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리튬이온배터리4

안전한 배터리의 실현 가능성 안전한 배터리의 실현 가능성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5기 백선우 고에너지 시대의 그림자, ‘안전’이라는 숙제전기차(EV)와 에너지저장장치(ESS)는 탄소중립을 앞당길 핵심 인프라로 꼽히지만, 최근 잇단 화재폭발 사고는 ‘배터리 = 잠재적 폭탄’이라는 불안을 증폭시켜 왔다. 2024년 국내 화재 통계에 따르면 전기차 화재는 33건, 고정형 ESS 화재는 12건으로 집계돼 해마다 증가세를 보였다. 그럼에도 글로벌 공급망이 요구하는 주행거리·출력 경쟁은 멈추지 않는다. 제조사는 고에너지·고밀도 셀을 계속 밀어붙이고, 각국 정부는 규격‧인증 문턱을 높이고 있다. 본 기사는 (1) 화재 메커니즘과 통계, (2) 핵심 기술의 현황, (3) 규제 변화와 인증 절차를 종합 진단해 ‘안전한 배터리’의 실현 가능성을 살펴.. 2025. 6. 26.
납축전지의 생존 가능성에 대한 중립적 탐구 납축전지의 생존 가능성에 대한 중립적 탐구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5기 구윤서, 백선우, 26기 윤민서, 27기 김주희, 조희선 납축전지의 현재와 도전 과제납축전지는 세계 최초로 발명된 이차전지다. 이차전지는 한 번 사용하고 끝나는 일차전지와 다르게 충전을 통해 반영구적으로 사용하는 전지로, 폐기물 발생을 줄이고 부가가치가 높다는 장점이 있다. 이차전지의 역사는 1990년대 최초의 납축전지부터 최근에는 리튬이온전지까지 급속히 발전하고 있다. 지금도 이차전지는 더 나은 안전성과 충전 능력을 위한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이차전지는 전기자동차, 에너지저장시스템(ESS), 스마트폰, 인공위성, 태양광 전지 등 충·방전이 필요한 분야에서 광범위하게 활용되고 있다. 특히, 납축전지는 경쟁력 있는 가격과 검증된 안정.. 2025. 3. 2.
이차전지, 리튬의 시대가 가고 마그네슘의 시대가 올 것인가? 이차전지, 리튬의 시대가 가고 마그네슘의 시대가 올 것인가?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6기 강민석 리튬이온의 한계, 그 대안은?현재 전기차에 사용되는 이차전지 시장은 리튬이온배터리가 석권하고 있다. 국내에서 생산되는 전기차에서 주로 활용하는 3원계(NCM) 배터리부터 중국산 전기차에 많이 사용되는 LFP 배터리까지 모두 리튬이온배터리에 해당한다. 그러나 리튬이온배터리에는 명확한 한계점이 존재한다. 먼저, 리튬이온배터리를 제작하는데 많은 비용이 든다. 리튬이온배터리에 있는 리튬은 매장량이 적은 희귀한 광물이므로 가격이 비싸기 때문이다. 그리고 리튬이온배터리는 안전성이 낮으며 화재의 위험이 크다는 단점이 있다. 리튬은 물과 산소에 높은 반응성을 가지기 때문에, 배터리가 훼손될 시 화재나 폭발의 위험이 있다. .. 2024. 11. 24.
작은 용기 하나로 배터리를 재활용하다! 작은 용기 하나로 배터리를 재활용하다! 대학생신재생에너지기자단 21기 곽서영, 23기 김태현, 송태현 해마다 늘어나는 폐배터리만들어진 직후 사용하지 않으면 에너지가 버려지는 세상이 있다. 극단적인 상황일 수 있지만, 배터리가 없던 시절 우리는 이와 비슷한 세상에 살고 있었다. 전자 기기를 생각하지 않더라도 배터리가 없는 세상은 이런 비효율성에서 상상하기도 싫은 세상이다. 이러한 배터리의 중요성으로 인해 배터리 산업이 급속도로 발전하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에서는 글로벌 배터리 점유율 Top 10에 속하는 기업이 세 곳이나 있고 비중국 배터리 시장에서는 1위가 한국 기업인 만큼 배터리 산업이 많이 발달한 상태이다. 이처럼 국내외 배터리의 수요 및 사용량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자료 1. 해마다 증.. 2023. 5. 29.