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2698

조류(algae) 100% 활용백서 조류(algae) 100% 활용백서 녹조현상의 원흉, 미세조류? 환경문제에 관심이 있는 사람이라면 ‘녹조라떼’라는 말을 들어본 적이 있을 것이다. 녹조로 인해 물빛이 녹색으로 변하는 현상을 빗댄 표현인데, 강과 하천의 부영양화에 따라 녹색을 띠는 녹조류와 같은 미세조류들이 대량 증식하는 것이 원인이다. 녹조가 강, 호수와 같은 호소의 표면을 덮으면 햇빛이 차단되고 산소가 유입되지 않아 물고기와 수중생물이 죽고, 수중 생태계가 파괴되는 심각한 문제가 발생한다. 그런데 녹조현상의 원인인 이 미세조류로 반대로 폐수를 정화하고, 에너지까지 생산할 수 있다고 말한다면 어떤가, 아이러니하면서 신기할 것이다. 실제로 미세 조류를 통해 방사능 폐수, 중금속 폐수와 같은 난분해성 폐수들의 오염원을 줄이는 연구가 전 세계.. 2017. 11. 5.
신고리 5, 6호기 건설 재개 - 앞으로의 에너지 방향 신고리 5, 6호기 건설 재개 - 앞으로의 에너지 방향 문재인 정부의 공약 중 환경과 관련된 공약을 살펴보면 국내 미세먼지 배출량 30% 감소, 노후화된 원전 폐쇄 및 신규 설립 중단, 감염병 전문병원 강화, 국가 재난 조사위원회 설치하겠다고 하였다. 임기기간 동안 국내 미세먼지 배출량 30% 감소하겠다는 공약이 지켜 질 지는 미지수이지만, 노후화된 원전 폐쇄 및 신규 설립 중단에 관한 공략은 이미 실행되고 있다. 지난 6월, 40년 동안 가동되었던 고리 1호기가 영구 정지되어 해체 준비 중이다. 문재인 정부가 출범하기 약 1년 전인 작년 6월, 원자력안전위원회에서 신고리 5‧6호기의 건설안이 허가하였다. 이에 2017년 5월 말까지 막대한 자금을 투자하여 건설을 진행하고 있었다. 하지만 문재인 정부가 .. 2017. 10. 31.
태양광발전의 새로운 접근, 수상태양광발전 태양광발전의 새로운 접근, 수상태양광발전 새 정부가 출범 이후 ‘신재생 에너지 확대’를 정책 공약으로 내세우며 2030년 까지 20%로 대폭 확대를 목표로 두고 있다. 탈원전 가속화와 태양광, 풍력 발전 비중 확대 같은 친환경에너지 정책 강화 의지를 보이고 있다. [표 1. 원별 생산실적 비중, 증가율 및 기여도] 출처: 한국에너지공단 신재생에너지센터 신재생에너지가 대두되면서 태양광발전에 대한 관심도 커지고 있지만, 육상 태양광 발전은 설치 면적이 넓어야 하는데 우리나라는 토지가 작고 산악지형이 많아 토지를 기반으로 태양광발전을 함에 있어 공간을 확보하는 것이 쉽지 않다. 그렇다면 과연 우리나라에서는 어디에 태양광 패널을 설치해야 할까? 여기에 대한 답은 물 위에서 찾을 수 있다. 바로 수상태양광 발전이.. 2017. 10. 17.
응답하라 태양광 - 1970편 - 2017. 10. 16.
[에너지진로]2017 에너지대전 좋은일자리 나눔의장 자료집 안녕하세요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단장 김보림입니다. 지난 '2017 대한민국에너지대전'에서 성료된 '에너지좋은일자리나눔의장'에서 참관객을 대상으로 배포하였던 에너지 취업 관련 자료집을 배포합니다. 에너지 관련기업들의 채용 동향을 살펴 볼 수 있으며, 본 자료집에는 취업 사이트에서 주로 볼 수 있는 내용보다는 에너지 관련 기업으로의 진로방향을 탐색하는 학생으로서 현재 여러 기업의 동향을 실질적으로 파악하는 부분이 주로 담겨있습니다. 위의 내용을 포함한 보다 자세한 사항은 기자단 홈페이지와 페이스북을 통해 소식을 접할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대신기와 함께 따뜻하고 포근한 하루 되시기 바랍니다. 2017. 10. 16.
에너지 공동체의 밑그림 '동북아 슈퍼그리드' 에너지 공동체의 밑그림 '동북아 슈퍼그리드' 문재인 정부의 탈원전 정책으로 인하여 많은 사람들이 원전에서 얻었던 전력을 어디서 얻어야 하는지에 대하여 걱정과 우려의 목소리가 많아지고 있다. 단순히 전력 생산량을 증가시키는 것도 중요하지만 더욱이 안정적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것 또한 반드시 해결해야 할 문제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점으로 보아 신재생 에너지는 효율과 안정적인면에서도 아직 완전하지 않은 에너지 공급책이라는 평가가 많고 발전소를 늘리는데 막대한 비용이 들기 때문에 신재생 에너지를 더 효율적인 에너지 공급책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전력 공급량을 어떻게 생산하고 관리할 것인가에 대해 초점을 맞춰서 기술을 개발하고 보전해야 할 것이다. [그림 1. 슈퍼그리드의 필수 구성] 출처: 한국.. 2017. 10. 14.
재활용을 통한 선순환, 자원순환경제 구조에 대하여 자원순환경제에서 가장 기본적인 개념이라면 재활용(Recycling) 일 것이다. 단순히 재활용을 하면 폐기물을 줄일 수 있다는 1차원적인 결론이 아니라, 에너지, 원료와 대기, 수질 토양 오염의 5가지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단순히 자원적인 부분에서 재활용을 판단한다면 긍정적인 반응을 도출할 수 밖에 없다. 재사용 과정에서 폐기물의 양이 줄고 원료를 더 적게 사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여기에서 사용되는 에너지적인 측면까지 고려한다면 어떨까? [그림.1 PET의 Physical Recycling의 도식화] 츨처: Ecofriend PET 병을 예시로 들어보자. PET병을 재활용 한다는 가정 할 때 첫 번째로 폐기되어있던 PET병을 깔끔하게 세척해서 재사용(Reuse)한다면 폐기물을 운송하는 과정.. 2017. 10. 14.
소형풍력 넌 누구야? 대형풍력, 그리고 소형풍력 풍력발전이란 바람개비와 같다. 차이점은 풍력발전은 바람이 있는 곳이라면 설치가 가능하고 바람이 불면 날개가 돌아가게 되고, 바람에너지를 기계에너지로, 이를 전기에너지로 바꿔서 우리에게 전기를 제공하게 된다. 우리가 알고 있는 재생에너지 분야에서는 전통적인 강호라고 할 수 있는 풍력발전은 크기와 용량, 구동방식, 그리고 설치장소에 따라서 분류된다. 그중에서 이번 기사는 소형풍력에 대해서 다루고자 한다. 풍력은 크기와 발전 용량에 따라서 크게 대형풍력, 중형풍력 ,소형풍력으로 나뉘게 된다. 기술적으로 작은 풍력 터빈에 대한 몇 가지 정의가 있다. 국제 표준화기구 IEC는 로터 스위핑 면적이 200m2 이하인 표준 IEC 61400-2의 SWT를 정격 출력이 약 50kW 이하인 것으.. 2017. 10.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