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mr10

전력 인프라의 미래는? 전력 인프라의 미래는?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4기 박선혜 [발전원부터 전력 거래 시장까지]현재 우리는 에너지 전환이라는 중요한 전환점을 맞이하고 있다. 전 세계적으로 화석연료 의존도를 줄이고 신재생에너지 비율을 확대하는 추세가 강하게 나타나며, 이는 국내 전력 시장에도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특히, 신재생에너지의 확산과 함께 기존 발전원에 대한 의존도를 점차 줄여나가는 과정에서, 전력망의 효율적 운용과 안정적인 공급을 위한 새로운 기술과 전략들이 요구된다. 이와 함께 발전원 간의 균형을 맞추고, 거래 방식의 개편에 대한 필요성도 커지고 있다. 발전에서부터 거래까지 전력 인프라의 주요 이슈를 다룬다. [차세대 에너지 전환, SMR과 수소]우리나라 주요 전력지표를 살펴보자. 전력통계정보시스템에 따르면 2.. 2025. 1. 25.
[ENTECH 후기] SMR과 함께 수소시장을 선도하는 두산에너빌리티 SMR과 함께 수소시장을 선도하는 두산에너빌리티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1기 한세민 부산의 BEXCO에서 9월 4일부터 6일까지 3일간 2024기후산업국제박람회가 개최되었다. 이곳에서 두산에너빌리티는 전시관을 통해 원자력∙SMR, 수소∙항공터빈, 암모니아∙수소에너지, 해상풍력을 아우르는 무탄소 토탈 에너지 기술 제조 사업에 대해 소개하는 자리를 가졌다. [자료1. 두산에너빌리티 전시관]출처: ©21기 한세민차세대 원전 SMR최근 소형 모듈 원전(SMR)에 대해 기술 개발과 탄소 감축 대안으로 세계적인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SMR은 기존 대용량 발전 원자로에 대비되는 개념으로 300MWe 이하의 전기 출력을 가진 소형 원자로를 의미한다. 기존 원전보다 강화된 안전성, 입지와 출력에서의 유연성을 모두 갖춰.. 2024. 9. 19.
대신기가 본 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 대신기가 본 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3기 김용대, 23기 차승연, 24기 배장민, 24기 박선혜, 24기 이우진, 25기 구윤서[서론] 올해 5월 21일, 정부의 기후위기 대응이 국민의 기본권 보호의무를 위반한다는 취지의 헌법소원에 대한 최종 공개변론이 진행됐다. 헌법소원의 결과가 나오지는 않았지만, 이러한 기후위기 대응의 방향성을 설정할 수 있는 수단 중 하나로 제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이 발표됐다. 제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은 2038년 최대 전력수요를 모형수요 128.9GW, 추가수요 16.7GW를 더한 값에서 수요관리 16.3GW를 뺀 값인 129.3GW로 전망했다. 2038년 기준 목표설비 123.9GW에 (1+예비율 22%)을 곱하고, 확정설비 147.2GW를 뺀 신규 필요.. 2024. 7. 26.
반도체의 핵심은 전력 반도체의 핵심은 전력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4기 유현지 [전기 먹는 하마, 반도체]24시간 365일 가동되는 반도체 공장은 그야말로 전기 먹는 하마다. 우리나라에서 산업용 전력을 가장 많이 사용하는 기업으로는 글로벌 반도체 산업에서 두각을 나타내는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있다. 반도체 산업은 우리나라의 가장 대표적인 핵심 산업임과 동시에 환경 분야에서 상당한 문제점을 드러내는 산업이기도 하다.[자료 1. 산업용 전력 많이 쓰는 기업]출처 : 국민일보이러한 막대한 전력 소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반도체 업계는 2050년까지 기업에서 사용하는 전력의 100%를 재생에너지로 전환하겠다는 'RE100' 이니셔티브에 가입해 탄소 배출량 감축을 목표로 하고 있다. 하지만 한국의 반도체 기업은 RE100 목표 .. 2024. 7. 1.
소형모듈원전(SMR), 탄소중립의 새로운 패러다임이 될 수 있을까? 소형모듈원전(SMR), 탄소중립의 새로운 패러다임이 될 수 있을까?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5기 노정연, 안수연 [무탄소 전원으로의 확대, 주목받는 SMR] 지난 1월 29일, 산업통상자원부는 석탄 화력 발전소를 LNG 발전으로 전환하는 대신, 무탄소 전원으로 전환하겠다는 방침을 제시했다. 지금과 같은 추세로 에너지 전환이 이루어질 경우, 국내 탄소 배출량을 2018년 대비 40%까지 감축하겠다는 2030 NDC 달성이 어려울 것이라 본 정부의 판단이 작용했다는 분석이 있다. 정부는 2023년 5월 CFE 포럼을 출범하면서 RE100 시행에 대한 기업들의 부담을 줄이고, 재생에너지 발전에서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했다. 원전 비중이 높은 국내 발전 환경 특성상, 이산화탄소를 직접 배출하지 않는 재생에너지,.. 2024. 3. 29.
2023강원세계산림엑스포 방문기: 차세대 원전 i-SMR과 한국수력원자력 2023강원세계산림엑스포 방문기 : 차세대 원전 i-SMR과 한국수력원자력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1기 한세민 2023강원세계산림엑스포에서 만난 한국수력원자력 [자료 1. 2023강원세계산림엑스포 ] 출처 : ⓒ 한세민 2023년 9월 22일부터 10월 22일까지, 31일 동안 "세계, 인류의 미래, 산림에서 찾는다"라는 주제로 개최된 에 방문하였다. 산림에 대한 이야기, 산림 체험 등의 여러 행사장 중 ‘산업교류관’ 행사장에서는 산림을 지키는 데 많은 도움이 되는 ESG경영을 하는 기업의 전시를 볼 수 있었다. 그 중 하나가 바로 한국수력원자력의 넷 제로(Net-zero) 사업에 대한 전시관이다. 국토 면적의 63%를 차지하는 산림을 보전하는 것은 온실가스로 오염된 대기를 비롯한 생태계를 깨끗이 하는.. 2023. 11. 1.
여기도 원전, 저기도 원전, 과연 원전의 미래는? 여기도 원전, 저기도 원전, 과연 원전의 미래는?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3기 송시원 [원전으로 탄소중립 꿈꾸는 한국] 2023년 5월 분산에너지법이 국회를 통과했다. 우리나라의 화석연료 기반 중앙집중형 에너지 공급 시스템을 신재생에너지 기반의 분산형 송전 방식으로 바꾸는 것이 목적이다. 기존에는 대규모 발전소와 장거리 송전망을 구축해야 했지만, 분산에너지법이 시행되면 수요지 인근에서 전력을 생산해 소비할 수 있어 지역에너지 시스템 구축이 가능하다. 해당 법안은 분산에너지사업 범위에 신재생에너지 · 연료전지발전 · 수소 발전 · ESS(에너지저장시스템) · 소규모 전력 중개 등을 비롯하여 중소형 원전을 포함했다. 이에 소형모듈원전(SMR)이 신규 분산형 에너지 자원으로 주목받으며 분산에너지법이 SMR .. 2023. 10. 26.
오펜하이머 씨, 이런 원자력은 어때요? 오펜하이머 씨, 이런 원자력은 어때요?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2기 류나연, 박재욱 [최고의 에너지원, 원자력] [자료 1. 영화 ‘아이언맨’에 등장하는 아크 원자로] 출처 : Amazon 변화무쌍한 슈트와 재치 있는 입담으로 2010년대 극장을 주름잡았던 ‘아이언맨’. 자신의 목숨과 맞바꾸어 지구를 지켜낸 그의 따뜻한 가슴에는 항상 동그랗고 시퍼런 기계가 달려있었다. 이것은 아이언맨의 에너지 공급원으로, 한국판 번역으로는 ‘아크 리액터’라고 불린다. 영화의 설정상, 아크 리액터는 반응 물질을 손실 없이 그대로 에너지로 바꾸기 때문에 그 효율이 상상을 초월하는 것은 물론, 오염 물질도 존재하지 않아 사고의 위험으로부터도 안전하다. 한마디로 꿈의 에너지원이다. 이러한 에너지원이 실제로 구현이 가능할까? .. 2023. 9.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