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News/CCUS-수력-풍력-지열

[Remake] 트럼프 2.0 시대의 에너지 정책 속 CCUS, 한국은?

by R.E.F. 27기 신소연 2025. 3. 29.

[Remake] 트럼프 2.0 시대의 에너지 정책 속 CCUS, 한국은?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7기 신소연

22기 김혜윤, 23기 진희윤 선배님의 "탄소와의 전쟁, CCUS" 기사의 Remake 버전입니다. 기사 작성에 도움을 주시고 배려해 주신 22기 김혜윤, 23기 진희윤 선배님에게 감사드립니다.
 

CCUS, 한국에 왜 필요할까

기후위기 대응의 필요성을 절감하는 21세기, 대한민국은 2021년 “2050년 탄소중립 목표”를 공식 선언하고 온실가스 감축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그러나 한국은 탄소 배출이 많은 제조업 중심의 경제 구조로 인해 오직 재생에너지 확대만으로는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달성하기 어렵다. 이에 따라 탄소중립을 위한 대안으로 CCUS(Carbon Capture, Utilization & Storage, 탄소 포집·활용·저장) 기술이 주목받고 있다.

[자료 1. CCUS 기술개념도]

출처 :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CCUS는 발전 및 산업 공정에서 배출되는 CO2를 포집해 저장하거나 유용한 자원으로 전환하는 기술로, 기존 산업을 유지하면서 온실가스를 감축할 수 있는 실질적인 해결책이 될 수 있다. 특히 한국은 지리적·산업적 특성상 CCUS 기술이 필수적인 국가다. 첫째, 탄소 저장소 확보의 어려움이 있다. 한국은 대규모 CO2 저장을 위한 지질학적 여건이 제한적이며, 이에 따라 현재 동해가스전을 활용한 CCS 실증 사업이 추진되고 있다. 둘째, 산업 구조상 탄소 배출이 불가피한 업종이 많다. 철강, 석유화학, 시멘트 산업은 공정 특성상 탄소 배출을 완전히 제거하기 어려워 CCUS 기술의 쓰임이 크다. 셋째, CCUS 기술은 탄소배출권 거래제(ETS)와 연계해 기업의 탄소 비용 부담을 줄이고 국제 탄소 규제에 대응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처럼 CCUS는 한국의 산업 경쟁력을 유지하면서도 탄소중립을 달성하기 위한 가교(bridge)이자 핵심 전략으로 자리 잡고 있다. 그러나 최근 미국 트럼프 대통령의 재선이 확정되면서, 국제 CCUS 시장의 흐름이 달라질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이러한 글로벌 정책 변화 속에서 한국의 CCUS 산업은 어떤 영향을 받을 것이며, 국내 기업들은 어떻게 대응해야 할까.

 

트럼프 2.0시대, CCUS의 전망은

[자료 2. 탈(脫)친환경 정책 노선을 내세우고 있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출처 : 헤럴드경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재선이 확정되면서 미국의 에너지 정책이 다시 친화석연료 중심으로 회귀할 전망이다. 트럼프 행정부는 파리기후협정 탈퇴, 석유·가스 시추 확대, 재생에너지 보조금 삭감 등 기후변화 대응 정책의 대폭 후퇴를 예고했다. 그러나 탄소 포집·활용·저장(CCUS) 기술만큼은 예외적인 관심을 받고 있다. 바이든 행정부가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을 통해 신재생에너지 및 친환경 기술 투자에 박차를 가했던 것과는 달리, 트럼프 행정부는 재생에너지 지원을 줄이는 대신 CCUS 기술을 활용해 화석연료 산업의 지속성을 유지하려는 전략을 취할 가능성이 크다. 이는 단순한 정책 변화가 아니라 글로벌 CCUS 산업의 방향을 결정짓는 중요한 변곡점이 될 가능성이 있다. CCUS 기술이 석유·가스 산업을 연장하는 수단으로 쓰일 것인지, 탄소중립을 위한 핵심 기술로 자리 잡을 것인지에 대한 논쟁이 본격화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취임과 동시에 ‘에너지 비상사태’를 선언하고 미국 내 석유·천연가스 시추 확대를 최우선 과제로 내세웠다. 그는 에너지 가격을 낮추고 제조업을 부흥시키겠다는 명목으로 연방 공유지에서의 석유·가스 시추 허용, 알래스카 북극 보호지역에서의 시추 재개, 석탄산업 규제 폐지 등의 조치를 강행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셰일오일·가스 생산 확대를 위해 관련 기업에 대한 규제를 완화하고, 송유관 및 수출 인프라 확대를 추진할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트럼프 행정부의 에너지 정책에서 CCUS 기술만큼은 특이한 입지를 차지하고 있다. 미국 주요 석유·가스 기업들이 CCUS 기술을 석유 생산 증대(EOR, 원유회수증진) 수단으로 활용하고 있으며, 트럼프 행정부 역시 이를 미국의 에너지 전략과 연계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트럼프가 전면적으로 기후변화 대응 정책을 후퇴시키더라도, CCUS 기술에 대한 지원은 유지될 가능성이 높다.


미국 에너지부(DOE) 자료에 따르면, 현재 미국에서 진행 중인 CCUS 프로젝트는 100개 이상이며, 이는 전체 CCUS 관련 글로벌 프로젝트의 약 40%에 해당한다. 시장조사기관 네스터(Nester)는 세계 CCUS 시장이 연평균 15% 성장해 2035년이면 110억달러(약 15조6640억원) 규모에 이를 것으로 전망했다. 미국뿐만 아니라 유럽, 중동, 아시아에서도 CCUS 기술에 대한 투자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글로벌 시장의 성장성이 더욱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한국에 미칠 영향은

트럼프 행정부의 정책 변화는 글로벌 CCUS 시장뿐만 아니라 한국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크다. 한국은 태양광·풍력 등 신재생에너지 확보에 지리적 한계가 뚜렷하고, 철강·시멘트·석유화학·정유 등 화석연료 사용을 당장 중단하기 어려운 탄소 다배출 산업의 비중이 큰 경제 구조로 인해 탄소중립에 있어 CCUS 기술에 대한 의존도가 높다. 블룸버그NEF의 분석에 따르면, 한국의 2050년 탄소중립 시나리오에서 CCUS 기여 비중은 전체 감축량의 41%로 글로벌 평균인 14%보다 훨씬 높은 수준이다.

[자료 3. 국내 주요 기업의 CCS 사업 추진 현황]

출처 : 헤럴드경제

국내 기업들도 CCUS 기술이 한국의 산업 특성에 적합한 탄소중립 달성 수단이라는 판단 하에, 지속적으로 연구개발과 투자를 확대해 왔다. SK이노베이션은 호주 바로사 가스전에 CCS 기술을 적용해 저탄소 액화천연가스(LNG) 생산을 계획하고 있으며, 포스코인터내셔널은 미국 텍사스주 해상 CCS 지중저장소 사업 국제입찰에서 2개 광권을 확보하며 CCS 사업을 확대하고 있다. 삼성E&A는 말레이시아 국영 에너지 기업과 협력해 국내에서 포집한 CO2를 해외로 이송·저장하는 '셰퍼드 프로젝트'를 추진 중이며, GS칼텍스는 CCUS 기술을 적극적으로 활용해 자사의 석유·가스 사업을 저탄소화하는 전략을 구사하고 있다. 이처럼 국내 기업들은 이미 CCUS 기술을 핵심 탈탄소 전략으로 채택하고 있었으며, 향후 CCUS 시장이 더욱 확대될 가능성이 높아짐에 따라 글로벌 시장에서도 더욱 적극적으로 나설 것으로 보인다.

 

한국의 CCUS, 어떻게 나아가야 할까

2025년, 트럼프 대통령의 한마디 한마디에 전세계 에너지 지형이 요동치고 있다. 세계 최강 대국이자, 세계 1위 누적 이산화탄소 배출량 보유국이자, 연간 이산화탄소 배출량 세계 2위를 기록하는 국가인 미국이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한 국제 사회 협력을 공식적으로 외면하려 하는 것이다. 기후변화 대응에는 전세계의 적극적인 팀플레이가 요구된다. 따라서 미국처럼 몸집 큰 플레이어의 비협조적인 태도는 친환경 기조의 동력을 약화시킬 수 있다. 하지만 미국의 파리협약 탈퇴가 친환경·탄소중립 기조를 유지 중인 유럽연합과 호주, 아시아까지 연쇄적으로 확산되지는 않으리라 판단된다. 또한 국제에너지기구(IEA)는 2035년까지 핵심 청정에너지 기술에 대한 글로벌시장이 3배 증가해 2조달러를 넘어설 것으로 전망한 바 있다. 이런 요소들을 고려할 때 향후 트럼프 정권의 4년 임기만을 바라보고 결정을 내리는 것보다는 장기적인 시야에서의 판단이 필요하다고 여겨진다.

[자료 4. 국내 CCUS R&D 전략방향]

출처 :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트럼프 행정부의 정책 변화 속에서 한국의 CCUS 산업은 변화하는 국제 정세에 맞춰 전략적으로 대응해야 하는 시점이다. 미국이 CCUS를 화석연료 산업 유지의 도구로 활용할 가능성이 커지면서, CCUS 시장의 방향성이 단순한 탄소 감축을 넘어 기존 에너지 산업과의 연계를 강화하는 방식으로 흘러갈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한국은 단순히 글로벌 CCUS 산업의 흐름을 따르는 것이 아니라, 자체적인 기술 개발과 산업 전략을 확립하는 것이 중요하다. CCUS를 화석연료 산업과 결합하는 방식에만 집중하는 것이 아닌, 탄소중립 및 신재생에너지 전환을 위한 도구로 활용해야 한다. 이를 위해 포집된 이산화탄소를 저장하는 것에서 나아가 블루수소, 합성연료, 이산화탄소 기반 화학제품 등의 생산과 연계해 산업적 가치를 극대화하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자료 5. 국내 CCUS 활성화를 위한 필요 정책 및 지원]

출처 :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결과적으로, CCUS 시장 자체는 계속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한국은 CCUS 기술을 단순히 탄소 배출을 줄이는 기술로 인식하는 것이 아니라, 신재생에너지 및 미래 산업과 연계한 종합적인 탄소중립 솔루션으로 발전시키는 전략을 수립해야 한다. 이를 위해 국내 기술 개발을 촉진하고, 법적·제도적 지원을 강화하며, 국제 협력을 확대하는 것이 필요하다.


CCUS에 대한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의 기사 더 알아보기

1. “탄소와의 전쟁, CCUS”, 22기 김혜윤, 23기 진희윤, https://renewableenergyfollowers.org/4451

 

탄소와의 전쟁, CCUS

탄소와의 전쟁, CCUS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2기 김혜윤, 23기 진희윤 [탄소 배출로 골치 아픈 주요국]최근 고금리, 고물가로 사업 환경이 악화됐지만, 전 세계는 탄소중립 실현을 위해 노력하

renewableenergyfollowers.org

2. “CCS, 대한민국의 탄소 중립은 어디까지 왔나”, 23기 박하연, https://renewableenergyfollowers.org/3983

 

CCS, 대한민국의 탄소 중립은 어디까지 왔나

CCS, 대한민국의 탄소 중립은 어디까지 왔나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3기 박하연 [2050년까지 탄소 중립에 도달해야 한다고?] 2023년 3월, 우리는 기후변화로 인해 발생하는 에너지 문제, 식량 부

renewableenergyfollowers.org


참고문헌

[CCUS, 한국에 왜 필요할까]
1) 김선태, 기후변화센터, “[이달의 이슈] 2050 탄소중립 및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필요조건 : CCUS”, 2023.04.13, https://www.climatechangecenter.kr/boards/newsletter/view?&id=1973

2) 김진수, GS칼텍스 미디어허브, “탄소중립과 이산화탄소 포집 및 활용・저장(CCUS)의 역할”, 2021.11.12, https://gscaltexmediahub.com/energy/column-ccus-role/

3) 신영재, 대통령직속2050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 “탄소중립으로 가는 지름길, CCS”, 2024.09.09, https://www.2050cnc.go.kr/base/board/read?boardManagementNo=68&boardNo=3661&menuLevel=2&menuNo=131

4) 임준성, KDB미래전략연구소 미래전략개발부, “국내 산업의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CCUS 역할”, 제797호, 2022.04, https://rd.kdb.co.kr/fileView?groupId=18B65B1E-4603-7DD6-A872-FA121A5ABCCA&fileId=2164B7F1-7E46-9739-64A4-B6052FD26985

5)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CCUS 심층 투자 분석 보고서: 탄소중립 구현을 위한 CCUS 기술 개발 여정, 2021년 1분기, https://www.kier.re.kr/UploadFiles/tpp/energy/16366126893490.pdf

[트럼프 2.0시대, CCUS의 전망은]

1) 국제금융센터, 트럼프 2기 행정부의 에너지·기후 정책과 시장평가, 2024.11.13, https://www.kcif.or.kr/hotissue/hotissueView?rpt_no=35074

2) 김경아, “트럼프-머스크, CCUS 탄소포집 기술 '지원 유력'...韓수출 측면 강점”, 파이낸셜뉴스, 2024.12.17, https://www.fnnews.com/news/202412171353218154

3) 성동원, “[시평] 트럼프 신정부의 에너지 정책과 영향”, 투데이에너지, 2024.12.31, https://www.todayenergy.kr/news/articleView.html?idxno=278168

4) 신준섭, “트럼프도 ‘CCUS’는 지원 유력… 美·EU 등 각국 지원 경쟁 ‘활활’, 국민일보, 2024.12.08, https://www.kmib.co.kr/article/view.asp?arcid=0020958638&code=61121711&cp=nv

5) 이수진, “[이로운톺아보기]트럼프의 귀환, 친환경 정책 후퇴...글로벌 ESG 및 에너지 정책 방향 변화 예고”, 이로운넷, 2024.11.07, https://www.eroun.net/news/articleView.html?idxno=48975

6) 장재진, “[트럼프 에너지 정책] 에너지 비상사태 선언...석유·가스 시추 확대”, 투데이에너지, 2025.01.21, https://www.todayenergy.kr/news/articleView.html?idxno=278939

7) 홍성용, “트럼프 2기 ‘탄소포집’ 뜬다···새해 관련주 담아볼까”, 매일경제, 2025.01.05, https://www.mk.co.kr/news/stock/11209870

[한국에 미칠 영향은]

1) 김수이, “(The 에너지) 트럼프 대통령 에너지 정책과 우리나라의 과제”, 전기신문, 2025.01.23, https://www.electimes.com/news/articleView.html?idxno=349480

2) 김은희, “국내기업 선도 ‘CCS’, 트럼프 수혜 기대감”, 헤럴드경제, 2024.11.25, https://biz.heraldcorp.com/article/10003806?ref=naver

3) 김은희, “트럼프의 친환경 원픽? SK·포스코·삼성 승부수 통하나 [비즈360]”, 헤럴드경제, 2024.11.24, https://biz.heraldcorp.com/article/10003353?ref=naver

[한국의 CCUS, 어떻게 나아가야 할까]

1) 김석붕, “트럼프 기후정책과 CCUS 산업 운명”, 에너지신문, 2025.01.02, https://www.energy-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09454

2) 이재호, “트럼프와 무관, 탄소중립은 가야할 길”, 내일신문, 2025.02.27, https://www.naeil.com/news/read/539465?ref=naver

3) 정수종, “트럼프2.0 시대의 기후위기 대응 전략”, 경향신문, 2025.03.10, https://www.khan.co.kr/article/202503102101005?utm_source=urlCopy&utm_medium=social&utm_campaign=sharing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