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2764

전기자동차의 습격! 가전(家電)의 영역에 도전장을 내미다. 전기자동차의 습격! 가전(家電)의 영역에 도전장을 내미다. 자동차가 만들어지고 자동차는 자신만의 독자적인 시장을 만들어 왔다. 현대 사회에서 자동차가 가지는 위치는 엄청나다. 사람과 물자의 원활한 이동을 가져옴으로써 산업의 패러다임을 바꿔왔다. 하지만 ‘파리협약’ 이후 내연기관 자동차의 입지가 좁아지기 시작했다. 인류의 미래 삶을 위협하는 존재 중에 하나로 지목된 것이다. 자동차는 새로운 변화가 필요했다. 바로 내연 기관을 버리는 것이다. [그림1. 2017 CES 로고] 출처- https://3dprint.com/161655/why-i-wasnt-bored-at-ces-2017/ 자동차가 전기로 움직이기 시작하자 가전(家電)분야로의 이동을 선언했다. 그 움직임의 시작은 전기자동차가 가전제품 박람회에 등.. 2017. 2. 18.
[단체명공고]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단체명 영문명 공고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영문명 공고] 안녕하세요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구 대학생태양에너지기자단) 단장 김보림입니다. 지난 11일 홈커밍데이에서 최종 투표를 통해 저희 기자단의 단체명이 대학생태양에너지기자단에서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으로 변경되었습니다. 아래 공고이유와 같은 이유로 영문명을 추가 공고하고자 합니다. 기자단을 대표하는 이름을 선정하는 과정인 만큼 많은 분들의 참여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1. 공고이유: 지난 홈커밍데이에 기자단 단체명이 "대학생 신재생에너지기자단"으로 변경되면서 도메인,이메일 등에 영문명이 필요하게 됨- 필참 부탁!드립니다. 우리의 활동에서 우리를 대표할 단체명입니다. 작은 의견이라도 감사히 받겠습니다. 2. 영문명공고 진행 일정: [~2월18일 24:00] 영문명.. 2017. 2. 17.
[홈커밍데이] 제 2회 홈커밍데이 후기 안녕하세요! 대학생태양에너지기자단 단장 김보림입니다. 지난 2월 11일 독바위역 문화공간 [ fill the feel ]에서 진행된 제 2회 홈커밍데이 행사에 대한 리뷰를 남겨보고자 합니다. 글에 앞서 먼저 와주신 모든 대태기여러분께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이번 홈커밍데이에서는 OB&YB의 교류시간, 팀기사 발표, 기자단 단체명 변경 최종 발표 및 투표, 재미있는 게임, 맛있는 안주로 채워진 뒤풀이 시간 및 다양한 이벤트와 경품 추첨 등이 진행되었습니다. 자~ 이제 시작합니다! (마지막으로ㅠㅠ) 다함께 Solar~~ Followers~~~!! 이번 홈커밍데이는 아래와 같은 순서로 진행되었습니다. 저와 함께 홈커밍데이의 여운을 다시 한번 돌아볼까요?! 1부 : 대태기2017 1부 행사에서는 현재 2017.. 2017. 2. 14.
EV 2017, 전기차 정책을 통해 알아보는 우리나라 전기차 산업의 현재 EV 2017, 전기차 정책을 통해 알아보는 우리나라 전기차 산업의 현재 해가 거듭될수록 미세먼지 오염도는 악화되고 있다. 황사횟수와 일수(서울 기준)를 찾아보면 2012년 1회/1일에서 2015년 8회/15일로 점점 증가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2015년 오염도를 보면 전국 26, 서울 23㎍/㎥으로 WHO 권고기준(10㎍/㎥)과 선진국 주요 도시(도쿄 16, 런던 15㎍/㎥)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그림1. 오늘날 미세먼지 상황] [그림2. 미세먼지 연도별 발령횟수] (출처: blog.bullsone.com/508), (출처: 서울특별시 대기환경정보 http://cleanair.seoul.go.kr/)] 미세먼지의 원인 중 수송부문은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환경부에서는 이러한 문.. 2017. 2. 14.
서울에너지드림센터, 에너지의 미래를 꿈꾸다. 서울에너지드림센터는 서울 마포구 상암동에 위치한 오픈형 기획전시관이자 국내 최초 에너지 자립형 공공 건축물이다. 서울에너지드림센터는 학생들을 포함한 일반 시민들에게 신재생에너지와 관련된 여러 체험 프로그램과 상설 전시를 제공한다. 친환경적인 에너지 자립을 위해 수많은 녹색기술들이 접목된 건축물인 만큼, 서울에너지드림센터를 소개하기에 앞서 ‘제로에너지빌딩’에 대해 먼저 알아볼 필요가 있다. 최근 여러 환경문제와 더불어 전세계적으로 대두되고 있는 주제가 바로 미래 에너지 시장의 동향이다. 1997년 체결된 ‘교토의정서’부터 최근 발효된 ‘파리 기후변화협약’까지 수많은 과정을 통해 지구 온난화를 해결하고자 하는 국가적 차원의 노력이 계속되고 있다. 그 결과 현재는 화석 연료에서 신재생 에너지로 주 에너지가 변.. 2017. 2. 13.
시민의, 시민을 위한, 시민에 의한 에너지복지! 서울에너지복지시민기금을 소개합니다. 시민의, 시민을 위한, 시민에 의한 에너지복지! 서울에너지복지시민기금을 소개합니다. 2012년, 전남 고흥군의 한 주택에서 60대 할머니와 6살의 손자가 사망하는 일이 발생했다. 동아일보의 2012-11-21 기사에 따르면 “전기요금을 못내, 촛불을 켜고 자다가 화재로 인해 할머니와 손자가 숨졌다.”라고 말했다. 이와 같이 최근 에너지빈곤 문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정부와 각 지자체는 에너지복지정책을 수립 및 실행하고 있다. 이러한 배경으로 나온 것들 중 하나가 서울에너지복지시민기금이다. [사진 1. 서울에너지복지시민기금의 슬로건을 담은 사진] 출처 :서울에너지복지시민기금홈페이지 서울에너지복지시민기금은 ‘시민이 살리고, 시민을 살립니다.’ 라는 슬로건으로 에너지 나눔의 가치를 구현하기 위해, 시민.. 2017. 2. 11.
스마트그리드 확산사업​ ​어떻게​ ​진행되고​ ​있는가 스마트그리드 확산사업​ ​어떻게​ ​진행되고​ ​있는가 ◆SG란? & SG확산사업이란? 스마트그리드(Smart-Grid)란 기존의 전력망에 정보∙통신기술(IT)을 접목하여 전력 공급자와 소비자가 양방향으로 실시간 정보를 교환함으로써 에너지를 보다 더 효율적으로 최적화하는 전력 인프라 시스템이다. 구체적으로, 지능형 수요관리, 신∙재생 에너지연계, 전기차 충천을 통해 스마트그리드를 구현하는 것이다. 2015년 12월, 파리협정이 채택됨으로써 모든 국가가 온실가스 감축 의무를 가졌고, 기존 에너지 시스템에서 에너지 신 산업으로 전환이 이루어질 것으로 전망되었다. 이러한 변화에 대응하여, 산업통상자원부와 8개 컨소시엄 주관사 및 한국스마트그리드사업단은 스마트그리드 확산사업(이하 SG확산사업) 업무협약을 체결하.. 2017. 2. 10.
전기자동차의 망토가 되어줄 ‘Super’ 커패시터 전기자동차의 망토가 되어줄 ‘Super’ 커패시터 현재 전 세계적으로 자동차시장의 판도가 뒤바뀌고 있다. 지구온난화가 가속화되고, 환경오염의 가속화로 많은 국가들이 자동차를 환경오염원으로 지정하고 규제를 하기 시작했다. 대표적으로 독일 폭스바겐사의 디젤게이트 사건 이후로 많은 자동차 회사들이 내연기관이 아닌 전기자동차를 비롯하여 플러그 인 하이브리드자동차, 수소자동차 등 미래의 자동차의 먹거리를 위해 R&D에 적극 투자하고 시장에 자동차들을 출시하고 있다. [사진1. KPMG’s Global Automative executive Survey 2017] ( 출처 : https://home.kpmg.com/kr/ko/home/media/press-releases/2017/01/20170113.html ) 1.. 2017. 2.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