거래 방식의 개편에 대한 필요성도 커지고 있다. 발전에서부터 거래까지 전력 인프라의 주요 이슈를 다룬다. 차세대 에너지 전환, SMR과 수소우리나라 주요 전력지표를 살펴보자. 전력통계정보시스템에 따르면 2023년.. 2025. 1. 25. 대신기가 본 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 대신기가 본 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3기 김용대, 23기 차승연, 24기 배장민, 24기 박선혜, 24기 이우진, 25기 구윤서[서론] 올해 5월 21일, 정부의 기후위기 대응이 국민의 기본권 보호의무를 위반한다는 취지의 헌법소원에 대한 최종 공개변론이 진행됐다. 헌법소원의 결과가 나오지는 않았지만, 이러한 기후위기 대응의 방향성을 설정할 수 있는 수단 중 하나로 제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이 발표됐다. 제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은 2038년 최대 전력수요를 모형수요 128.9GW, 추가수요 16.7GW를 더한 값에서 수요관리 16.3GW를 뺀 값인 129.3GW로 전망했다. 2038년 기준 목표설비 123.9GW에 (1+예비율 22%)을 곱하고, 확정설비 147.2GW를 뺀 신규 필요.. 2024. 7. 26.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