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기오염20

해양 미세먼지 대책-전기추진 선박 산업의 미래 해양 미세먼지 대책-전기추진 선박 산업의 미래 13기 양찬미, 15기 김성중, 15기 박정우, 16기 김미림, 16기 전예지 최근 심각한 환경문제 중 하나인 미세먼지. 이를 해결하고자 화력발전소 감축하기, 차량5부제 등 육지에서는 다양한 방안이 시행되고 있다. 하지만 내륙 못지않게 해양지역에서도 상당한 미세먼지가 발생되며, 그 대표적인 요인은 선박 산업이다. 정박중인 선박은 무전기, 냉장고, 조명, 공조 등 기본적인 전기설비의 가동을 위해 디젤엔진으로 자가 발전하여 필요한 전력을 충당한다. 이 자가발전으로 인한 오염물질이 우리나라 최대의 항만도시인 부산의 대기 중 황산화물, 초미세먼지 배출량의 각각 73%, 51%를 차지하는 주범이다. [그림 1. 선박에서 배출된 대기오염물질 비중] 출처 : 국립환경과학.. 2019. 8. 21.
(에너지공단공단 기획기사)나의 첫차, 전기차를 소개합니다. 나의 첫 차, 전기차를 소개합니다. [사진 1. 친환경 자동차 이미지] 출처: 한국에너지공단 언제부터인가 매년 봄이면 한국을 방문하는 불청객 미세먼지. 이 불청객은 제조업에서 많이 발생하지만 교통부문에서의 발생도 무시할 수 없다. 수도권 기준으로 경유차 등 자동차에서 배출되는 오염물질이 미세먼지의 30%이상을 차지한다. 대기 질 개선을 위해서 전세계적으로 움직이고 있으며 그 흐름은 전기차 산업 육성으로 이어지고 있다. 이럼 흐름에 발맞추어 우리나라는 전기차 확산을 위해 어떤 사업을 하고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그래프 1. 2014년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산정결과] 출처: 국립환경과학원 왜 전세계는 전기차를 선택하였는가. 전기차는 경유차, 휘발유차 즉 내연기관차와 원동력이 다르다. 내연기관차는 화석연료를.. 2018. 10. 19.
대한민국, '셰일가스'라는 양날의 검을 들다 6월 28일부터 7월 2일까지 문재인 대통령이 미국을 방문하여 한미 동맹을 굳건히 하고, 대통령으로 취임한 이후로 향후 5년간 미국의 경제 성장 파트너로서 협력할 것을 약속했다. 6월 30일, 한미 정상회담이 개최되어 트럼프와 문재인 대통령이 한미 양국간 경제, 무역, 대북 정책 등에 대해 의견을 조율할 수 있는 자리가 마련되었는데, 그간 트럼프는 한미 FTA에 대해 미국이 불리한 조건의 협정이라고 불편한 기색을 표현하며 재협상에 대한 뜻을 내비쳤었다. 이에 우리 나라는 재협상 문제를 위한 협상카드가 필요했고, 그 카드로 셰일가스 수입 확대를 꺼내들었다. 문재인 대통령과 함께 미국을 방문한 52인의 방미 경제인단이 5년간 40조원을 미국에 투자하겠다는 계획을 약속한 것이다. SK그룹은 미국 에너지 기업인.. 2017. 7. 13.
대기오염의 주범은 석탄? 하이브리드 석탄은 다르다! 대기오염 주범은 석탄? 하이브리드 석탄은 다르다! 현재 환경문제로 크게 대두 되고 있는 미세먼지. 이 원인중 하나가 화력발전소로 꼽힌다. 최근 정부에서 미세먼지 감축을 위한 대책으로 ‘노후 화력발전소 셧다운’을 발표했다. 과연 노후 한 화력발전소만이 미세먼지의 주범이였을까? 노후 한 화력발전소라는 숲만 보지 말고, 화력발전소에서 사용하는 석탄도 살펴볼 필요가 있다. 2012년 기준으로 1억 2,000만 톤 석탄이 수입되는데, 이 중 약 4,000만 톤은 화력발전소에서 사용하는 인도네시아산 저급탄이다. 5%의 수분을 함유하는 고급탄에 비해 30~50%의 수분을 함유하고 있는 저급탄은 연소 시 불완전 연소 되어 상당한 양의 이산화탄소와 미세먼지를 발생시킨다. 석탄은 연소 시 발생하는 질소산화물(NOX)가 대.. 2017. 6.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