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2779

폴리실리콘 가격의 날개 없는 추락, 우리가 가야 할 길은? 글로벌 태양광 폴리실리콘의 시장 가격이 매년, 매달 하락 추세를 거듭하며 산업계의 공멸을 우려할 만한 선에까지 이르렀다. 업계에 따르면 2011년 초만 해도 톤(ton) 당 70달러 후반을 유지하던 가격이 2012년 5월 현재 25달러 선까지 무너지며 곤두박질 쳤다. 그래도 그간 태양광 부품 소재 부문 중에서도 우리나라 업체들이 주로 뛰어들어 있는 분야인 단결정 웨이퍼와 결정형 모듈 부문에 비하면, 폴리실리콘 생산을 주력으로 하는 업체들은 비교적 상당한 한계 이익을 누려 왔다고 알려져 왔으며 특히 공정이 까다로운 고순도(高純度) 실리콘은 아직도 초과수요 상태라 분석되어 왔다. 하지만 전체적으로는 그 내면을 살펴보면 지속적인 대외적 단가 하락으로 많은 업체들이 재무적으로 심각한 압박을 받고 있는 것으로 알.. 2012. 5. 13.
‎[대학생 태양에너지 기자단에서 여러분의 의견을 기다립니다.] Q. 태양광산업에서 중국과 대만을 하나로 묶어서 보는 것에 어떤 의미가 있다고 보시는지요? 대학생 태양에너지 기자단은 태양에너지를 비롯한 신재생에너지를 확산시키기 위해 저희 스스로 먼저 공부하고 대중에게 기사 발행과 홍보를 통해 알리는 활동을 하고 있습니다. 즉, 홍보하기 이전에 학습하는 조직으로써 활동 중에 생기는 의문점들 역시 여러분과 공유하여 토론의 장을 열고 같은 의문을 가진 분들이 힌트를 얻어갈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질문 섹션을 만들었습니다. 여러분의 의견을 자유롭게 제시해 주세요. 페이스북 댓글창과 티스토리 댓글 창, 어느 곳이든 좋습니다. Q. 태양광산업에서 중국과 대만을 하나로 묶어서 보는 것에 어떤 의미가 있다고 보시는지요? 근래의 태양광 산업에서의 중국 기업의 선전을 다루는 글에서 우리는 이런 표현을 많이 발견할 수 있습니다. "세계 태양광 10대 기업 중 중국과 대만 기업이.. 2012. 5. 11.
유기태양전지 전격 해부하기 - 재료편 * 어떤 재료들이 쓰일까...? - 유기태양전지에 사용되는 재료와 그 기능을 알아보자. 앞서 배운 유기태양전지의 구조를 머릿속에 그린채로, 이 번 기사에서는 도너층과 억셉터층으로 사용되는 유기재료들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a)는 donor로 주로 사용되는 유기재료이고 (b)는 acceptor로 사용되는 유기재료를 보여주고 있어요. 마치 아이스크림 두 맛을 고르는 것처럼 (a)에서 하나 (b)에서 하나를 골라 두 층을 붙이면, 이것이 곳 유기태양전지의 핵심인 Active layer가 됩니다. Active layer는 실리콘 태양전지의 PN접합 공핍층처럼, 유기태양전지에서 광 반응에 의해 엑시톤이 생성되고 이것이 분리되는 일이 일어나는 층을 말하는 것으로 한마디로, 도너층과 억셉터층 두 층을 붙인 것을 말.. 2012. 4. 26.
유기태양전지 전격 해부하기 - 구조편 (active layer) 지난 번에 올린 유기태양전지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이번 기사는 유기태양전지 구조를 분석해보도록 하겠습니다. 특히, 고분자 유기태양전지를 곧 연재될 시리즈로 낱낱히 파헤쳐 보겠습니다. * 고분자 유기태양전지 ? 실리콘 태양전지와는 다르게 active layer를 고분자재료를 사용하여 만든 태양전지를 말한다. 전자를 줄수있는 도너층과 전자를 받는 억셉터층을 기반으로 구성된다. 가볍고, 대량생산, 대면적화, 저가화가 가능하고 플렉시블하다는 점을 무기로 실리콘 태양전지 시장을 틈틈히 노리고 있다. 유기태양전지의 한 분류로 DSSC가 전해액에 의해 창문처럼 건물 부착형 용도로 쓰일 한계에 비해, 고분자 유기태양전지는 이동가능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옷이.. 2012. 4. 22.
태양열 온풍기 사회적 기업가 여예원씨 in TEDxKAIST Change 2012년 4월 14일 TEDxKAIST Change가 대전 KAIST에서 진행되었다. 이번 TEDxKAIST Change는 ‘빅픽쳐’라는 테마 아래 '왜 우리는 계속해서 세계적 보건과 개발에 투자를 해야 할까요?' 라는 주제로 진행되었고, 이창호, 이동근, 여예원 연사님께서 사회적인 지원의 진정한 의미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었다. “기술과 사랑은 나눌수록 행복해진다는 믿음을 뜨거운 가슴에 품은 재무 책임자” 태양열 온풍기로 사회적 기업인 (주)섬광의 CFO인 여예원씨는 이번 TEDxKAIST Change에 참석하여, 자신만의 가치와 아이디어를 공유했다. 이번 강연에서, 자신이 어떻게 적정기술을 시작했는지, 공학도로써 적정기술에 참여할 수 있는 방법, 섬광의 태양열 온풍기라는 아이디어가 나오게 된 계기에 .. 2012. 4. 19.
KIRAN - 저개발국의 빛을 밝히는 태양광 랜턴 착한아이 KIRAN 석유, 원자력과 같이 현 환경에 악영향을 끼쳐온 에너지원의 대안책으로 나온 것이 착한아이 신재생에너지이다. 하지만 현실은 그리 녹녹치 않다. 세상이 많이 변하여 너무 착한아이들은 바보 소리를 들으며, 그들의 부모들은 자신의 아이가 너무 착하게 자라기보다는 똑똑하고 수완이 좋은 아이가 되기를 바란다. 착한아이가 계속해서 착하게 자라기란 너무나도 어려운 환경이다. 선진국 내에서 신재생에너지의 입장 또한 마찬가지인 것 같다. 착한아이 신재생에너지는 기업의 사업수단이 되었고 나쁜 아이 석유, 원자력과 같은 에너지원과의 경쟁 속에서 살아남아야만 한다. 이 과정에서 본래의 착한 마음씨는 퇴색 되어만 간다. 하지만 세상에는 항상 예외란 것이 있는 법이며 세상에 굴하지 않는 독특한 놈이 존재하는 법.. 2012. 4. 13.
[국제그린에너지엑스포 긴급취재] SIEMENS 신재생에너지의 효율적 이용을 위한 솔루션을 제공하는 SIEMENS 신재생에너지 중에서도 특히, 태양광산업의 핵심기술로 폴리실리콘 제조공정 기법중의 지멘스(SIEMENS)공정기법을 일례로 들 수 있습니다. 1950년대 지멘스에 의해 개발된 지멘스 공법은 전세계적으로 약 90%가 사용하는 전통적인 방식이라고 합니다. 뛰어난 기술력을 바탕으로 태양에너지 산업에 관해 지멘스사의 역사는 생각보다 오래되었습니다. 실리콘형 태양전지 생산에 있어서 필수불가결한 잉곳을 만들어내는폴리실리콘 실리콘 제조공정기술 특허로 관련 산업을 시작하였고,1990년대부터 인버터 제조를 시작했습니다. 최근에는 안타깝게도 태양전지 모듈제조분야를 매각하였다고 합니다. 특히, 신재생에너지 분야에서는 태양열, 태양광, 풍력에 주력하고 있다고 합니.. 2012. 4. 5.
[국제그린에너지엑스포 긴급취재 ] KD power 태양광발전 고효율 종합 솔루션을 꿈꾸는 KD power! KD power의 대표적인 태양광 제품은 한국형 IT태양광 시스템과 GPS로봇 태양광입니다. 한국형 IT태양광 시스템이란 인버터의 상황을 바로 확인 할 수 있는 모니터링시킨것을 말하는데요, 이뿐만 아니라 전력, 계측장비, 접속반, 기상, 전압,전류,전력,발전유지율,발전효율 등의 대한 스트링 별로 실시간 모니터링 하여 인버터장치에 부착된 모니터와 전체적인 흐름을 볼 수 있는 화면을 통해 제품을 품질을 보증하고 있다고 합니다. 이런 모니터링 결과는 스마트폰을 이용해 운전상황을 언제 어디서나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는 M to M 서비스로 이어져 편리함을 더하고 있습니다. 모니터링에서 좀 더 차별화된 점은 설치한 태양광 주변에 CCTV를 부착하는 것이였.. 2012. 3.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