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기오염4

[Remake] 슬기로운 배달생활 [Remake] 슬기로운 배달생활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7기 김재성21기 길민석, 김수현, 홍서현, 23기 진희윤, 차승연 선배님의 "주문하신 친환경 배달 왔습니다~" 기사의 Remake 버전입니다. 기사 작성에 도움을 주시고 배려해주신 홍서현선배님에게 감사드립니다. 눈에 띄게 성장한 배달 산업택배 배송 시장이 커지면서 사람들은 집에서 편하게 쇼핑하고 다음 날 편하게 물건을 받는 시대가 도래했다. 이과 함께 한국에서 2010년대 이후 엄청난 속도로 발전한 산업이 있다. 바로 ‘배달 산업’이다. 스마트폰 보급이 활성화되면서 ‘배달의 민족’ 앱이 등장해 전문적인 배달 시스템이 갖춰지면서 2000년대 초기와는 다른 문화가 형성되었다. 집에서 많은 종류의 음식 가격과 여러 가지를 비교하면서 편히 주문하고 문 .. 2025. 4. 28.
서울-부산 왕복? 주행거리 연장형 전기차(EREV)면 가능! 서울-부산 왕복? 주행거리 연장형 전기차(EREV) 면 가능!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7기 김계환 발전소가 많이 필요한 전기차 전기차 보급이 늘어나면서 최대 주행거리는 중요한 과제가 됐다. 2023년 서울 전기차 엑스포 사무국의 조사에 따르면, 전기차 구매 시 가장 고려하는 요소로 ‘최대 주행거리’가 꼽혔다. 배터리 기술이 발전하면서 주행거리가 증가했지만, 여전히 300~400km 수준에 머무르고 있다. 이로 인해 충전 인프라가 더욱 필요해지는 상황이다. 2023년 국내 전기차 충전기 수는 351,433개로 전국 주유소 10,931곳의 32배에 달한다. 그만큼 전기차 충전이 내연기관 자동차에 비해 많이 필요하고 전기차의 사용이 증가할수록 전기차 충전기 인프라의 설치는 필연적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 2025. 3. 31.
교통과 수소의 만남, 지구를 살리는 친환경 교통수단 교통과 수소의 만남, 지구를 살리는 친환경 교통수단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3기 김용대, 26기 강민석, 27기 박희원, 홍민서 친환경 수소 교통수단, 왜?교통 부문에서 화석연료를 사용하는 자동차, 트럭, 버스 등은 전 세계 온실가스 배출의 약 15% 가량의 큰 비중을 차지한다. 국내의 경우 정부의 ‘자동차 온실가스 관리제도’ 시행에도 불구하고, 2015년부터 2020년까지 국내 판매된 승용차의 온실가스 평균 배출량과 해당 연도 온실가스 배출허용기준을 단순 비교한 결과 그 격차는 오히려 매년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2015년 배출허용기준을 2.4% 초과했으나 기준과 실제와의 격차가 매년 커져, 2020년에는 44.8%나 초과한 것이다. 순수 자동차 판매실적으로만 계산된 ‘실제’ 온실가스 평균 배출량 역.. 2025. 2. 27.
주목! 가스레인지 사용을 법적으로 금지합니다 주목! 가스레인지 사용을 법적으로 금지합니다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4기 배장민 가스레인지를 사용해야 밥 맛이 좋다?가스레인지 vs 인덕션, 음식을 즐겨하는 사람들이라면 한 번쯤 들어봤을 논쟁거리이다. 즉각적인 화력을 발생시킬 수 있지만 청소의 불편함이 있는 가스레인지와 청소의 용이함과 미관상 장점이 있지만 직관적인 열 조절이 쉽지 않은 인덕션은 개인마다 그 취향이 확고하다. 2010년대에 들어서 전기레인지의 일종인 인덕션이 가정에 보급되고 있으나, 현재까지는 가스레인지를 사용하는 비율이 더 높다. 오랫동안 써온 가스레인지에 대한 익숙함과 강한 화력으로 원하는 온도로 조리를 할 수 있다는 장점이 가스레인지를 선호하는 사람들의 공통적인 이유이다. 식당이나 학교, 회사의 급식처럼 대량 조리를 하기에도 가스불.. 2024. 10.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